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기후란?
(2) 우리나라의 기후 특징
2. 본론
(1) 대전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2) 수원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3) 대관령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4) 전주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3. 결론
(1) 각 지역의 온도를 분석
(2) 각 지역의 냉난방도일 분석
(3) 각 지역의 상대습도 분석
(4) 각 지역의 풍속 분석
4.참고자료
(1) 기후란?
(2) 우리나라의 기후 특징
2. 본론
(1) 대전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2) 수원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3) 대관령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4) 전주
1) 대전의 위치
2) 대전의 온도
3) 대전의 난방도일
4) 대전의 냉방도일
5) 대전의 상대습도
6) 대전의 풍속
7) 대전의 운량
3. 결론
(1) 각 지역의 온도를 분석
(2) 각 지역의 냉난방도일 분석
(3) 각 지역의 상대습도 분석
(4) 각 지역의 풍속 분석
4.참고자료
본문내용
났다. 그 외의 계절은 4~5할의 운량분포를 보여 비교적 청명한 것으로 나타난다. 연별운량은 2007년에 5.9할로 가장 크고, 2005년에 4.8할로 가장 작으며, 연평균 운량은 5.5할 이다.
그림34. 대관령의 월별운량과 전천일사량
그림35. 대관령의 연별운량과 전천일사량
4. 진주
위치
경상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진주는 동경127°53‘, 북위 35°03’에 위치한다. 기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의 특성을 띈다. 연평균기온 14℃이고, 연강수량은 1,701mm내외로 우리나라에서 최대다우지역에 속한다.
4-1 온도
진주의 연평균 온도는 13.5℃이고, 최저기온은 1월에 -5.6℃로 나타나며 최고기온은 30.8℃로 8월에 나타난다. 최한월 평균기온은 0.3℃로 1월에 나타나며 최난월 평균기온은 26.0℃로 8월에 나타난다.
그림36. 진주의 월별 온도변
그림37. 진주 연도별 온도변화
4-2 난방도일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18℃를 기준으로 난방을 하는데 난방도일은 일반적으로 일평균기온이 18℃ 이하가 되면 사람들이 난방을 시작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진주의 월별난방도일의 월적산이 가장 높은 달은 18.0℃·day로 1월이 가장 높았고, 연간난방도일의 연적산이 가장 높은 년도는 103.8℃·day로 2005년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의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난방도일과 평균기온은 반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38. 진주의 월별 난방도일
그림39. 진주의 연간 난방도일
4-3 냉방도일
냉방도일은 일반적으로 일평균기온이 24℃ 이상이 되면 사람들이 냉방을 시작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진주의 월별냉방도일의 월적산이 가장 높은 달은 4.5℃·day로 8월이 가장 높았고, 연간냉방도일의 연적산이 가장 높은 년도는 18.9℃·day로 2005년에 높게 나타났다. 그림의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냉방도일과 평균기온은 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40. 진주 월별 냉방도일
그림41. 진주 연간 냉방도일
4-4 상대습도
진주의 월평균 상대습도를 보면
80.5%로 7월이 가장 높은 습도를 나타냈고, 여름철에는 80.5%로 습도가 가장 높았고, 겨울철에는 60.8%로 낮은 편이었다. 봄과 가을은 각각 56.4%와 66.6%로 습도가 낮아 건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69.8%로 2003년도와 2007년도에 가장 높았고, 2009년에는 64.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주의 연평균 상대습도는 66.9%로 나타난다.
그림42. 진주 월평균 상대습도
그림43. 진주 연평균 상대습도
4-5 풍속
진주의 월평균 풍속을 보면 1.7m/s로 3월,4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에는 1.1m/s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봄과 가을에 풍속이 빠른 것을 그래프를 통해 볼 수 있다. 연평균 풍속을 보면 1.6m/s로 2002년도에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을 때의 풍속은 2008년도에 1.2m/s로 나타나며, 연평균 풍속은 1.4m/s이다.
<그림44. 진주 월평균 풍속>
그림45. 진주 연평균 풍속
4-6 운량
진주의 월별 운량은 7월에 7.0할로 가장 크며, 그 밖에 6월과 8월에도 6할 이상으로 높으며, 그래프를 보니 비교적 여름철에 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겨울철에는 4할 이하의 운량 분포를 보여 비교적 청명한 것으로 나타난다. 연별 운량은 2003년에 5.1할로 가장 크고, 2004년에 4.3할로 가장 작으며. 연평균 운량은 4.8할이다.
그림46. 진주 월별 운량과 일사량
그림47. 진주 연별 운량과 일사량
결론
1. 각 지역의 온도를 분석
연평균 최고 기온은 수원, 진주, 대전, 대관령 순으로 높았으며, 최저 기온은 대관령, 수원, 대전, 진주 순으로 관측 되었다.
이 네 지역의 기후를 봤을 때 특히 온도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 공통점으로는 네 지역 모두 연교차가 35℃ 이상으로 크다는 것이었다. 수원과 대관령은 같은 위도상이더라도 대관령은 고지대 지역이여서 최고기온이 낮은 편이다. 반면 수원은 대부분 평지 지형으로 기온이 높게 나타나 특히 연교차가 제일 크게 나타난 지방이기도 하다.
2. 각 지역의 냉난방도일 분석
대전의 평균 기온은 13℃ 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9.1℃, 평균 냉방도일은 0.5℃이다.
수원의 평균 기온은 12.4℃ 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9.3℃, 평균 냉방도일은 1℃이다.
대관령의 평균 기온은 7.2℃ 이며, 평균 난방 도일은 11.1℃이며, 평균 냉방도일은 0.5℃이다. 진주의 평균기온은 13.6℃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7.4℃, 평균냉방도일은 1.2℃이다. 전체 적으로 보았을 때 대관령의 평균기온이 제일 낮았고 평균기온이 높은 곳은 진주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대관령의 냉방지역이 낮았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에 비해 해발 고도가 높아 평균 기온이 낮기 때문에 여름철 냉방도일이 적게 들고 겨울에는 난방도일이 많이 든다.
3. 각 지역의 상대습도 분석
연 평균 상대습도는 대관령, 수원, 대전, 진주 순으로 높았다.
하지만 대관령의 경우 최고습도(여름)와
최저습도(겨울)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관령은 동해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높은 태백산맥에 의한
푄현상이 발생해 겨울철에 비교적 건조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수원, 대전, 그리고 진주 이 세 지역의 경우 여름철에만 상대습도가 평균 상대습도보다 높은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현상은 한국에
찾아오는 여름철 장마에 의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4. 각 지역의 풍속 분석
대전의 최고 풍속은 2.4m/s이며 수원은 2.2m/s였고 진주는 네 개의도시 중 가장 낮은1.7m/s였고 대관령은 무려4.7m/s 였다.
최저 풍속은 최고 풍속과 마찬가지로 대관령, 대전=수원, 진주 순이었다.
대관령의 최저 풍속은 2.5m/s로 다른 세 개의 도시의 최고 풍속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다. 평균풍속 역시 대관령이 3.8m/s로 월등히 높게 나왔는데 대관령이 고지대이고 푄현상에 의해 바람이 많이 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기상청(www.kma.go.kr)
네이버 지식백과사전(terms.naver.com)
구글(www.google.co.kr)
그림34. 대관령의 월별운량과 전천일사량
그림35. 대관령의 연별운량과 전천일사량
4. 진주
위치
경상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진주는 동경127°53‘, 북위 35°03’에 위치한다. 기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의 특성을 띈다. 연평균기온 14℃이고, 연강수량은 1,701mm내외로 우리나라에서 최대다우지역에 속한다.
4-1 온도
진주의 연평균 온도는 13.5℃이고, 최저기온은 1월에 -5.6℃로 나타나며 최고기온은 30.8℃로 8월에 나타난다. 최한월 평균기온은 0.3℃로 1월에 나타나며 최난월 평균기온은 26.0℃로 8월에 나타난다.
그림36. 진주의 월별 온도변
그림37. 진주 연도별 온도변화
4-2 난방도일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18℃를 기준으로 난방을 하는데 난방도일은 일반적으로 일평균기온이 18℃ 이하가 되면 사람들이 난방을 시작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진주의 월별난방도일의 월적산이 가장 높은 달은 18.0℃·day로 1월이 가장 높았고, 연간난방도일의 연적산이 가장 높은 년도는 103.8℃·day로 2005년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의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난방도일과 평균기온은 반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38. 진주의 월별 난방도일
그림39. 진주의 연간 난방도일
4-3 냉방도일
냉방도일은 일반적으로 일평균기온이 24℃ 이상이 되면 사람들이 냉방을 시작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다. 진주의 월별냉방도일의 월적산이 가장 높은 달은 4.5℃·day로 8월이 가장 높았고, 연간냉방도일의 연적산이 가장 높은 년도는 18.9℃·day로 2005년에 높게 나타났다. 그림의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냉방도일과 평균기온은 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40. 진주 월별 냉방도일
그림41. 진주 연간 냉방도일
4-4 상대습도
진주의 월평균 상대습도를 보면
80.5%로 7월이 가장 높은 습도를 나타냈고, 여름철에는 80.5%로 습도가 가장 높았고, 겨울철에는 60.8%로 낮은 편이었다. 봄과 가을은 각각 56.4%와 66.6%로 습도가 낮아 건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69.8%로 2003년도와 2007년도에 가장 높았고, 2009년에는 64.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주의 연평균 상대습도는 66.9%로 나타난다.
그림42. 진주 월평균 상대습도
그림43. 진주 연평균 상대습도
4-5 풍속
진주의 월평균 풍속을 보면 1.7m/s로 3월,4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에는 1.1m/s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봄과 가을에 풍속이 빠른 것을 그래프를 통해 볼 수 있다. 연평균 풍속을 보면 1.6m/s로 2002년도에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을 때의 풍속은 2008년도에 1.2m/s로 나타나며, 연평균 풍속은 1.4m/s이다.
<그림44. 진주 월평균 풍속>
그림45. 진주 연평균 풍속
4-6 운량
진주의 월별 운량은 7월에 7.0할로 가장 크며, 그 밖에 6월과 8월에도 6할 이상으로 높으며, 그래프를 보니 비교적 여름철에 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겨울철에는 4할 이하의 운량 분포를 보여 비교적 청명한 것으로 나타난다. 연별 운량은 2003년에 5.1할로 가장 크고, 2004년에 4.3할로 가장 작으며. 연평균 운량은 4.8할이다.
그림46. 진주 월별 운량과 일사량
그림47. 진주 연별 운량과 일사량
결론
1. 각 지역의 온도를 분석
연평균 최고 기온은 수원, 진주, 대전, 대관령 순으로 높았으며, 최저 기온은 대관령, 수원, 대전, 진주 순으로 관측 되었다.
이 네 지역의 기후를 봤을 때 특히 온도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 공통점으로는 네 지역 모두 연교차가 35℃ 이상으로 크다는 것이었다. 수원과 대관령은 같은 위도상이더라도 대관령은 고지대 지역이여서 최고기온이 낮은 편이다. 반면 수원은 대부분 평지 지형으로 기온이 높게 나타나 특히 연교차가 제일 크게 나타난 지방이기도 하다.
2. 각 지역의 냉난방도일 분석
대전의 평균 기온은 13℃ 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9.1℃, 평균 냉방도일은 0.5℃이다.
수원의 평균 기온은 12.4℃ 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9.3℃, 평균 냉방도일은 1℃이다.
대관령의 평균 기온은 7.2℃ 이며, 평균 난방 도일은 11.1℃이며, 평균 냉방도일은 0.5℃이다. 진주의 평균기온은 13.6℃이며 평균 난방도일은 7.4℃, 평균냉방도일은 1.2℃이다. 전체 적으로 보았을 때 대관령의 평균기온이 제일 낮았고 평균기온이 높은 곳은 진주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대관령의 냉방지역이 낮았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에 비해 해발 고도가 높아 평균 기온이 낮기 때문에 여름철 냉방도일이 적게 들고 겨울에는 난방도일이 많이 든다.
3. 각 지역의 상대습도 분석
연 평균 상대습도는 대관령, 수원, 대전, 진주 순으로 높았다.
하지만 대관령의 경우 최고습도(여름)와
최저습도(겨울)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관령은 동해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높은 태백산맥에 의한
푄현상이 발생해 겨울철에 비교적 건조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수원, 대전, 그리고 진주 이 세 지역의 경우 여름철에만 상대습도가 평균 상대습도보다 높은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현상은 한국에
찾아오는 여름철 장마에 의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4. 각 지역의 풍속 분석
대전의 최고 풍속은 2.4m/s이며 수원은 2.2m/s였고 진주는 네 개의도시 중 가장 낮은1.7m/s였고 대관령은 무려4.7m/s 였다.
최저 풍속은 최고 풍속과 마찬가지로 대관령, 대전=수원, 진주 순이었다.
대관령의 최저 풍속은 2.5m/s로 다른 세 개의 도시의 최고 풍속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다. 평균풍속 역시 대관령이 3.8m/s로 월등히 높게 나왔는데 대관령이 고지대이고 푄현상에 의해 바람이 많이 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기상청(www.kma.go.kr)
네이버 지식백과사전(terms.naver.com)
구글(www.google.co.kr)
키워드
추천자료
농촌경제에 대해서
엘리뇨와 라니냐의 비교분석
지진보험설명
건물생체기후도
지구온난화현상과 탄소배출권사업에 대한 관계 및 우리의 대응자세
[수자원][수자원정책][물부족][물부족문제][물문제][물분쟁]수자원의 종류, 시대별 수자원정...
지구온난화와 도시기후변화
탐라속으로.. 저잣거리 구성으로 인한 성읍민속마을의 관광 명소적 요소의 재발견 - 성읍민속...
[항만][항만의 모니터링제도][항만의 민영화][전항만][항만의 문제점]항만의 개념, 항만의 생...
오염확산론 (Wind Rose analysis)
[세상읽기와 논술 A]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하여 정리한 후 자신의 의...
[물류조사방법론] AHP기법을 이용한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연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과 ...
해양관광으로서의 유인도서 유형화를 통한 특성 분석
대기중에서 산화제 역할을 하는 SOx의 대기화학적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