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교는 피한다.
6. 전기문 지도법
1) 어느 시대 사람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시대의 역사적 특성과 사회적 풍토, 사상의 흐름 등을 알아본다.
2) 환경을 이해한다. 주인공 출생 당시의 가정환경을 알아본다. 가족관계, 성장과정, 활동 무대를 알아본다.
3) 인물을 이해한다.
4) 활동과 업적을 알아본다.
5) 인물의 활동이 사회와 국가 및 인류에게 어떤 공헌을 했는지 알아본다.
6) 자기의 생활, 의지, 사고방식과 비교하며 읽고, 자신과 통하는 점을 찾는다.
7) 자신과 다른 점을 찾는다.
8) 작품 속의 인물이 살아있을 때와 요즘은 무엇이 다른가를 찾는다.-역사적 감각이 생긴다.
9) 자신의 배경과 비교하며 읽는다.
10) 본받을 점을 찾게 된다.
과학동화
1. 과학동화란
·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를 작가가 상상력을 동원하여 동화 형식으로 쓴 글이다.
· 목적 의식이 분명한 글이다.
2. 과학동화의 가치
1) 어린이들의 과학적 소양을 키워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하도록 돕는다.
2) 과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상상을 통하여 동물과 식물의 세계를 이해하고 감상하며, 우주를 여행하고,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어보게 한다.
3) 자연과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삶의 모델을 제공한다.
3. 과학동화의 종류
과학도서: 과학동화, 과학상식, 과학책, 과학만화
내용중심: 생명과학, 지구과학, 우주과학, 물리과학, 기타 동식물 과학 등
4. 과학동화 지도법
1) 항상 사람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과학이다. 사람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들이 점점 바뀌어지고 있는데 이것의 힘이 ‘과학’이다. 과학은 생활과 뗄 수가 없기 때문에 과학지도는 중요하다. 과학은 편리한 점도 있지만, 과학적 물건들에 둘러싸여 야기되는 문제들을 생각해 보게 한다. (예: 환경 오염)
2) 과학하면 떠오르는 것을 ‘마인드맵’으로 적게 한다. (예: 우주, 연구소, 실험, 기계, 전등, 핸드폰, 마우스, 책, 컴퓨터, 선풍기, 에어컨 등)
3) 책에 대한 흥미를 유도한다.
4) 책의 특징을 설명한다.
5) 내용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점검하거나 활성화 시킨다.
6)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며 읽는다.
7)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 혹은 교훈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읽는다.
8) 글의 짜임을 생각하며 읽는다.
9) 과학적 사실과 지식, 동화적 부분을 구분해 본다.
10)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이나 사실을 찾아본다.
11) 전체의 주체를 파악하고 글을 쓴다.
6. 전기문 지도법
1) 어느 시대 사람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시대의 역사적 특성과 사회적 풍토, 사상의 흐름 등을 알아본다.
2) 환경을 이해한다. 주인공 출생 당시의 가정환경을 알아본다. 가족관계, 성장과정, 활동 무대를 알아본다.
3) 인물을 이해한다.
4) 활동과 업적을 알아본다.
5) 인물의 활동이 사회와 국가 및 인류에게 어떤 공헌을 했는지 알아본다.
6) 자기의 생활, 의지, 사고방식과 비교하며 읽고, 자신과 통하는 점을 찾는다.
7) 자신과 다른 점을 찾는다.
8) 작품 속의 인물이 살아있을 때와 요즘은 무엇이 다른가를 찾는다.-역사적 감각이 생긴다.
9) 자신의 배경과 비교하며 읽는다.
10) 본받을 점을 찾게 된다.
과학동화
1. 과학동화란
·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를 작가가 상상력을 동원하여 동화 형식으로 쓴 글이다.
· 목적 의식이 분명한 글이다.
2. 과학동화의 가치
1) 어린이들의 과학적 소양을 키워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하도록 돕는다.
2) 과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상상을 통하여 동물과 식물의 세계를 이해하고 감상하며, 우주를 여행하고,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어보게 한다.
3) 자연과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삶의 모델을 제공한다.
3. 과학동화의 종류
과학도서: 과학동화, 과학상식, 과학책, 과학만화
내용중심: 생명과학, 지구과학, 우주과학, 물리과학, 기타 동식물 과학 등
4. 과학동화 지도법
1) 항상 사람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과학이다. 사람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들이 점점 바뀌어지고 있는데 이것의 힘이 ‘과학’이다. 과학은 생활과 뗄 수가 없기 때문에 과학지도는 중요하다. 과학은 편리한 점도 있지만, 과학적 물건들에 둘러싸여 야기되는 문제들을 생각해 보게 한다. (예: 환경 오염)
2) 과학하면 떠오르는 것을 ‘마인드맵’으로 적게 한다. (예: 우주, 연구소, 실험, 기계, 전등, 핸드폰, 마우스, 책, 컴퓨터, 선풍기, 에어컨 등)
3) 책에 대한 흥미를 유도한다.
4) 책의 특징을 설명한다.
5) 내용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점검하거나 활성화 시킨다.
6)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며 읽는다.
7)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 혹은 교훈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읽는다.
8) 글의 짜임을 생각하며 읽는다.
9) 과학적 사실과 지식, 동화적 부분을 구분해 본다.
10)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이나 사실을 찾아본다.
11) 전체의 주체를 파악하고 글을 쓴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문학을 통한 총체적 언어교육과 아동문학을 통한 과학교육에 대해 정리
[유아문학] 아동문학교육의 방향
지금까지 소개된 아동 문학 작품 중 한가지를 읽고 아동문학 이론을 접목시켜 분석
아동문학교육활동을 계획할 때 누리과정의 생활영역과 관련하여 주제를 정하고 같은 주제를 ...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발달적 특성과 각 단계에 적합한 아동문학 활동에 대해서 서술
아동문학-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
[아동 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그림책 (좋은 그림책의 정의, 야콥스가 제시한 좋은 그림책의...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아동문학] 한국/서양 동화(아동문학) 중에 실사/애니로 제작된 영화를 선택한다. 동화와 영...
[아동문학]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래동화를 읽고 아동 발달적,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에 따...
아동문학의 구성요소와 아동문학 중 글 없는 그림책을 유아에게 제공할 때 유아에게 미치는 ...
[아동문학] 유아문학이 유아의 4가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시오 : 유아문학
[아동문학] 유아문학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효과적인 그림책 선정방법에 대하여 논하시...
문학의 즐거움의 경험을 되살릴 수 있도록 아동문학작품을 읽고 감명 깊은 작품을 소개해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