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외인수· 합병(M&A)의 개념
2. 인수· 합병의 장단점
3. 인수· 합병의 과정
4. 인수·합병의 전략수단
2. 인수· 합병의 장단점
3. 인수· 합병의 과정
4. 인수·합병의 전략수단
본문내용
들어, 인수가격을 1회계기간 동안의 순이익의 10배로 하기로 결정했다고 하자. 지난 해 순이익 1백만 달러였다면 인수가격은 1천만 달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양도자측은 지난해의 여러 가지 예외적인 악재로 인해 순이익의 산정에 불이익이 있었다고 주장할 것이며, 따라서 금년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될 것이다. 이때 금년 실적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수가격은 [1천만 달러+a]로 하고 a에 해당되는 금액은 금년도 실적이 최종적으로 집계될 때까지 기다려 결정하는 방식이 소위 언-아웃방식이다. 금년 말의 순이익이 110만 달러가 되면, 작년보다 10만 달러가 증가되어 10만 달러의 10배, 즉 1백만 달러를 추가로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는 비상장기업의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상장기업의 경우에는 주식시장에서의 주가를 기준으로 계산하므로 이런 과정이 필요 없다. 그러나 주식시장에서의 거래가격이 그대로 인수가격의 산정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우호적인 인수의 경우에는 대개 주식의 시장가격에 20%~40%정도의 프리미엄을 계산하여 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의 주식에 대하여는 그 가치를 인정해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M & A (기업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에 따른 효과분석(금호산업의 대우건설 인수합병사례)
두산중공업의 해외인수합병
[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의 기본이론과 사례
기업인수합병
글로벌경영 해외인수합병
[글로벌경영] 해외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 기업 인수합병의 정의와 유형 및 이론(가치극대화, 비가치극대화 이론)
기업 인수합병의 재무적 측면- 기업인수합병의 경제적 이득과 비용 및 인수자금 조달, 회계처리
기업인수합병의 장단점 및 사례
(A+) ★★ 기업인수합병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 르노와 삼성자동차인수합병, 현대전자 & ...
[구조조정][노사관계]구조조정과 노사관계, 구조조정과 노동조합, 구조조정과 노동유연성, 구...
기업인수합병의 문제_인수 합병의 성과와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