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_지상파DMB조사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DMB_지상파DMB조사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본개념
∘ 위성 DMB
∘지상파 DMB

2. 현황 및 문제점, 국내외 동향
1) 현황 및 문제점
2) 표준화 동향
3) 국내외 개발 동향/사례

본문내용

직접 사용할 수 있는 3.5인치, 200g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초소형 전용단말기를 시제품을 내놓았다.
- 서비스(예시, 상용서비스 등)
다채널 오디오/데이터/영상 방송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 교통정보제공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 위치파악
R-commerce : 라디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BWS(Broadcasting Web-Site) : 인터넷 웹싸이트의 컨텐츠 중계
기후정보 및 재해방송 등
지상파 DMB
영국은 1999년 11월 전국 상업 DAB 사업자로 Digital One이 5개 서비스 분야로 시작하여 향후 전체 10개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인구의 70% 정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Digltal One은 향후 3년 이내 40개의 송신기를 추가함으로써 85%까지 서비스 제공률을 높일 계획이다. 1995년 9월 BBC가 서비스를 개시한 이래 전체 인구의 60%, 3천만명 이상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26개 지역에 대한 사업자 허가를 위한 작업이 진행중이며 이중, 7개 지역이 이미 확정되었다. 런던, 버밍햄, 맨체스터 내의지역 다중 사업자는 BBC의 지역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할 계획이다. 스웨덴은 Swedish Radio와 Teracom사가 1995년부터 서비스를 제공중이며 인구의 약 85%정도를 커버하고 있다. 독일은 DAB 핵심 성공 국가로써 인구와 지역의 65%이상을 커버하는 방송이 시행중이며 100개이상의 방송국이 운영중이다. 프랑스는 1997년 TDF가 파리에 첫 DAB 송신소를 설치한 이래 13개의 DAB 프로그램을 파리와 인근 지역에 방송하고 주요 지역에 네트워크 구축을 하였다. 이탈리아는 1995년 공영 방송사인 RAI가 SFN으로 12VHF 채널을 이용하여 DAB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전체 인구의 15%를 차지하는 지역에 RAI 프로그램과 1개의 데이터 채널을 방송중이다. 스페인은 1998년부터 DAB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공영방송인 RNE는 다수의 민영방송사와 공동으로 서비스 중이다. 체코는 체코디지털미디어그룹이 최근 설립되어 디지털 TV와 라디오를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4개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인구의 12%를 커버하는 mini-SFN 체제를 구축하였다. 핀란드는 전국 및 지역용으로 DAB 주파수를 배정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민간업자에게 시설과 채널을 임대하였다. 네델란드는 2000년에 주파수 허가가 이루어 졌으며 Dutch DAB 재단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시험 다중송신은 3개의 송신소를 통해 인구의 45%를 커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스위스,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포르투갈, 노르웨이, 폴란드, 벨기에 등의 국가에서도 DAB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미국은 IBOC 방식을 추진하였으며 USADR(USA Digital Radio)은 방송송출장비 회사와 실시한 IBOC DAB 전송 실험에 성공하였다. 2000년 NRSC(National Radio System Committee)는 iBiquity Digital Radio사 개발한 IBOC를 승인하고 FCC에 표준으로 승인할 것을 권장하였다.
캐나다는 1999년 몬트리올에서 디지털 라디오가 공식 출범한 이후 송신이 시작되었고 인구의 약 35% 정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은 여러 디지털 방송 방식을 검토한 결과 ISDB-T(Inter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을 독창적으로 개발하였다. 이것은 Eureka-147과 같은 COFDM 방식을 사용하며, TV와 같이 사용하도록 고안되었다. 2005년 이후에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싱가폴은 1997년 RCS와 SAFRA Radio가 시험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현재 5개의 오디오 서비스와 교통, 경제정보 채널을 전송중이다.
한국의 산업자원부는 오는 2008년까지 총 460억원을 들여 DMB 수신기 디지털 칩세트를 비롯해 수신용 안테나, 아날로그 칩세트, 디지털 음향기기 칩세트 등 DMB 수신기 기술개발을 시작하였다. 칩세트는 한국형과 유럽형이 모두 포함돼 있고 미국 TI와 프랑스 해리스-ITIS사도 개발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발된 지상파 DMB 수신기는 우선 2003년 예정된 음성 및 부가정보 DMB 본방송을 시작으로 2004년 상반기에 선보이는 이동 멀티미디어 DMB 본방송 등에 적용될 계획이다. 또한 산자부는 서울 상암동에 건립될 Digital Innovation Center(전자회관)에 80억원의 사업비로 DMB 수신기 개발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국제적인 DMB 방송서비스 Test-bed를 구축하는 등 DMB 수신기의 조기 수출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정통부는 DMB 표준화 및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여 DMB 방송이 차질 없이 시행되도록하고 포럼을 구성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체로써 LG전자, 삼성전자, 대우전자, 현대오토넷 등 주요 디지털 전자 및 자동차 전장품 업체와 KBS, MBC, SBS등 방송사, 전자부품 연구원 등 20여개의 업체와 연구기관이 개발에 참여할 계획이다. 전자부품연구원은 삼성전자와 시스템 IC 2010 국책 연구개발 사업으로 오디오 서비스 위주의 DMB 칩셋 개발중에 있고 개인휴대형 단말기(PDA)용 CF(Compact Flash)규격 지원용 초소형 디지털 오디오 방송용 수신모듈을 포디오코리아와 공동 개발중이다. 휴대용 DMB 수신기로는 퍼스널 텔레콤에서 일부 판매와 양산 진행중이며, HiFi DMB 수신기는 삼성 블루텍에서 개발중에 있다. DMB용 RF 모듈은 삼성전기에서 상용칩을 이용한 국산화에 성공하여 양산 진행중이며, 안테나와 디지털 앰프의 경우에는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멀티미디어 기능인 이동TV 기술은 연구 초기에 있으며, ISDB-T, DRM, IBOC 및 XM, WorldSpace, Sirius 등의 위성 DMB 방식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최근, SK 텔레콤에서 일본 도시바 위성을 이용한 DMB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KT도 유사한 방식의 DMB 서비스를 계획중임.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1.04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