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업명
2. 프로그램의 필요성
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 인원
4. 사업 목적 및 목표
5. 사업내용(세부 내용)
6. 담당 인력
7. 예산
8. 목표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및 도구
2. 프로그램의 필요성
3.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 인원
4. 사업 목적 및 목표
5. 사업내용(세부 내용)
6. 담당 인력
7. 예산
8. 목표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및 도구
본문내용
1. 사업명
발달 장애 아동의 사회적응 능력 향상 및 가족의 유대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2. 프로그램의 필요성
발달 장애 아동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학생 수는 1982년 7,655명에서 1985년 22,354명으로 약 3배 급증하였고, 그 후 특수학급의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현재 26,627명이며, 이것은 특수학교 학생 수 24,376명을 초과한 숫자이다(한국 특수교육 총 연합회.2000)
관악구지역에 있는 특수학교(초등학교)와 일반초등학교내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수를 인근 타 지역과 비교하여 볼 때 관악구 지역이 현저하게 많다.
장애 아동들의 사회적응력의 미성숙은 학급동료로부터 소외되고 이러한 결과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입장에서는 자아개념이 떨어지고 위축되는 부적응 현상을 낳아 장기적으로 볼 때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사회적 기능장애로 이어져 사회통합에 저해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발달 장애 아동의 사회적응 능력 향상 및 가족의 유대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2. 프로그램의 필요성
발달 장애 아동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학생 수는 1982년 7,655명에서 1985년 22,354명으로 약 3배 급증하였고, 그 후 특수학급의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현재 26,627명이며, 이것은 특수학교 학생 수 24,376명을 초과한 숫자이다(한국 특수교육 총 연합회.2000)
관악구지역에 있는 특수학교(초등학교)와 일반초등학교내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수를 인근 타 지역과 비교하여 볼 때 관악구 지역이 현저하게 많다.
장애 아동들의 사회적응력의 미성숙은 학급동료로부터 소외되고 이러한 결과는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입장에서는 자아개념이 떨어지고 위축되는 부적응 현상을 낳아 장기적으로 볼 때 신체적 장애뿐 아니라 사회적 기능장애로 이어져 사회통합에 저해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추천자료
프로포절(지체장애인 부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사업계획서)「부자가정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개인, 세대, 지역사회역량강화 프로그램」
아동정서 지지 강화 프로그램
수원 삼성 블루윙즈 축구단의 스폰서십 강화 전략 프로그램
조손가정 조모들의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
[가족관계 실천프로그램] 가족복지정책론과 방법론 및 가족복지행정
입양가족의 문제 입양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프로그램 및 개선과제
청소년 사회성 강화 프로그램
[한부모가족과 가족복지] 한부모가족의 개념, 현황, 한부모가족의 어려움, 지원정책 및 프로...
가족복지론 - 민간부분 가족복지 전달 체계 중 건강가정지원세터에서 실시하는 가족복지사업...
[중간과제] 방통대 과제 가족교육론 가족변화 - 사회와 시대의 변화가 ‘가족’의 개념과 특징...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양식) “Special Mentoring School” 발달장애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예비...
저소득 취약계층의 자립과 아동 발달 지원을 통한 가족역량강화사업
지역 내 사회적 취약계층(저소득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의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강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