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학원 글로벌교육협력 전공
- 한국국제협력단
-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 APCEIU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 유네스코 아태지역 교육국(UNESCO Bangkok)
- UIL (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
- ADEA(The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위 단체들과는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저희 단체는 후원 혹은 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관계를 지속합니다.
3. 최근의 활동들은 무엇이 있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프리카 교육 전문가 연수 사업>
2012년 EWB와 ADEA는 Education Research Award를 제정합니다. ERA는 한국형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으로서, 아프리카의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지닙니다.
1. 아프리카 내 교육 연구와 실제 교육 정책의 연계를 강화합니다.
2. 아프리카 교육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성과를 높이고자 합니다.
3. 아프리카 연구자들의 연구물 출판을 장려하고, 해당국의 교육정책 입안을 지원합니다.
4. ADEA Triennale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연구자와 정책가의 연계를 강화합니다.
5. 대학, 연구 네트워크, 연구소 등에서 질 높은 교육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합니다.
6. 아프리카 연구자들로 하여금 한국 내 유수 교육연구기관에서 한국 경제사회발전 경험을 연구, 수학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위 프로그램 이외에도 GAPA , 아프리카 3개국 교육리더십 역량강화사업 , 청년교육가 캠프
4. 어떤 계기로 이 활동을 시작하게 되셨나요?
전 세계에 1억의 아동이 학교에 가지를 못하고 있으며, 8억에 이르는 비문해자(문맹)가 있다는 것에 교육자로써 큰 회의감을 느꼈습니다. 이것이 이 단체의 창립 계기입니다.
5. 이 활동을 하면서 갖춰야 할 자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국경없는 교육가회’라는 명칭에서 단번에 알 수 있듯, 교육가적인 자질과 진정성, 그리고 사랑이 필요합니다. 같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도 어렵다고 혀를 내두르는 상황에서 외국인, 남녀노소 불문하고 ‘교육’을 하려면 얼마나 교육가적 자질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활동인지 알 수 있을겁니다.
6.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교육적 측면에서 다른 ngo와 차별되는 특징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교육 NGO의 목표는 모두 ‘교육 빈민 구제’입니다. 굳이 차별화 되는 특징을 꼽자면 ‘국경없는’ 이기 때문에 그 활동범위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어느 한 곳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간다는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7. 가장 기억에 남았던 활동과 느낀점을 말해주실 수 있을까요?
아이티에 시범학교 건설사업 타당성을 조사하러 갔을 때, 타당하다는 판단이 나왔습니다. 그 때 그 사실을 알고 기뻐하는 지진 피해자들의 표정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아이티의 교육재건을 위해 아직도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
8. 마지막으로 이런 좋은 활동에 대해 대학생들에게 바라는 태도가 있나요?
NGO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이 굉장히 저조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이러한 현상은 비단 대학생들의 문제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인들이 모이는 곳인 대학교에서 조금이라도 더 NGO관련 과목을 개설해서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대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줬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생들은 학교의 프로그램이 개설되면 찾아서 듣기도 하고, NGO라는 것에 대해 더더욱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국국제협력단
-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 APCEIU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 유네스코 아태지역 교육국(UNESCO Bangkok)
- UIL (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
- ADEA(The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위 단체들과는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저희 단체는 후원 혹은 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관계를 지속합니다.
3. 최근의 활동들은 무엇이 있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프리카 교육 전문가 연수 사업>
2012년 EWB와 ADEA는 Education Research Award를 제정합니다. ERA는 한국형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으로서, 아프리카의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지닙니다.
1. 아프리카 내 교육 연구와 실제 교육 정책의 연계를 강화합니다.
2. 아프리카 교육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성과를 높이고자 합니다.
3. 아프리카 연구자들의 연구물 출판을 장려하고, 해당국의 교육정책 입안을 지원합니다.
4. ADEA Triennale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연구자와 정책가의 연계를 강화합니다.
5. 대학, 연구 네트워크, 연구소 등에서 질 높은 교육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합니다.
6. 아프리카 연구자들로 하여금 한국 내 유수 교육연구기관에서 한국 경제사회발전 경험을 연구, 수학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위 프로그램 이외에도 GAPA , 아프리카 3개국 교육리더십 역량강화사업 , 청년교육가 캠프
4. 어떤 계기로 이 활동을 시작하게 되셨나요?
전 세계에 1억의 아동이 학교에 가지를 못하고 있으며, 8억에 이르는 비문해자(문맹)가 있다는 것에 교육자로써 큰 회의감을 느꼈습니다. 이것이 이 단체의 창립 계기입니다.
5. 이 활동을 하면서 갖춰야 할 자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국경없는 교육가회’라는 명칭에서 단번에 알 수 있듯, 교육가적인 자질과 진정성, 그리고 사랑이 필요합니다. 같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도 어렵다고 혀를 내두르는 상황에서 외국인, 남녀노소 불문하고 ‘교육’을 하려면 얼마나 교육가적 자질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활동인지 알 수 있을겁니다.
6.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교육적 측면에서 다른 ngo와 차별되는 특징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교육 NGO의 목표는 모두 ‘교육 빈민 구제’입니다. 굳이 차별화 되는 특징을 꼽자면 ‘국경없는’ 이기 때문에 그 활동범위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어느 한 곳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간다는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7. 가장 기억에 남았던 활동과 느낀점을 말해주실 수 있을까요?
아이티에 시범학교 건설사업 타당성을 조사하러 갔을 때, 타당하다는 판단이 나왔습니다. 그 때 그 사실을 알고 기뻐하는 지진 피해자들의 표정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아이티의 교육재건을 위해 아직도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
8. 마지막으로 이런 좋은 활동에 대해 대학생들에게 바라는 태도가 있나요?
NGO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이 굉장히 저조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이러한 현상은 비단 대학생들의 문제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식인들이 모이는 곳인 대학교에서 조금이라도 더 NGO관련 과목을 개설해서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대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줬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생들은 학교의 프로그램이 개설되면 찾아서 듣기도 하고, NGO라는 것에 대해 더더욱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여성 취업의 현황과 관련 법제
교사 업무환경 실태 연구- 교사 업무중 잡무 분석을 중심으로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와 T.G.I.Friday’s의 비교를 통한 현재 패밀리 레스토랑의 직원 동기 ...
[기업윤리] LG 상사와 코오롱의 윤리규범 실태 조사
가정폭력사건에 대한 경찰의 개입
[우수평가자료]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에 대한 조사
살인자들과의 인터뷰를 읽고 나서
국민연금 필요성, 종류, 연혁, 공단, 특징, 혜택, 배경, 사례, 행정, 체계, 역할, 운영현황, ...
4대강 사업 목적, 내용, 기대효과, 발전방향, 배경, 사례, 행정, 체계, 역할, 운영현황, 극복...
우리나라 환경 행정 정책 필요성, 개념, 특징, 원인, 발전방향, 배경, 사례, 행정, 체계, 역...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솔섬유 입문과정 사례, 신입승무원, 삼성전자, 두산그룹, 삼성전기, 엘...
[기업 업무][기업 업무절차][기업 업무관리][기업 업무효율성][기업 창업지원업무][기업 확인...
유보통합이란 무엇인지, 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들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가에서...
[노인복지론 공통] 치매노인의 가족 수발자를 인터뷰하고 잔여적 복지가 어떻게 노인돌봄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