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수면장애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본간호학)) 수면장애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압술(CPAP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은 수면 무호흡의 가장 좋은 치료법입니다. 수면 검사 중에 무호흡증이 있거나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CPAP 수면 다원수면을 다시 시행하여 치료에 알맞은 압력을 찾아준다.
⑩수면 무호흡증인 경우 구강내 기구의 치료효과를 검사한다 : 일부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간단한 구강 내 기구(dental appliance)를 착용하면 치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면다원검사 후반부에 이 기구를 착용하게 하여 치료효과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검사를 한밤 내내 시행하고, 그 후 정확한 판독과 분석을 하여 다음 번 외래에 방문할 때 결과를 알려 준다. 수면다원검사의 결과는 수면의 질과 잠자는 동안 발생하는 모든 신체의 문제를 알려주며, 수면장애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물론, 관련된 다른 질환(고혈압, 뇌졸중, 심장병, 당뇨병, 우울증 등)의 치료와 예방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2) 다중 입면 잠복기검사 : 낮잠검사 (MSLT: Multiple Sleep Latency Test)
기면병 (narcolepsy)과 특발성 수면과다증(idiophatic hypersomnia)의 진단과 치료경과 판정에 꼭 필요한 검사이며, 수면 무호흡증이나 기타 불면증의 주간 졸리움을 평가하는데도 필요합니다. 반복적 입면잠복기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는 전날 밤에 시행한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밤 동안의 수면 양상을 분석한 후, 아침부터 2시간 간격으로 4-5회에 걸쳐서 30분씩 낮잠에 빠져 들어가는 속도를 검사합니다. 여기서 잠이 든 후 15분 이내에 2번 이상 렘수면이 발생하면 기면증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평균수면잠복기(sleep latency)에 따라서 주간에 졸리 운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정의: 네이버 건강검색 - ‘수면장애’
(http://health.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C%88%98%EB%A9%B4%EC%9E%A5%EC%95%A0)
2. 종류 : 기본간호학2(양장) - 출판사: 정담미디어
3. 간호중재법 : 기본간호학2(양장) - 출판사: 정담미디어
4. 검사법 : http://www.sleepnet.or.kr/ 대한수면연구학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11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