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스포츠] 볼링(bowling) (볼링의 정의, 종류, 기원, 볼링 시설·용구, 경기방법·점수계산, 기본자세, 예절, 용어, 특성 및 효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 스포츠] 볼링(bowling) (볼링의 정의, 종류, 기원, 볼링 시설·용구, 경기방법·점수계산, 기본자세, 예절, 용어, 특성 및 효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볼링의 정의 & 볼링의 종류 및 기원
2. 한국의 볼링
3. 볼링 시설 & 용구
4. 경기방법 & 점수계산
5. 볼링의 기본자세 & 볼링공의 무게(공 고르기)
6. 볼링장에서의 예절
7. 볼링의 용어
8. 3 : 1 : 2 이론 (스트라이크존찾기)
9. 스페어 처리
10. 볼링게임의 종류 및 방식
11. 훅 볼 & 커브 볼 & 스트레이트 볼 및 볼의 회전
12. 볼링의 특성 및 효과
13. 투구의 기본 유의사항 20가지
14. 볼링용품
15. 볼링의 원리 & 기초기술

본문내용

(3) 제3스텝
세 번째 스텝은 오른발(오른손 볼러기준)이 앞으로 나가면서 동시에 볼은 원을 그리며 뒷부분의 가장 높은 지점(back swing)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바로 어깨의 가장 높은 지점에 해당된다.
(4) 제4스텝
네 번째 스텝은 두 번째로 왼발(오른손 볼러기준)이 앞으로 나가면서 슬라이딩을 하며 볼을 들고 있는 팔은 원을 그리며 내려오게 한다. 스텝이 끝난 후 볼은 스윙 시 가장 낮은 지점에 오게 되며, 오른 손은 레인 바닥을 향하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릴리즈가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멈춤 없이 팔로 스루(follow-through)가 되어야 한다.
3) 5스텝(five step)
5스텝은 4스텝과 거의 같다. 다만 첫 스텝을 시작하는 스텝이라고 하여 두 번째 스텝까지 푸쉬어웨이가 연결되는 것이다. 5스텝은 전반적으로 보폭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유연한 투구 동작과 속도 그리고 전방으로의 운동량을 증가시켜 스윙에 탄력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릴리즈(release)와 팔로스루(follow-through)
릴리즈 동작은 볼의 투구 방향과 회전력 그리고 스피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동작이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릴리즈는 4스텝을 기준으로 세 번째 스텝에서 4스텝을 마침과 동시에 엄지가 볼에서 빠져야 한다. 볼을 계속하여 올바르게 잡고 있으면 엄지는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중지와 약지 손가락은 계속 구멍에 있는 상태에서 직선으로 들어 올린다(lifting). 적절하게 잡고 있으면 볼에 스핀을 주어 자연적으로 핀을 향해 나아가면서 훅(hook)이 일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팔로스루 시에 손은 악수하는 자세로 원을 그리며 천정을 향해 위로 올리면 손가락은 볼에서 자연스럽게 빠진다. 이때 손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스윙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목표 라인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 릴리스(Release)란?
스텝의 이동을 통한 스윙의 최종 단계로 볼의 회전 방향과 스피드를 결정합니다. 훌륭한 릴리스는 엄지를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빼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는 고득점으로 이어지는 열쇠이기도 합니다. 릴리스는 그 시기와 높이에 따라 볼의 변화가 다양하며 레인의 상황에 수시로 피지컬을 변경할 수 있도록 연습되어져 있어야 합니다. 릴리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푸싱과 리프팅 또는 턴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① 푸싱(Pushing) : 그립한 손의 손바닥으로 볼을 레인 앞으로 미는 동작으로 손이 미리 돌아가면 푸싱 동작이 나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상 약지가 리드되어 볼 밑에 손바닥이 위치되도록 신경써야 합니다.
② 리프팅(Lifting) : 푸싱 다음으로 연결되는 동작으로 턴(Turn)과 함께 볼의 회전을 가합니다. 엄지는 이미 볼과 이탈되어 중약지로 볼을 앞으로 굴리는데 중약지가 풀리지 않고 견고히 볼을 밑에서 받쳐 올려야 합니다. 리프팅은 턴과 달리 볼의 회전을 한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 초, 중급 볼러에게 적합한 기술로 대부분의 볼링센터에서 푸싱과 함께 사용하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③ 턴(Turn) = 로테이션(Rotation) : 손목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을 돌리는 행위이며 플렉션(Flexion), 어브덕션(Abduction), 어덕션(Aduction), 익스텐션(Exetension)의 동작의 총칭입니다. 손과 팔은 반드시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턴을 일찍 하면 회전은 감소하지만 스피드가 증가하기 때문에 볼 스피드가 느린 볼러는 턴을 조금 일찍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냥 턴의 시점을 늦쳐 회전을 많이 주는 것이 결코 좋은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볼러들은 턴앤 리프트(Turn And Lift)를 하는데 이는 백스윙에서 포워드스윙으로 전환될 때 이미 팔과 손이 턴이 이루어지며 푸싱을 하고 리프팅을 합니다. 이런 스윙 형태는 익히기가 쉬운 반면 오일리한 레인에서는 취약하며 리프트앤 턴(Lift And Turn)은 리프팅과 동시에 턴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익히기는 어렵지만 어떠한 레인 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릴리스의 시기>
일명 스윙 타이밍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시기는 볼이 볼러의 복숭아 뼈를 지나는 순간이며 이미 엉덩이 뒷쪽에서 엄지가 빠졌다는 느낌으로 릴리스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왼쪽으로 빗겨간 오른발이 바닥면에 닿게 하여 허리를 세우는 시점에 릴리스 시기를 맞추는 것이 일정한 타이밍 만드는 것입니다.
때로 레인의 상황에 따라 오일리한 레인에서는 엉덩이 뒷쪽에서 릴리스가 이루어지도록 스윙 타이밍을 빠르게 가져가고 드라이한 레인에서는 복숭아 뼈를 지나쳐 스윙 타이밍을 늦도록 해야 합니다. 스윙 타이밍이 늦으면 리프팅 양이 줄어 들고 볼이 로프팅(Lofting)이 되거나 드롭 볼(Drop Ball)이 되어 드라이한 레인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되기도 합니다.
<릴리스의 높이>
바닥면에서 약 10cm 정도가 적당하며 이도 또한 레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일리한 레인일수록 릴리스 높이를 낮춰 볼의 회전을 일찍 만들며 볼의 에너지를 보존해야 하고 드라이한 레인일수록 볼을 살짝 들어 올려 던지는 느낌으로 볼을 릴리스해야 합니다. 이때 로프팅된 볼은 중약지의 리프팅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단순히 엄지와 중약지가 같이 빠짐으로 던지는 효과만 발휘해서는 안됩니다.
- 피치(pitch)란?
볼링 볼에 적합한 손가락의 구멍을 뚫을 때 볼 중심부에 대한 구멍의 각도를 피치(pitch)라고도 하며, 엄지에 대한 피치(thumb pitch : 엄지 피치)는 엄지 손가락의 입사각이 볼 중심선을 향하여 0인 제로 피치와 엄지의 앞뒤, 좌, 우 방향에 따라 포워드 피치(forward pitch), 리버스 피치(reverse pitch), 레프트 사이드 피치(left side pitch), 라이트 사이드 피치(right side pitch)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포워드 피치는 볼을 잡는 힘이 강하여 스팬이 짧은 사람에게 유리하고, 리버스 피이빚 그 반대이다. 그리고 중지, 약지에 대한 피치(finger pitch : 핑거
  • 가격3,3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4.06.0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