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원 중심의 국제 질서 재편
2. 자원 민족주의
3. 세계 주요 국가들의 자원 확보 현황
4. 중국의 자원확보의 배경
Ⅲ. 결론
Ⅱ. 본론
1. 자원 중심의 국제 질서 재편
2. 자원 민족주의
3. 세계 주요 국가들의 자원 확보 현황
4. 중국의 자원확보의 배경
Ⅲ. 결론
본문내용
으므로 중국은 이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계소비 대비 중국 연료 소비비중>
2) 안보적 차원
중국이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정부차원에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을 수립하게 된 시점은 중국이 에너지 수입국으로 전환된 후부터이다. 중국은 1997년 리펑 전 총리가 이른바 “중국의 에너지 정책”을 발표하면서 자국이 당면한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1997년 발표된 이른바 “신에너지정책”의 목표는 원유와 천연가스의 국내 생산 극대화, 국제시장에서의 에너지 자원 구매의 다원화, 해외 에너지 자원에 대한 투자 촉진, 마지막으로 에너지 자원의 원할한 수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네가지를 중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911테러 이후 중동국가인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한 보복공세와 대 이라크 전쟁 등과 관련하여 벌인 외교 및 군사적 대응조치를 보면서 본격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국가안보의 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와 함께 에너지 문제를 비전통적 안보 위협요소에 포함시켰다. 중국이 에너지 문제를 국가 안보의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 원인으로는 첫째, 석유의 특징인 유한성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생산되는 유전의 70%, 가스전의 50%가 2020년경에는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은 향후 원유가 고갈될 경우 대체에너지가 개발될 때 까지 사용할 수 있는 원유를 비축해 두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원유 저장량이 현저히 뒤떨어지며 이것을 바로 에너지 위기로 간주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세게 석유시장 장악의도가 그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911테러 이후 미국의 대응은 중국에게 에너지 문제를 국가안보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미국은 중동의 석유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중앙아시아에 관심을 집중 시키고 있고 특히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에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한편으로 중앙아시아의 진출을 내심 마음속에 품고 있다. 이는 중국의 인도양 진출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중국을 미국의 석유 통제 구도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로 평가된다. 셋째 주변국들의 에너지 확보 경쟁이다. 인도, 일본은 이미 석유 확보 전쟁에 일직부터 돌입했다. 특히 인구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국내 석유 소비량의 70%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석유 확보에 있어 중국의 경쟁상대가 될 뿐만 아니라 석유 수송로 확보에 있어서도 국가 간의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Ⅲ. 결론
지금까지 자원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과 산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 세계의 공장으로 기지개를 펴고 있는 중국의 자원확보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현재 국제적으로 자원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 중국을 비롯한 일본, 미국, 인도 등 세계 각 국이 치열한 자원 전쟁을 벌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경제적 종속관계에서 벗어나 자국의 자원 보호와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자원 보유 국가들의 자원 민족주의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대체자원이 기존 자원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2050년대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 참고자료
1. 에리히 폴라트, 알렉산더 융, 「자원 전쟁」(2008, 영림카디널)
2. 2006년 1월 26일 자 중앙일보 인터뷰 기사
3. 강석영 「중남미 자원민족주의」(2007,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4. 정기종 「석유 전쟁」(2003, 매일경제신문사)
5. 이재기 「신중국경제론」(2008, 형지사)
6. 강준영, 전병곤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2008 지영사)
7. 김원웅 「국제 에너지, 자원 환경과 자원외교」 (2005, 다락방)
<세계소비 대비 중국 연료 소비비중>
2) 안보적 차원
중국이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정부차원에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을 수립하게 된 시점은 중국이 에너지 수입국으로 전환된 후부터이다. 중국은 1997년 리펑 전 총리가 이른바 “중국의 에너지 정책”을 발표하면서 자국이 당면한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1997년 발표된 이른바 “신에너지정책”의 목표는 원유와 천연가스의 국내 생산 극대화, 국제시장에서의 에너지 자원 구매의 다원화, 해외 에너지 자원에 대한 투자 촉진, 마지막으로 에너지 자원의 원할한 수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네가지를 중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911테러 이후 중동국가인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한 보복공세와 대 이라크 전쟁 등과 관련하여 벌인 외교 및 군사적 대응조치를 보면서 본격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국가안보의 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와 함께 에너지 문제를 비전통적 안보 위협요소에 포함시켰다. 중국이 에너지 문제를 국가 안보의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 원인으로는 첫째, 석유의 특징인 유한성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생산되는 유전의 70%, 가스전의 50%가 2020년경에는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은 향후 원유가 고갈될 경우 대체에너지가 개발될 때 까지 사용할 수 있는 원유를 비축해 두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원유 저장량이 현저히 뒤떨어지며 이것을 바로 에너지 위기로 간주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세게 석유시장 장악의도가 그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911테러 이후 미국의 대응은 중국에게 에너지 문제를 국가안보 개념으로 인식하게 된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미국은 중동의 석유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중앙아시아에 관심을 집중 시키고 있고 특히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에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한편으로 중앙아시아의 진출을 내심 마음속에 품고 있다. 이는 중국의 인도양 진출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중국을 미국의 석유 통제 구도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로 평가된다. 셋째 주변국들의 에너지 확보 경쟁이다. 인도, 일본은 이미 석유 확보 전쟁에 일직부터 돌입했다. 특히 인구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국내 석유 소비량의 70%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석유 확보에 있어 중국의 경쟁상대가 될 뿐만 아니라 석유 수송로 확보에 있어서도 국가 간의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Ⅲ. 결론
지금까지 자원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과 산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 세계의 공장으로 기지개를 펴고 있는 중국의 자원확보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현재 국제적으로 자원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 중국을 비롯한 일본, 미국, 인도 등 세계 각 국이 치열한 자원 전쟁을 벌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경제적 종속관계에서 벗어나 자국의 자원 보호와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자원 보유 국가들의 자원 민족주의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대체자원이 기존 자원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2050년대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 참고자료
1. 에리히 폴라트, 알렉산더 융, 「자원 전쟁」(2008, 영림카디널)
2. 2006년 1월 26일 자 중앙일보 인터뷰 기사
3. 강석영 「중남미 자원민족주의」(2007,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4. 정기종 「석유 전쟁」(2003, 매일경제신문사)
5. 이재기 「신중국경제론」(2008, 형지사)
6. 강준영, 전병곤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2008 지영사)
7. 김원웅 「국제 에너지, 자원 환경과 자원외교」 (2005, 다락방)
키워드
추천자료
2005년 하반기 이후의 중국 전망
중국 베트남 해외직접투자
농심 신(辛)라면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사례
[외국진출][해외진출][국내진출]현대자동차 미국진출 사례, 태평양화장품 중국진출 사례, 가...
해외직접투자전략에 대한 고찰 및 사례분석(20개기업 이상)
중국기업 해외직접투자의 현황과 평가
롯데리아 마케팅 성공 경영 전략 요인 분석, 향후 전략 (해외 중국 진출 및 맥도날드 경쟁사 ...
중국과 베트남의 해외 직접투자 비교 분석
중국투자론-KFC,KFC의 해외진출, KFC의 중국진출,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국내기업과 해외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비교 분석
해외시장 진출론 - 우리나라의 해외시장 진출에 관해서
SM엔터테인먼트 해외진출 마케팅사례분석과 SM엔터테인먼트 중국시장진출 성공전략 제안
락앤락마케팅전략,락앤락칠레마케팅전략,락앤락중국진출사례,칠레마케팅전략,해외마케팅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