목차
1. 자폐증 (Autism)
II. 역 사
III. 세 가지 핵심 증상
IV. 원 인
V. 자폐증 진단법
VI.영화 레인맨 - 실제인가 허구인가?
VII. 돕는 방법
-참고문헌
II. 역 사
III. 세 가지 핵심 증상
IV. 원 인
V. 자폐증 진단법
VI.영화 레인맨 - 실제인가 허구인가?
VII. 돕는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련직종은 일정한 수만큼 물건을 포장하는 일. 헤드폰 같은 전자제품의 단순조립, 목걸이 꿰기, 목각 등의 공예직과 원예 등이 있다.
1997 년의 정신지체학교의 졸업생 취업분야는 총 194명 중 제화업 6명(1.6%), 양재업 10명(5.2%), 목공업 5명(2.6%), 원예업 8명(4.1%), 기타가 165명(85.1%)이라고 통계는 제시한다(교육부 1997, 「교육통계연보」). 이 통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는 기타가 85%라는 자체에 매우 실망스러움을 느낀다.
*정신지체인의 취업률은 어떠한가?
정신지체 특수학교 졸업생 중 1990년 44.4%에서 1993년 23.4%, 1995년 26.5%, 1997년 23.7%로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교육부 1990-1997,「교육통계연보」) 정신지체의 경우 실업률은 45.7%로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인 2명중 1명이 실업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가장 높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6),「장애인 취업실태와 고용의 경제적 효과」).
*정신지체인의 직장적응이 실패하는 원인
정신지체인이 취업 후에 실직했을 때 그 원인은 직업적 기술이 부족해서 보다는 직업 책임감의 부족 (적극적인 참여 부족)과 사회성 부족(직장동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지 못함)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직업교육이나 재활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정신지체 아동 교육에서 부모가 명심해야 할 내용
아동의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느끼는 부모의 좌절감이 교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미래지향적 교육 태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상 아동의 경우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생활과 교육을 통해 큰 어려움 없이 성인으로서의 능력이 키워지지만 정신지체 아동교육은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
한가지에 치우치지 않는 다방면을 가르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회적 기술습득을 통해 최대한 일반 사회에 통합되도록 하며, 자조기술을 습득하고 정신적 독립을 이루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고,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 건강한 자아상 확립을 시켜주고, 직업의식과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인식시켜 장차 성인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연령과 발달을 동시에 고려하는 실용적 교육이 필요하다. 정신연령과 생활연령을 동시에 감안하여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학교뿐 아니라 가정생활 하나하나에서 시켜나간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부모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자녀의 발달과 성취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김승국 (1990). 자폐 아동 교육. 양서원
로나윙(저) 신현순(역) (1984). 자폐아동 부모를 위한 지침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대한신경정신의학회(1997): 신경정신과학. 하나의학사
Klin A. &Volkmar F. R. (1997). Autism and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Nospitz J. D. (Ed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 1. (pp 536-560). New York: John Wiley &Sons
Baron-Cohen, S., Leslie, A. M., &Frith, U. (1985).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Cognition, 21, 37-46 Hobson, P. (1992). Social perception in autism. In E. Schopler &G. B. Mesibov (Eds.),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pp. 157-184). New York: Plenum
Lovaas, O. I., Koegel, R. L., &Schreibman, L. (1979). Stimulus overselectivity in autism : A review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86, 1236-1254
Schopler, E. (1995). Parent survival manual - A guide to crisis resolution in autism and related developmental disorders- New York: Plenum
Tager-Flusberg, H. (1993). What language reveals about the understanding of minds in children with autism. In S. Baron-Cohen, H. Tager-Flusberg, &D. J. Cohen (Eds), Understanding other minds: Perspectives from autism (pp. 138-157).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Szymanski LS &Kaplan LC (1997): Mental Retardation, in Textbook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edited by Wiener JM. pp. 183-218. American Psychiatric Press.
Russell AT &Tanguy PE (1996): Mental Retardation,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edited by Lewis M. pp.502-510. Williams &Wilkins
Kaplan &Sadock(1998): Synopsis of Psychiatry. 8th edition, Williams &Wilkins
Lewis &Volkmar(1999): Clinical aspects of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Lea &Febiger
기타: 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검색자료
1997 년의 정신지체학교의 졸업생 취업분야는 총 194명 중 제화업 6명(1.6%), 양재업 10명(5.2%), 목공업 5명(2.6%), 원예업 8명(4.1%), 기타가 165명(85.1%)이라고 통계는 제시한다(교육부 1997, 「교육통계연보」). 이 통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는 기타가 85%라는 자체에 매우 실망스러움을 느낀다.
*정신지체인의 취업률은 어떠한가?
정신지체 특수학교 졸업생 중 1990년 44.4%에서 1993년 23.4%, 1995년 26.5%, 1997년 23.7%로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교육부 1990-1997,「교육통계연보」) 정신지체의 경우 실업률은 45.7%로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인 2명중 1명이 실업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가장 높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6),「장애인 취업실태와 고용의 경제적 효과」).
*정신지체인의 직장적응이 실패하는 원인
정신지체인이 취업 후에 실직했을 때 그 원인은 직업적 기술이 부족해서 보다는 직업 책임감의 부족 (적극적인 참여 부족)과 사회성 부족(직장동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지 못함)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직업교육이나 재활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정신지체 아동 교육에서 부모가 명심해야 할 내용
아동의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느끼는 부모의 좌절감이 교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미래지향적 교육 태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상 아동의 경우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생활과 교육을 통해 큰 어려움 없이 성인으로서의 능력이 키워지지만 정신지체 아동교육은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
한가지에 치우치지 않는 다방면을 가르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회적 기술습득을 통해 최대한 일반 사회에 통합되도록 하며, 자조기술을 습득하고 정신적 독립을 이루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고,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 건강한 자아상 확립을 시켜주고, 직업의식과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인식시켜 장차 성인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연령과 발달을 동시에 고려하는 실용적 교육이 필요하다. 정신연령과 생활연령을 동시에 감안하여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학교뿐 아니라 가정생활 하나하나에서 시켜나간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부모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자녀의 발달과 성취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참고문헌
김승국 (1990). 자폐 아동 교육. 양서원
로나윙(저) 신현순(역) (1984). 자폐아동 부모를 위한 지침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대한신경정신의학회(1997): 신경정신과학. 하나의학사
Klin A. &Volkmar F. R. (1997). Autism and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Nospitz J. D. (Ed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 1. (pp 536-560). New York: John Wiley &Sons
Baron-Cohen, S., Leslie, A. M., &Frith, U. (1985).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Cognition, 21, 37-46 Hobson, P. (1992). Social perception in autism. In E. Schopler &G. B. Mesibov (Eds.),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pp. 157-184). New York: Plenum
Lovaas, O. I., Koegel, R. L., &Schreibman, L. (1979). Stimulus overselectivity in autism : A review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86, 1236-1254
Schopler, E. (1995). Parent survival manual - A guide to crisis resolution in autism and related developmental disorders- New York: Plenum
Tager-Flusberg, H. (1993). What language reveals about the understanding of minds in children with autism. In S. Baron-Cohen, H. Tager-Flusberg, &D. J. Cohen (Eds), Understanding other minds: Perspectives from autism (pp. 138-157).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Szymanski LS &Kaplan LC (1997): Mental Retardation, in Textbook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edited by Wiener JM. pp. 183-218. American Psychiatric Press.
Russell AT &Tanguy PE (1996): Mental Retardation,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Comprehensive Textbook, edited by Lewis M. pp.502-510. Williams &Wilkins
Kaplan &Sadock(1998): Synopsis of Psychiatry. 8th edition, Williams &Wilkins
Lewis &Volkmar(1999): Clinical aspects of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Lea &Febiger
기타: 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검색자료
추천자료
정서및행동장애
1주~7주 중에 한 주제(내용)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유와 그 부분을 요약정리 하시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의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기준에 대해 정리하고 이 중 관심...
교수학습 접근방법 중 교사 주도적 접근법과 유아 주도적 접근법에 대해 비교 설명하고 두 접...
[아동복지론] 아동복지 실천대상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향을 정...
[영아발달] 자료수집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관심 있는 영아의 행동에 대한 영아발달 연...
★아동기의 발달장애★ 아동기의 행동장애(자폐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학습...
아동기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각 발달단계와 관련된 사회복지실천을 미시, 거시 수준으로 나누...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부적응행동 중 2~3가지 선정하여 개념과 그 원인등에 대해 설명할 것
성장 발달단계 중 아동기의 인간발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과제 (아동기)
아동기의 정신건강문제 중 이상행동을 보이는 아동과 관련된 책이나 영화, 매스컴 보도 사례 ...
아동기 이상행동 중 지적장애에 대해 설명하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 방법을 구체적으로...
[가족상담및치료] 다양한 가족문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한 후 가족 상담 및 치료의 관점으로 사...
[아동기 정신병리] 아동기 발달장애(정신지체, 전반적 발달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