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와 영향 - 공업분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미 FTA와 영향 - 공업분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섬유산업
 2) 자동차산업
 3) LCD, IT산업
 4) 철강, 조선산업
Ⅲ. 결론

본문내용

다면 한국내수 시장의 우위까지도 장담할 수 없다.
(2) 픽업트럭에 대한 대책
픽업트럭은 미국 소비시장 중 결코 작지 않은 시장
미국 내의 픽업트럭시장을 겨냥하여, 기술경쟁력을 제고한다면 10년 후 관세가 철폐
→ 경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가능성 있는 시장
3) LCD, IT산업
- LCD
협정품목인 LCD모듈, 전지 등은 관세철폐효과가 나타남
→ 경쟁국인 일본 중국제품에 비교하여 상대적 가격경쟁력이 제고
수출이 크게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한미의 IT산업
우리나라 전자부품 산업 - 적극적인 혁신 노력으로 IT기술이 급속히 발전, 세계적 수준
의 기술력을 확보
미국의 전자부품 산업 - 인텔 등의 세계 최고소준의 다국적 반도체업계들이 독과점적
시장을 지배
한국과 미국은 상호보완적 관계
→한국은 메모리반도체, LCD 수출, 미국은 마이크로프로세서, IC 등 비메모리 분야 수

→미국의 전자산업은 가전부문이 없고, 통신시스템이나 컴퓨터 등이 발달, 한국은 가전
이나 휴대폰 등이 발달
- 영향
전자부품의 관세구조와 관련하여 한미양국은 이미 IT관련 제품에 무관세를 적용
또한 IT분야의 한미 교역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에 따라 경쟁력을 떠나 FTA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
또한 첨단 전자산업과 부품 소재 등에서의 기술협력 및 외국인 투자 유치가 촉진
부품 조달이 용이해져 세계를 겨냥한 경쟁력이 강화
다만 전자의료기기, 계측장비 등의 첨단 분야의 경우 미국제품의 국내시장 잠식 우려
4) 철강/조선 산업
- 철강산업
2004년 1월 1일부터 이미 한미간 무관세로 수입
따라서 FTA의 타결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
다만, 총 18건 중 12건에 달하는 미국의 한국 철강재에 대한 수입규제가 완화될 경우 안
정적 대미 수출과 현지투자 활성화 효과가 기대
- 조선산업
조선시장은 이미 세계가 관세 없는 단일시장의 형태
우리나라의 조선업의 막강한 경쟁력
따라서 한미FTA의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
Ⅲ. 결론
한미 FTA에 있어서 공업분야는 우리 나라가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최대 수혜분야이다.
다른 나라와의 경쟁력 싸움에서 조금이라도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한미 FTA로 받을
수 있는 수혜를 최대로 이용하고, 끊임없는 경쟁력 제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단기적 성과
에만 눈을 돌릴 것이 아니라 이러한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노력을 통해 한미FTA의 긍정적
인 면을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0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