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습 보고서 1
Ⅰ. 실습기관 소개
Ⅱ. 실습내용 및 자신의 역할에 대한 평가
Ⅲ. 실습목표에 대한 평가 (실습생 자신의 실습목표에 대한 평가)
Ⅳ. 실천과정에 대한 평가
Ⅴ. 실습생의 자원 활용에 대한 평가 (인적, 물적 자원)
Ⅵ. 실습에 임하는 자세의 평가
Ⅶ. 실습지도감독(supervision)활용 및 평가
Ⅷ. 하고 싶은 말
실습 보고서 2
실습을 마친 후 나누고 싶은 이슈
(가족치료의 정의와 개인치료와의 차이)
실습 보고서 3
( 가족치료 사례 : 부부간 의사소통문제, 자녀양육상의 문제호소 가족)
Ⅰ. 실습기관 소개
Ⅱ. 실습내용 및 자신의 역할에 대한 평가
Ⅲ. 실습목표에 대한 평가 (실습생 자신의 실습목표에 대한 평가)
Ⅳ. 실천과정에 대한 평가
Ⅴ. 실습생의 자원 활용에 대한 평가 (인적, 물적 자원)
Ⅵ. 실습에 임하는 자세의 평가
Ⅶ. 실습지도감독(supervision)활용 및 평가
Ⅷ. 하고 싶은 말
실습 보고서 2
실습을 마친 후 나누고 싶은 이슈
(가족치료의 정의와 개인치료와의 차이)
실습 보고서 3
( 가족치료 사례 : 부부간 의사소통문제, 자녀양육상의 문제호소 가족)
본문내용
면 부부라고 할 수도 없어요. 그냥 한집에 사는 사람..
상담자 : 음.. 스트레스를 덜 받으면 남편과 얘기도 좀 더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고 아이들한테 좀 더 웃고 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하셧는데.. 그러면 아까 전에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운동을 하신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운동하는 것 말고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서 하실 수 있는 또 다른게 있을까요?
-다른 해결방안의 탐색
내담자 : 운동 말고는.. 생각한게 없거든요? 너무 시간에 좇기고 그러니까.. 여유가 생기고 시가이 생긴다면 운동을 해서 내 몸을 좀 챙기고 싶어요. 어찌보면 내가 건강해야 일을 하는 것도..
상담자 : 그렇죠. 그래야 일하는 것도..
내담자 : 예. 일단 건강을 챙기고 싶어요.
상담자 : 그러면 저랑 상담 끝나고 치료실 나가면 우동을 하기 위해서 내담자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지금과. 현재 지내오는 것과 다른게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떻게 다르게 하면 운동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구체적인 행동목표 설정을 위한 질문
내담자 : 일단 남편하고 대화..
상담자 : 대화.. 그 대화를 하신다는게 운동하는 것을 허락받는 의미로?
내담자 : 아니요. 그게 아니고.. 그 동안에 힘들었던 과정을 이야기해서 마음이 풀려야 운동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저는 우울증도 있는 것 같아요. 어차피 남편한테 대접 못 받아, 자녀한테 대접 못 받아, 시댁한테 대접 못받아.. 그러면 정말 살기 싫거든요.. 그런 부분들이 삶의 의미를 찾고 그럴려면 일단 남편하고 대화를 해야 할 것 같아요. 시댁에서도 남편말만 들어요. 제 말을 안 들어요. 그러니까 답답하죠.
-대처질문을 통해서 내답자의 강점을 찾고 어떻게 유지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물을 수도 있었지만 치료자가 문제해결 방안을 찾기에 급급했던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다.
상담자 : 아.. 그러시겠어요. 그런데도 지금까지 자녀들도 잘 기르고 강한 어머니신 것 같아요. 그러면 지금까지 대화를 거의 잘 못하셧잖아요? 물론, 남편분이 거절한 것도 있겠지만.. 오늘 상담이 끝나고 집에 가서 어떻게 하면 남편과 진지하게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지금까지 해왔던 것과 어떻게 다르게 하면 남편과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담자 : 그러니까.. 이렇게 상담 받으려고 올려고 했으면 남편과 같이 와서 좀 남편의 마음의 변화를.. 조금이라도.. 이렇게.. 그러고 제 마음을 남편에게 ‘이렇게 가정을 지키고 싶다’는 마음을 확고하게 내가 이 자리에서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고 싶다는 것을 알면 좋을텐데.. 저는 마음이 조금 가벼워 졌는데.. 그것을 남편이 받아줄지.. 그게 걱정이 되고 겁나요.. 사실은..
상담자 : 방금 전에 마음이 좀 가벼워 지셧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어떻게 마음이 좀 가벼워지실수 있었나요?
-변화에 대한 간접적인 칭찬
내담자 : 일단 이렇게 얘기를 들어주시니까..
상담자 : 아..
내담자 : 잘 들어 주시니까.. 남편은 얘기를 안 들어 주잖아요.. 못하게 하잖아요..
상담자 : 그것 외에도 해결하려고 하는 적극적인 자세도 마음이 가벼워 지는데 많이 도움이 되신 것 같아요. 좋습니다. 그러면 좀 더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나요? 그전에 말씀하신 것과 관련해서..
-변화에 대해 간접적인 칭찬
내담자 : 저는 남편과 같이 오면 남편을 좀 변화를 많이 이끌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상담자 : 예, 알겠습니다. 수고하셨구요. 그러면 10분 정도 쉬었다가 내담자께 전해드릴 메시지를 정리해서 다시 뵙도록 하죠.
4. 메시지 : 칭찬, 교육적인 것, 새로운 의미. 과제
제가 메시지를 정리하면서 생각해보니 남편과의 갈등, 시댁과의 갈등. 아이들의 교육 문제 등 여러 가지 상황속에서 저 같았으면 쉽지 않았을 텐데 가정은 꼭 유지해야겠다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잘 버텨오신 것을 보고 책임감도 강하시고 가족에 대한 사랑도 많으신 것 같아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새벽 늦게 까지 일하시고 쉽지 않을 텐데 자녀 진로문제에 대해 깊이 고민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자녀교육과 미래에도 관심이 많으신 따뜻한 어머니인 것을 느낄 수 있었구요. 또한 상담에 나오기 쉽지 않으셨을 텐데 이렇게 상담에 나오셔서 해결하기 위해 고민을 하시고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면서 어려운 상황에서 보다 건강한 가정을 위한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그런 의미에서 숙제를 하나 드리겠는데요. 다음에 저와 만날 때까지 가족과의 관계에 있어서 지속되기를 원하는 일이 일어나는지 또 그때 내담자를 포함해서 다른 가족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관찰하여 저에게 이야기 해주셨으면 합니다.
5. 주로 사용한 접근 기술
- 관계성 질문 (Relationship question) : 내담자가 토로하는 문제가 단지 남편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해결방안을 구성할 수 있도록 관계성 질문을 활용하였으며 기적질문을 통해서 원하는 목표를 찾을 수 없을 때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관계성 질문을 활용
- 예외적질문법 (Exception question) : 내담자의 생활속에서 문제보다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파악하여 그런 상황을 유지시키기 위해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할 수 있는 상황을 계속 하도록 하는 해결방안 탐색을 위해서 예외 질문법 사용.
- 척도질문 (Scale question) : 내담자의 추상적인 사고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현재상태, 변화동기, 치료목표 등을 숫자로 표현하도록 하여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변화 목적을 설정하며 추후에 개입효과성, 목표달성 정도를 명확히 평가하기 위해 척도질문법을 활용.
- 기적질문법 (Miracle question) : 내담자가 문제해결 상황을 상상해보고 해결하기를 원하는 것을 구체화하도록 하기 위해 기적질문을 사용하였으나 내담자가 구체적으로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관계성 질문으로 탐색하였으며 기적이 일어난 날의 일기를 써오는 과제를 부여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음.
* 치료면담전 상담예약을 했었더라면 치료면담 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을 통해 변화를 탐색할 수도 있었고, 좀 더 신경을
상담자 : 음.. 스트레스를 덜 받으면 남편과 얘기도 좀 더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고 아이들한테 좀 더 웃고 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하셧는데.. 그러면 아까 전에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운동을 하신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운동하는 것 말고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서 하실 수 있는 또 다른게 있을까요?
-다른 해결방안의 탐색
내담자 : 운동 말고는.. 생각한게 없거든요? 너무 시간에 좇기고 그러니까.. 여유가 생기고 시가이 생긴다면 운동을 해서 내 몸을 좀 챙기고 싶어요. 어찌보면 내가 건강해야 일을 하는 것도..
상담자 : 그렇죠. 그래야 일하는 것도..
내담자 : 예. 일단 건강을 챙기고 싶어요.
상담자 : 그러면 저랑 상담 끝나고 치료실 나가면 우동을 하기 위해서 내담자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지금과. 현재 지내오는 것과 다른게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떻게 다르게 하면 운동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구체적인 행동목표 설정을 위한 질문
내담자 : 일단 남편하고 대화..
상담자 : 대화.. 그 대화를 하신다는게 운동하는 것을 허락받는 의미로?
내담자 : 아니요. 그게 아니고.. 그 동안에 힘들었던 과정을 이야기해서 마음이 풀려야 운동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저는 우울증도 있는 것 같아요. 어차피 남편한테 대접 못 받아, 자녀한테 대접 못 받아, 시댁한테 대접 못받아.. 그러면 정말 살기 싫거든요.. 그런 부분들이 삶의 의미를 찾고 그럴려면 일단 남편하고 대화를 해야 할 것 같아요. 시댁에서도 남편말만 들어요. 제 말을 안 들어요. 그러니까 답답하죠.
-대처질문을 통해서 내답자의 강점을 찾고 어떻게 유지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물을 수도 있었지만 치료자가 문제해결 방안을 찾기에 급급했던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다.
상담자 : 아.. 그러시겠어요. 그런데도 지금까지 자녀들도 잘 기르고 강한 어머니신 것 같아요. 그러면 지금까지 대화를 거의 잘 못하셧잖아요? 물론, 남편분이 거절한 것도 있겠지만.. 오늘 상담이 끝나고 집에 가서 어떻게 하면 남편과 진지하게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지금까지 해왔던 것과 어떻게 다르게 하면 남편과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담자 : 그러니까.. 이렇게 상담 받으려고 올려고 했으면 남편과 같이 와서 좀 남편의 마음의 변화를.. 조금이라도.. 이렇게.. 그러고 제 마음을 남편에게 ‘이렇게 가정을 지키고 싶다’는 마음을 확고하게 내가 이 자리에서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고 싶다는 것을 알면 좋을텐데.. 저는 마음이 조금 가벼워 졌는데.. 그것을 남편이 받아줄지.. 그게 걱정이 되고 겁나요.. 사실은..
상담자 : 방금 전에 마음이 좀 가벼워 지셧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어떻게 마음이 좀 가벼워지실수 있었나요?
-변화에 대한 간접적인 칭찬
내담자 : 일단 이렇게 얘기를 들어주시니까..
상담자 : 아..
내담자 : 잘 들어 주시니까.. 남편은 얘기를 안 들어 주잖아요.. 못하게 하잖아요..
상담자 : 그것 외에도 해결하려고 하는 적극적인 자세도 마음이 가벼워 지는데 많이 도움이 되신 것 같아요. 좋습니다. 그러면 좀 더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나요? 그전에 말씀하신 것과 관련해서..
-변화에 대해 간접적인 칭찬
내담자 : 저는 남편과 같이 오면 남편을 좀 변화를 많이 이끌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상담자 : 예, 알겠습니다. 수고하셨구요. 그러면 10분 정도 쉬었다가 내담자께 전해드릴 메시지를 정리해서 다시 뵙도록 하죠.
4. 메시지 : 칭찬, 교육적인 것, 새로운 의미. 과제
제가 메시지를 정리하면서 생각해보니 남편과의 갈등, 시댁과의 갈등. 아이들의 교육 문제 등 여러 가지 상황속에서 저 같았으면 쉽지 않았을 텐데 가정은 꼭 유지해야겠다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잘 버텨오신 것을 보고 책임감도 강하시고 가족에 대한 사랑도 많으신 것 같아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새벽 늦게 까지 일하시고 쉽지 않을 텐데 자녀 진로문제에 대해 깊이 고민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자녀교육과 미래에도 관심이 많으신 따뜻한 어머니인 것을 느낄 수 있었구요. 또한 상담에 나오기 쉽지 않으셨을 텐데 이렇게 상담에 나오셔서 해결하기 위해 고민을 하시고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면서 어려운 상황에서 보다 건강한 가정을 위한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그런 의미에서 숙제를 하나 드리겠는데요. 다음에 저와 만날 때까지 가족과의 관계에 있어서 지속되기를 원하는 일이 일어나는지 또 그때 내담자를 포함해서 다른 가족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관찰하여 저에게 이야기 해주셨으면 합니다.
5. 주로 사용한 접근 기술
- 관계성 질문 (Relationship question) : 내담자가 토로하는 문제가 단지 남편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해결방안을 구성할 수 있도록 관계성 질문을 활용하였으며 기적질문을 통해서 원하는 목표를 찾을 수 없을 때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관계성 질문을 활용
- 예외적질문법 (Exception question) : 내담자의 생활속에서 문제보다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파악하여 그런 상황을 유지시키기 위해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할 수 있는 상황을 계속 하도록 하는 해결방안 탐색을 위해서 예외 질문법 사용.
- 척도질문 (Scale question) : 내담자의 추상적인 사고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현재상태, 변화동기, 치료목표 등을 숫자로 표현하도록 하여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변화 목적을 설정하며 추후에 개입효과성, 목표달성 정도를 명확히 평가하기 위해 척도질문법을 활용.
- 기적질문법 (Miracle question) : 내담자가 문제해결 상황을 상상해보고 해결하기를 원하는 것을 구체화하도록 하기 위해 기적질문을 사용하였으나 내담자가 구체적으로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관계성 질문으로 탐색하였으며 기적이 일어난 날의 일기를 써오는 과제를 부여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음.
* 치료면담전 상담예약을 했었더라면 치료면담 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을 통해 변화를 탐색할 수도 있었고, 좀 더 신경을
추천자료
[사회복지] 상담기록 및 개입계획 사례조사
[칼 로저스][인간중심 상담 이론][사례][상담][자아]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 이론과 사례(...
[시장실패][정부의 시장개입][시장기능]시장실패와 정부의 시장개입(사례)(시장실패란, 정부...
재혼가족(재혼가정)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개입 사례 보고서
[사회복지실천론] 과제중심모델의 활용 및 평가와 개입 사례 분석 (2012년 추천)
가정위탁서비스, 충북 가정위탁지원센터 현장실습 견학문, 가정위탁사례 보고서
단일사례설계로 실시된 연구를 찾아 그 수행과정(문제의 확인-변수의 선정-측정대상-개입목...
결손가정 중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인간중심 상담기법 적용사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해결중심이론> 해결중심이론의 기본가정 및 주요개념과 개입기법(주요...
방임 및 신체적 정신적 학대(사례개요, 클라이언트발달사, 가족력, 사정, 치료계획, 상담과정...
[과정중심모델] 자신 혹은 주변 사람을 대상으로 과제중심모델에 입각하여 개입을 한다고 가...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아들러 심리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 및 실제와 평가 - 치료적 ...
단일사례설계로 실시된 연구를 찾아 그 수행과정(문제의 확인, 변수의 선정, 측정대상, 개입...
[사례관리의 단계]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 과정(접수 및 자료수집 사정 개입계획 수립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