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미술의 발달적 측면, 아동 미술 표현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미술의 발달적 측면, 아동 미술 표현의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아동 미술 표현의 특징
◆ 아동그림의 발달단계
1단계 : 난화기 (18개월~3세)
2단계 : 기본적인 형태 (3세~4세)
3단계 : 사람 형태 및 도식의 시작
4단계 : 시각적 도식의 발달
5단계 : 사실주의 (9~12세)
6단계 : 청소년기
◆ 아동그림의 발달적 중요성
◆ 창의성과 지능측정도구로서의 그림
◆ 탁월한 그림능력
◆ 결 론

본문내용

◆ 창의성과 지능측정도구로서의 그림
-학습 장애나 발달지체, 여러 가지 장애가 미술표현의 질과 내용에 영향.
-어떤 발달적 측면은 그림으로 창의력이나 인지능력 파악 가능.
-표준화된 그림검사로 지능과 인지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사용.
:발달적 측면에 의존하지만 그림을 그리는 상황의 복잡성, 공간관계, 정신기능을 고려해 볼 때 제한적.
-SDT(Silver Drawing Test)
①아동의 창조적이고 인지적인능력을 발달적 시각으로 이해하려는 것으로 언어기술이 부족한 아동의 지능을 이해하는 Silver의 가설로부터 발전된 것.
②인지와 정서에 대한 표준화된 검사.
③예측 또는 연속되는 그림, 관찰에 의한 그림, 상상에 의한 그림.
④아동이 공간을 어떻게 개념화, 연속성, 수평상태, 수직상태를 통해 보존을 증명하는지 그들의 그림에 명백하게 드러남.
◆ 탁월한 그림능력
-치료사는 아동의 그림이 색다른지 또는 그림에 재능이 있는지를 살펴볼 때가 있음.
-보통 성인: 대체로 10세 아동과 유사한 수준의 그림.
-그림 그리는 능력이 ‘타고난’ 것으로 여겨지는 몇몇 아동들도 있음.
-Nadia의 사례
①자폐증상의 발달지체 소녀로 장애와 기능적 언어결핍에도 불구하고 3세~6세까지는 성인 예술가에 뒤지지 않는 그림.(무의식적)
②정서발달이 엄마가 암으로 죽으면서 더 방해는 받았고 그림 그리는 것을 점차 멈추기 시작.
③예술표현에 대한 Nadia의 능력 저하는 인지, 언어, 신경학상의 부족과 관계.
◆ 결 론
①아동미술표현의 발달단계: 일반적으로 아동의 그림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토대.
②대부분의 아동이 예측할 수 있는 결과에 따른다는 사실: 치료사들로 하여금 아동의 그림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발점.
③발달 단계들은 치료사들에게 아동의 인지와 개념발달의 지연을 구분하고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고, 발달적 측면에서 아동의 그림을 사정하는 기초로 사용 가능.
④발달과 그림을 고려할 때 중요한 것은 아동의 미술 발달이 엄격한 수직적 과정이 아니라 아동의 삶의 많은 요인들로 인해 영향.
⑤미술발달: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성장을 포함하는 많은 요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그림 형식의 진보와 퇴보는 이러한 영향들 중 하나 또는 많은 것들로 인한 결과.
⑥아동이 받은 삶의 외상, 손실, 위기로 인하여 많은 정서적 스트레스는 그림의 발달적 측면에 변동.
⑦발달적 측면들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정서적 장애를 다루는 아동의 능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치료사가 아동이 그린 미술표현의 형식과 내용을 이해하는 분명한 요소.
⑧아동의 그림은 자아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자아에 대해 점차 인식하면서 아동의 성장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좋은 지침을 제공.
⑨미술표현이 아동에게 있어서 전체적 성장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lewenfeld와 Brittain(1982)은 강조.
⑩아동 미술의 발달적 측면은 인지적 향상과 지적성장에 보다 더 관련이 있을 수 있고 그림은 아동 자신뿐 아니라 상호발달로 간주되는 발달에 대한 반영.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5.23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