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데이터의 종류
1)명목척도
2)순서척도(서열척도)
3)구간척도(등간척도)
4)비율척도
2.기술통계
1)중심경향성(measure of central tendency)
2)산포도(measure of dispersion)
3)분포의 형태와 관련된 통계량
1)명목척도
2)순서척도(서열척도)
3)구간척도(등간척도)
4)비율척도
2.기술통계
1)중심경향성(measure of central tendency)
2)산포도(measure of dispersion)
3)분포의 형태와 관련된 통계량
본문내용
tandard deviation), 표준오차(standard error), 범위(range) 등이 있다.
분산(variance)
분산(variance)은 평균으로부터 각 데이터가 떨어진 거리, 즉 편차(deviation=)를
제곱한 후, 이를 합산해 데이터의 총 개수(n) 또는 (n-1)로 나눈 통계량이다.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분산에 루트를 씌우는 것을 표준편차라 한다.
표준오차(standard error)
평균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는 표본 평균의 표본추출 분포에 대한 표준편차이다.
범위(range)
범위는 R = 최대값 - 최소값
3)분포의 형태와 관련된 통계량
데이터 분포의 형태와 대칭성을 설명할 수 있는 2개의 통계량으로 왜도(kurtosis)와
첨도(skewness)가 있다.
왜도는 한자 뜻 그대로 '기울어진 정도'이며, 데이터 분포의 기울어짐 즉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통계량인 반면, 첨도는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뾰족한 정도'로서, 데이터 분포의 뾰족한 정도를 설명하는 통계량이다. 두 통계량 모두 정규분포와 비교해 설명한다. 참고로 정규분포는 분포가 일정하고 대칭형이므로 첨도와 왜도 통계량이 모두 0이다.
만일 첨도 통계량이 0보다 크면 정규분포보다 뾰족하고, 첨도 통계량이 0보다 작으면 정규분포보다 평편한 분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왜도 통계량은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기울어짐이 커지고, 즉 분포 꼬리가 길어지고, 통계량 기호가 정적(+)이면 데이터 분포가 오른쪽으로, 기호가 부적(-)이면 왼쪽으로 꼬리가 길어짐을 나타낸다
왜도
분포의 형태가 대칭을 벗어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분포가 대칭이면 왜도=0, 분포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즉 오른쪽 꼬리가 긴
경우에는 왜도>0, 왼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즉 왼쪽꼬리가 긴 경우에는 왜도<0이 된다.
정규분포는 좌우대칭이므로 왜도가 0이 되므로 많은 경우 비대칭의 정도를 정규분포와
비교한다.
첨도
첨도는 정규분포의 모양과 비교하여 데이터들이 가운데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또는 꼬리의 두터운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정규분포의 경우 첨도는 0이며, 정규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운데가 뾰족하면 첨도 가 0보다 크다.
3.참고문헌
- 박성현, 조신섭,김성수 지음(2014), SPSS(PASW) 17.0 이해와 활용, 한나래 출판사
분산(variance)
분산(variance)은 평균으로부터 각 데이터가 떨어진 거리, 즉 편차(deviation=)를
제곱한 후, 이를 합산해 데이터의 총 개수(n) 또는 (n-1)로 나눈 통계량이다.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분산에 루트를 씌우는 것을 표준편차라 한다.
표준오차(standard error)
평균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는 표본 평균의 표본추출 분포에 대한 표준편차이다.
범위(range)
범위는 R = 최대값 - 최소값
3)분포의 형태와 관련된 통계량
데이터 분포의 형태와 대칭성을 설명할 수 있는 2개의 통계량으로 왜도(kurtosis)와
첨도(skewness)가 있다.
왜도는 한자 뜻 그대로 '기울어진 정도'이며, 데이터 분포의 기울어짐 즉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통계량인 반면, 첨도는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뾰족한 정도'로서, 데이터 분포의 뾰족한 정도를 설명하는 통계량이다. 두 통계량 모두 정규분포와 비교해 설명한다. 참고로 정규분포는 분포가 일정하고 대칭형이므로 첨도와 왜도 통계량이 모두 0이다.
만일 첨도 통계량이 0보다 크면 정규분포보다 뾰족하고, 첨도 통계량이 0보다 작으면 정규분포보다 평편한 분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왜도 통계량은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기울어짐이 커지고, 즉 분포 꼬리가 길어지고, 통계량 기호가 정적(+)이면 데이터 분포가 오른쪽으로, 기호가 부적(-)이면 왼쪽으로 꼬리가 길어짐을 나타낸다
왜도
분포의 형태가 대칭을 벗어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분포가 대칭이면 왜도=0, 분포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즉 오른쪽 꼬리가 긴
경우에는 왜도>0, 왼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즉 왼쪽꼬리가 긴 경우에는 왜도<0이 된다.
정규분포는 좌우대칭이므로 왜도가 0이 되므로 많은 경우 비대칭의 정도를 정규분포와
비교한다.
첨도
첨도는 정규분포의 모양과 비교하여 데이터들이 가운데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측도이다. 또는 꼬리의 두터운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정규분포의 경우 첨도는 0이며, 정규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운데가 뾰족하면 첨도 가 0보다 크다.
3.참고문헌
- 박성현, 조신섭,김성수 지음(2014), SPSS(PASW) 17.0 이해와 활용, 한나래 출판사
추천자료
[기술신용보증기금][기술평가][중소벤처기업 지원제도]기술신용보증기금 연혁, 기술신용보증...
[줄넘기][줄넘기 방법][줄넘기 고급 기술][줄넘기기술 다중 뛰기][줄넘기 효과]줄넘기의 기본...
[환경]질소산화물&질소산화물처리기술의정의&처리기술의종류&질소산화물에 관한 ...
[스키][스키경기][스키기술][스키장][스키장 안전수칙][스키선수]스키(스키경기)의 발달, 스...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개념과 목적,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종류와 중요성, 정보통...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의미,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종류, 정보통...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개념, 종류,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특징, 필...
[3D]3D 실감영상 기술에 대한 이해(3D 기술의 개념 및 특징, 장단점, 종류, 활용 분야 등)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를 만날 때 사용하는 기초기술의 종류 중에서 ...
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 심층 조사하고, 자신의 방어기제 3가지 이상을 기술하고 그와 관련된...
[사회복지조사론] 신문 또는 미디어를 통해 발표된 통계 및 조사 관련 보도(선거, 경제지표, ...
[평생교육] 요약 기술(Summarizing skill) - 요약기술의 개념과 활용 목적 및 적용 예, 요약...
사회복지실천현장 중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고 사회복지사로...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와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고 사회복지사로서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