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보의 하루 & cafe> 그리고 호주(오스트레일리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떡보의 하루 & cafe> 그리고 호주(오스트레일리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가 소개 및 선정 이유

2. 기업 선정 및 제품

3. 외부분석

4. STP

5. 4P

6. 결론

본문내용

저트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식사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까지 포지셔닝 하는 것이 최종목표입니다.
5. 4P
Production
주원료
호주 쌀의 가격은 10kg에 2만원 정도 이고 이는 한국 쌀의 보통 절반 정도의 값입니다. 떡카페에서 판매하는 메뉴 찹쌀떡 보다는 설기 위주이므로 호주의 중립종 쌀의 활용이 가능합니다. 호주에서 유통되는 중립종 쌀은 한국에서 먹는 단립종 쌀보다 싸고 입자가 가볍지만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장립종 쌀보다는 찰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호주쌀 사용은 원가 절감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 좋은 이미지로 어필 할 수 있습니다. 부재료인 과일, 견과류 또한 가격과 유통 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호주산을 이용 합니다.
메뉴
블루베리 치즈 떡, 갈릭 떡, 떡 케익, 떡 와플 등 자극적이며 단 것을 좋아하는 현지 서양입맛에 맞춘 디저트 종류를 개발해서 판매할 것입니다. 포장떡 판매 등으로 간편함도 잡을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건강한 재료와 맛으로 승부하며 현지에서 익숙한 서양 디저트 메뉴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웰빙 트렌드에 맞춰 영양소가 풍부하고 다이어트에 좋은 쌀로 만든 떡이 재료로 쓰였다는 강점을 가지고 또한 오리엔탈 디저트라는 신선함으로 디저트계의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새로운 바람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포장
떡의 유통기한은 원래 제조한 그 하루까지입니다. 떡보의 하루라는 상호의 ‘하루’도 유통기한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냉장보관 시 일주일 또, 보관상태에 따라 한달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떡의 유통기한을 길게 한달까지 늘려줄 불투명 진공 필름 포장으로 보관과 유통을 더욱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ice
1 호주 달러 = 약 1200원
호주는 디저트 가격이 비싼편
현지기준 빙수=10달러 케이크류는 8달러 정도 커피=4~5달러
* 떡보의 하루 카페는 메뉴마다 다르지만
다른 디저트류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가격인 7~9달러 내외로 한다.
* 쌀샌드위치-7달러/ 쌀와플-9달러/ 갈릭떡-7달러
블루베리, 크랜베리, 피치, 블루베리치즈 떡-8달러
개별포장떡 하나에 500원
부수적인 음료는 5달러 정도
저가의 가격 전략을 취하지 않는 이유는 제품자체의 컨셉이 영양에 중심을 둔 음식이기 때문에 저가격은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제품을 넘어서 건강한 음식이라는 가치를 판매하며, 다른 디저트들과 주재료 면에서 차별화 되어있기 때문에 차별화 고급화 전략을 사용하였습니다.
Place
1. 공장
지가 및 유통의 편리 등 입지여건을 고려하여 시드니의 공단밀집지역인 스미스필드 지역에 쌀 가공 및 대량생산 공장을 위치시키도록 하였습니다.
2. 매장
매장을 통해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며 다음의 위치에 5개 이상의 매장 건설을 계획 하였습니다.
1) 대도시
유동인구과 고객 수를 생각해 거점 대도시 시드니와 멜버른 그리고 브리스번에 위치하도록 하며 인구수에 비례하여 시드니에 4개, 멜버른에 3개, 브리스번에 3개를 배정했습니다.
2) 대학가
호주 대학가 근처에는 공원시설도 잘 조성되어 있어서 공원에서 여가를 보내는 사람들 또한 타겟으로 잡을 수 있으며 주요 고객층인 젊은 연령 층이 대학가 앞에 많으므로 대학가 앞에 역시 매장 설립 위치로 선정 하였습니다.
①시드니의 시드니대학교, UNSW
②멜버른의 멜버른대학교, 모나쉬대학교
3) 주거밀집지역
시드니의 스트라스필드, 멜버른의 도크랜드, 사우스뱅크 등의 한인이 많이 살고 있고, 상권이 발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곳 역시 선정 하였습니다.
3. 주요고객인 젊은 층 및 직장인의 바쁜 하루를 위해 Take out 도 가능하게 설정하였으며,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포장 떡이 유용할 것입니다.
promotion
쌀을 이용한 디저트인 떡은 현대의 웰빙 추세와도 알맞습니다. 깨끗하고 건강한 이미지를 컨셉으로 대표색깔을 밝은 컬러로 선정 옷과 배경으로 광고. 홍보하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떡보의 하루라는 브랜드 명은 외국인에게 의미 전달성이 떨어지고 발음 역시 어려움으로
HELLO RICE 라는 브랜드로 등록할 것이며 Oriental healthy rice dessert 라는 카피 문구를 추가할 것입니다.
1. 각종 디저트 행사에서 제품홍보
- Rocks Aroma Festival
남반구 최대의 커피행사. 커피와 어울리는 디저트 부스도 따로 있다. 행사장 마련을 통해 제품홍보가 가능합니다.
2. 대도시에서 무료시식회
인지도 없는 음식이 뚜렷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것에 대해 무료시식회가 영향력이 크다고 판단. 대도시의 광장과 공원에서 3차정도의 무료 시식회 개최 할 것입니다.
3.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활용
홈페이지 운영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를 도모할 것입니다. 온라인 방문자에게 할인과 사은품 제공하도록 하여 흥미와 관심을 유인할 것입니다.
4. 광고
호주드라마 등에 후원해서 간접광고에 주력. 또한 호주는 보수주의와 인종차별주의가 있으므로 현지의 백인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광고를 만들어 홍보. 버스 빌딩 등 눈에 띌 수 있는 곳에 광고를 노출시키도록 할 것입니다.
- 대중교통 활용 광고 예시
- 현지인 광고 모델 기용 예시
6. 결론
국내의 어떠한 기업이 해외에 진출하여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 많은 요인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것은 기존 시장을 형성하는 제품들과의 차별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떡은 호주 디저트 시장의 주요 제품인 빵과 초콜릿과 비교해 동양의 쌀 디저트라는 극명한 차별성을 띄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신선함과 관심 유인, 홍보에 있어 큰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또한 현재 호주에 불고 있는 다이어트와 건강식 열풍 역시 기존 서양식 디저트에 비해 낮은 열량과 곡물 등으로 만들어 지는 떡이라는 제품이 진출하기 최적의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게다가 떡보의 하루는 최근 대량 생산과 장기간 유통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해외 진출 시 제품 공급에 있어서의 안정성 역시 갖추었습니다. 충분한 투자와 사전 조사를 통한 적절한 마케팅만 이루어진다면 떡보의 하루 로고를 호주 도심 곳곳에서 볼 수 있을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 가격9,66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4.05.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0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