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 론 ........................................................................................4
Ⅱ interactive TV의 개요 .....................................................................5
1. interactive TV의 등장 배경 ...........................................................5
2. interactive TV와 internet TV의 차이 ................................................5
3. interactive TV 서비스 .................................................................6
Ⅲ interactive TV 산업동향 .................................................................11
1. 주요 관련 사업 동향 .....................................................................11
1) open TV ............................................................................11
2) mediahighway .....................................................................12
2. 국내외 산업동향 ......................................................................15
1) 한국 .................................................................................15
2) 미국 .................................................................................16
3) 일본 .................................................................................17
Ⅳ interactive TV 시장전망 .................................................................18
1. interactive TV 시장 전망 ............................................................18
2. interactive TV 서비스별 시장 예측 .................................................19
3. 세계 interactive TV 서비스 시장 전망 .............................................19
Ⅴ 결론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 ............................................................20
참고 문헌 .....................................................................................22
Ⅰ 서 론 ........................................................................................4
Ⅱ interactive TV의 개요 .....................................................................5
1. interactive TV의 등장 배경 ...........................................................5
2. interactive TV와 internet TV의 차이 ................................................5
3. interactive TV 서비스 .................................................................6
Ⅲ interactive TV 산업동향 .................................................................11
1. 주요 관련 사업 동향 .....................................................................11
1) open TV ............................................................................11
2) mediahighway .....................................................................12
2. 국내외 산업동향 ......................................................................15
1) 한국 .................................................................................15
2) 미국 .................................................................................16
3) 일본 .................................................................................17
Ⅳ interactive TV 시장전망 .................................................................18
1. interactive TV 시장 전망 ............................................................18
2. interactive TV 서비스별 시장 예측 .................................................19
3. 세계 interactive TV 서비스 시장 전망 .............................................19
Ⅴ 결론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 ............................................................20
참고 문헌 .....................................................................................22
본문내용
면에서는 응답자 대부분이 가입자 수 증가로 인해 2005년에는 15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25% 정도는 무려 25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도 전망하고 있어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2003년에서 2005년 사이에 interactive TV 시장이 급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는 응답자들 모두 의견이 일치하였다(그림 2 참조).
동 보고서에 따르면, interactive TV 시장은 아직 초기 형성 단계이지만, 기술과 보급 증대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2003년에는 시장 규모가 73억 달러에 이를 것이고 2006년에는 32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interactive TV 서비스별 시장 예측
TechTrends (http://www.techtrends.com)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자들 중 약 46% 이상이 interactive TV(i TV)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서비스별로 살펴보면 제품 정보/쿠폰 서비스 53%, 음식주문관련 33%, 전자 뱅킹/투자 34%로 나타났다. 그 중 전자 뱅킹/투자에 관심을 보인 소비자들은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한 요금지불에 있어서는 단지 6%만이 지불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료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한 interactive TV서비스별 소비자들의 잠재적인 관심도에서는 Video-on-Demand가 75%로 향후 큰 폭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그림 참조).
3. 세계 interactive TV 서비스 시장 전망
인터랙티브 TV의 성장은 특히 디지털 TV를 통한 전자상거래(T-commerce), 인터넷 접속, 게임/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및 pay-TV와 같은 양방향 TV 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향후 그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2001년 세계 인터랙티브 TV 서비스 이용자수는 디지털 TV 가입자 중 약 20%인 1,200만 명에서 2006년까지 2억 2,641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Ovum이 제시한 세계 인터랙티브 TV 서비스 시장 전망에 따르면, 디지털 TV 가입자수가 가장 많은 북미, 서유럽 및 아/태 지역에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지역의 이용자 수는 매년 성장을 거듭하다가 2003년부터 더욱 큰 폭으로 성장하며 5천만 이용자 수를 넘어설 전망이다. 수입 면에서는 2001년 북미 지역이 전체 수입의63%로 1위를 차지하며, 서유럽과 아/태 지역이 각각 31%와 6%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Ⅴ 결론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각 분야의 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영상(Video), 정보(Computer), 통신(Communication), 음향(Audio)등이 결합된 멀티미디어형의 제품화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가전, 통신, 컴퓨터, 음향 등의 구분이 사라지는 디지털 기술의 시대가 됨으로서 디지털 영상 기기와 컴퓨터 기술이 융합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정보화 기기의 출시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더욱이 우리 나라를 위시한 선진 각국이 새로운 산업의 핵으로 불리우는 대화형 디지털 TV방송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아울러 산업력 조장의 기반 내용인 다양한 영상정보 서비스산업 또한 크게 발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폭발적으로 늘어날 신규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시장 선정을 위한 기술개발 경쟁 또한 치열하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디지털방송 시대에 적합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의도아래 세계적인 표준화를 선도하는 기술 연구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하며 최적의 기능모델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세부기술의 구현의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위한 제도적인 받침이 있다면 국가 경쟁력 강화에 충분하게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에서 인터랙티브 TV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청자들이 인터랙티브한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확실한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TV 홈쇼핑 사업과 인터랙티브 TV가 결합되는 T-커머스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기 연예인이 입은 옷과 보석 류를 검색하고 그 자리에서 구매를 결정하는 T-커머스 형태는 분명 매력적인 서비스로 시청자들에게 어필할 것이다.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디지털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미디어 홍수 속에서 소비자들이 선택할 가장 이상적인 TV의 형태는 고화질과 고도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귀결될 것이다. 서비스는 빨리 시작됐지만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과 달리 한국은 전세계 최고의 브로드 밴드 망을 자랑하고 있다. 물론 한국 시장에도 문제는 많다. 인프라만 갖추어졌지 서비스 방향이나 컨텐트는 외국에 비해 한참 뒤쳐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컨텐트의 개발이 시급하다.
디지털 양방향 서비스가 우리 나라 시청자들에게 선보이게 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상상만 해도 기대되지 않을 수 없다. 양방향 서비스의 도입으로 TV가 ‘바보상자’라는 불명예스러운 꼬리표를 뗄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은 셈이다. 주인 뜻과는 무관하게 방송사들이 쏘아주는 방송전파에 맞춰 수동적으로 끌려 다녔던 시청자들은 이제 스스로 편집하고 스스로 명령을 내리는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똑똑해진 TV는 자신의 역할을 여기에서 멈추지 않을 태세이다. TV를 보면서 거실의 조명이 너무 밝다면 리모컨으로 그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심지어 거실의 블라인드(또는 커튼)를 열고 닫을 수도 있게 된다. 소위 홈 네트워킹으로 불리우는 가전 통합시대의 중심에 TV가 우뚝 서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Interactive TV/2way 기능 모델 연구 보고서
·한국경제 신문 3월 27일자 외.
*참고 사이트
·http://www.i-biznet.com의 기사 및 칼럼
·http://www.itfind.or.kr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 사이트
*인터랙티브 TV의 사진 발췌
·http://www.neogray.com/
·http://www.its-tv.com/
동 보고서에 따르면, interactive TV 시장은 아직 초기 형성 단계이지만, 기술과 보급 증대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2003년에는 시장 규모가 73억 달러에 이를 것이고 2006년에는 32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interactive TV 서비스별 시장 예측
TechTrends (http://www.techtrends.com)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자들 중 약 46% 이상이 interactive TV(i TV) 기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서비스별로 살펴보면 제품 정보/쿠폰 서비스 53%, 음식주문관련 33%, 전자 뱅킹/투자 34%로 나타났다. 그 중 전자 뱅킹/투자에 관심을 보인 소비자들은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한 요금지불에 있어서는 단지 6%만이 지불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료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한 interactive TV서비스별 소비자들의 잠재적인 관심도에서는 Video-on-Demand가 75%로 향후 큰 폭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그림 참조).
3. 세계 interactive TV 서비스 시장 전망
인터랙티브 TV의 성장은 특히 디지털 TV를 통한 전자상거래(T-commerce), 인터넷 접속, 게임/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및 pay-TV와 같은 양방향 TV 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향후 그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2001년 세계 인터랙티브 TV 서비스 이용자수는 디지털 TV 가입자 중 약 20%인 1,200만 명에서 2006년까지 2억 2,641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Ovum이 제시한 세계 인터랙티브 TV 서비스 시장 전망에 따르면, 디지털 TV 가입자수가 가장 많은 북미, 서유럽 및 아/태 지역에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지역의 이용자 수는 매년 성장을 거듭하다가 2003년부터 더욱 큰 폭으로 성장하며 5천만 이용자 수를 넘어설 전망이다. 수입 면에서는 2001년 북미 지역이 전체 수입의63%로 1위를 차지하며, 서유럽과 아/태 지역이 각각 31%와 6%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Ⅴ 결론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각 분야의 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영상(Video), 정보(Computer), 통신(Communication), 음향(Audio)등이 결합된 멀티미디어형의 제품화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가전, 통신, 컴퓨터, 음향 등의 구분이 사라지는 디지털 기술의 시대가 됨으로서 디지털 영상 기기와 컴퓨터 기술이 융합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정보화 기기의 출시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더욱이 우리 나라를 위시한 선진 각국이 새로운 산업의 핵으로 불리우는 대화형 디지털 TV방송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아울러 산업력 조장의 기반 내용인 다양한 영상정보 서비스산업 또한 크게 발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폭발적으로 늘어날 신규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시장 선정을 위한 기술개발 경쟁 또한 치열하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디지털방송 시대에 적합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의도아래 세계적인 표준화를 선도하는 기술 연구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하며 최적의 기능모델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세부기술의 구현의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위한 제도적인 받침이 있다면 국가 경쟁력 강화에 충분하게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에서 인터랙티브 TV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청자들이 인터랙티브한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확실한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TV 홈쇼핑 사업과 인터랙티브 TV가 결합되는 T-커머스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기 연예인이 입은 옷과 보석 류를 검색하고 그 자리에서 구매를 결정하는 T-커머스 형태는 분명 매력적인 서비스로 시청자들에게 어필할 것이다.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디지털 위성방송, 인터넷 방송 등의 미디어 홍수 속에서 소비자들이 선택할 가장 이상적인 TV의 형태는 고화질과 고도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귀결될 것이다. 서비스는 빨리 시작됐지만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과 달리 한국은 전세계 최고의 브로드 밴드 망을 자랑하고 있다. 물론 한국 시장에도 문제는 많다. 인프라만 갖추어졌지 서비스 방향이나 컨텐트는 외국에 비해 한참 뒤쳐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컨텐트의 개발이 시급하다.
디지털 양방향 서비스가 우리 나라 시청자들에게 선보이게 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상상만 해도 기대되지 않을 수 없다. 양방향 서비스의 도입으로 TV가 ‘바보상자’라는 불명예스러운 꼬리표를 뗄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은 셈이다. 주인 뜻과는 무관하게 방송사들이 쏘아주는 방송전파에 맞춰 수동적으로 끌려 다녔던 시청자들은 이제 스스로 편집하고 스스로 명령을 내리는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똑똑해진 TV는 자신의 역할을 여기에서 멈추지 않을 태세이다. TV를 보면서 거실의 조명이 너무 밝다면 리모컨으로 그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심지어 거실의 블라인드(또는 커튼)를 열고 닫을 수도 있게 된다. 소위 홈 네트워킹으로 불리우는 가전 통합시대의 중심에 TV가 우뚝 서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Interactive TV/2way 기능 모델 연구 보고서
·한국경제 신문 3월 27일자 외.
*참고 사이트
·http://www.i-biznet.com의 기사 및 칼럼
·http://www.itfind.or.kr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 사이트
*인터랙티브 TV의 사진 발췌
·http://www.neogray.com/
·http://www.its-tv.com/
키워드
추천자료
[이동통신사업]모바일 광고의 전반적인 연구
일본의 인터넷 마케팅 성공 조건
디지털 텔레비전의 미래, MHP
위성DMB_지상파DMB조사자료
게임 산업의 발달과 파급효과
디지털방송과 아날로그방송의 비교 (2007년HDTV중심으로)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플랫폼에 대한 법적 책임의 한계
디지털컨텐츠(디지털콘텐츠) 정의, 디지털컨텐츠산업(디지털콘텐츠산업) 특징, 컨텐츠(콘텐츠...
[웹캐스팅][인터넷방송]웹캐스팅(인터넷방송) 개념, 웹캐스팅(인터넷방송) 특징, 웹캐스팅(인...
[IPTV]IPTV에 대한 이해와 활성화를 위한 해결과제, IPTV의 특징과 주요 기능, 장점 분석, IP...
구술레포트_60-90년대 가전제품의 발달
인터넷 광고 새우깡 - Internet Advertisement
스마트 모바일 광고 시장 동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