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빈혈의 정의
2. 원인과 그에 따른 빈혈의 종류
1) 적혈구 형성의 장애
2) 적혈구 파괴의 증가
3) 출혈
3. 병태 생리
4. 임상 증상
5. 진단
a. 혈액 검사
6. 빈혈의 종류와 그의 정의, 원인, 치료 및 간호 등 (영양관리, 간호과정 포함)
1) 철 결핍성 빈혈(Iron Dificiency Anemia: IDA)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및 간호
(5) 간호과정
2) 대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1) 정의
(2) 원인
(3) 임상 증상
(4) 간호과정
(5) 예후
3) 재생불량성 빈혈
(1) 정의
(2) 원인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4) 유전성 혈색소 이상증(Hereditary hemoglobinolathy)
(1) 정의
(2) 지중해 빈혈(Thalassemia, Cooley\'s anemia)
(3) 겸상 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2. 원인과 그에 따른 빈혈의 종류
1) 적혈구 형성의 장애
2) 적혈구 파괴의 증가
3) 출혈
3. 병태 생리
4. 임상 증상
5. 진단
a. 혈액 검사
6. 빈혈의 종류와 그의 정의, 원인, 치료 및 간호 등 (영양관리, 간호과정 포함)
1) 철 결핍성 빈혈(Iron Dificiency Anemia: IDA)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및 간호
(5) 간호과정
2) 대구성 빈혈(Megaloblastic anemia)
(1) 정의
(2) 원인
(3) 임상 증상
(4) 간호과정
(5) 예후
3) 재생불량성 빈혈
(1) 정의
(2) 원인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4) 유전성 혈색소 이상증(Hereditary hemoglobinolathy)
(1) 정의
(2) 지중해 빈혈(Thalassemia, Cooley\'s anemia)
(3) 겸상 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본문내용
mia), 부동 적혈구증(적혈구의 크기가 다른 anisocytosis), 변형 적혈구 증다증(poikilocytosis)이 있고 HbA2가 증가되어 있다.
② β thalassemia major : 동형 접합자 유전, 중증 또는 심한 빈혈.
극심한 간 · 비장종대, 열, 복부 팽만, 심장 · 호흡장애, 발육 장애가 심하다. 골의 변화로 특유한 얼굴 모양이 나타난다. 머리 종대, 전두 골 ·두정골 돌출, 콧날이 압박됨, 적혈구는 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을 나타낸다. 표재 적혈구(target cell)가 많이 나타나고, HbF가 증가되어 있다.
c. 치료 및 간호
thalassemia minor는 치료가 필요 없으며 thalassemia major는 대증적 치료를 한다.
d. 예후
thalassemia minor는 예후가 좋다. thalassemia major는 초기에 수혈 요법을 해야 하며 성장 발달의 지연, 심부전증이 초래되므로 예후가 불량하다. 사망 원인은 중증의 빈혈과 간이나 심장 의 감염(pericarditis)으로 온다.
(3) 겸상 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a. 정의
Sickle 염색체에 대한 호모 접합체를 소유한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만성 용혈성 빈혈, 즉 이상 혈색소증으로 인해 심한 빈혈 상태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b. 병태 생리
겸상 적혈구 환자의 혈색소인 HbS는 βchain내에 있는 아미노산 구성이 변화되어 있는 데, 즉 정상적으로는 β- chain의 N말단부터 6번째 아미노산이 glutamic acid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이상이 생겨 6번째 부위가 glutamic acid 대신에 valine으로 대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겸상 적혈구 혈색소는 산소 농도가 낮은 경우 크리스탈 형으로 길어지면서 집결하여 적혈구의 세포막을 초생달이나 낫 모양으로 찌그러지게 한다. 이러한 적혈구는 순환 중에 쉽게 파괴되어 적혈구 생성 비율보다 파괴율이 높아 빈혈을 초래한다.
c. 임상 증상 및 분류
① 겸삼 적혈구 발증(sickle cell anemia)
- 동형 접합자 유전.
- 초기 : 성장 지연, 만성 빈혈(Hb 6.5-8g/이), 성 성숙 지연, 패혈증에 민감.
작은 혈관 폐색성 발증시는 환부 동통, 환부 빈혈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난다.
사지 - 손과 발의 동통성 부종.
복부 - 급성 외과적 상태와 같은 극심한 동통.
대뇌 - 뇌혈관 사고(CVA)와 시력장애.
가슴 - 폐렴 등 폐질환 시와 같은 지속적인 증상
간 - 폐쇄성 황달, 간 혼수.
신장 - 혈뇨.
결국 내장 기관의 많은 혈액으로 간 종대, 비장 종대, 순환 허탈이 초래된다.
- 만성화 심장 - 심장 종대, 수축성 잡음.
폐 - 폐기능 변화로 감염, 폐기능 부전.
신장 - 요농축 불능, 진행성 신장 기능 부전, 유뇨증.
생식기 - 지속성 발기 동통.
간 - 간종대, 감염 민감.
눈 - 시력 장애, 진행성 망막 박리, 실명.
사지 - 골격 기형, 즉 척추 전만증, 척추 후만증,만성 다리 궤양,살모넬라성 골수염. 중추 신경계 - 반신 불수와 경련.
-혈액 표본 : 겸상 적혈구(Sickle cell)을 볼 수 있고, 특히 발증 때 더 잘 나타남.
② 겸상 적혈구 보인(Sickle cell trait) : 이형 점합자 유전, 무증세.
d. 간호 과정
① 간호 진단
손상 위험성
활동 내구성 저하
감염 가능성
가족 발달의 변화
동통
조직 관류의 변화
② 계획과 수행
- 치료 방법은 없고, 대증적 치료와 간호를 한다.
e. 예후
심한 경우에는 성장, 영양, 활동 등의 장애를 유발한다. 심한 빈혈과 병발 감염의 결과로 20세 이전에 흔히 사망한다.
② β thalassemia major : 동형 접합자 유전, 중증 또는 심한 빈혈.
극심한 간 · 비장종대, 열, 복부 팽만, 심장 · 호흡장애, 발육 장애가 심하다. 골의 변화로 특유한 얼굴 모양이 나타난다. 머리 종대, 전두 골 ·두정골 돌출, 콧날이 압박됨, 적혈구는 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을 나타낸다. 표재 적혈구(target cell)가 많이 나타나고, HbF가 증가되어 있다.
c. 치료 및 간호
thalassemia minor는 치료가 필요 없으며 thalassemia major는 대증적 치료를 한다.
d. 예후
thalassemia minor는 예후가 좋다. thalassemia major는 초기에 수혈 요법을 해야 하며 성장 발달의 지연, 심부전증이 초래되므로 예후가 불량하다. 사망 원인은 중증의 빈혈과 간이나 심장 의 감염(pericarditis)으로 온다.
(3) 겸상 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
a. 정의
Sickle 염색체에 대한 호모 접합체를 소유한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만성 용혈성 빈혈, 즉 이상 혈색소증으로 인해 심한 빈혈 상태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b. 병태 생리
겸상 적혈구 환자의 혈색소인 HbS는 βchain내에 있는 아미노산 구성이 변화되어 있는 데, 즉 정상적으로는 β- chain의 N말단부터 6번째 아미노산이 glutamic acid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이상이 생겨 6번째 부위가 glutamic acid 대신에 valine으로 대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겸상 적혈구 혈색소는 산소 농도가 낮은 경우 크리스탈 형으로 길어지면서 집결하여 적혈구의 세포막을 초생달이나 낫 모양으로 찌그러지게 한다. 이러한 적혈구는 순환 중에 쉽게 파괴되어 적혈구 생성 비율보다 파괴율이 높아 빈혈을 초래한다.
c. 임상 증상 및 분류
① 겸삼 적혈구 발증(sickle cell anemia)
- 동형 접합자 유전.
- 초기 : 성장 지연, 만성 빈혈(Hb 6.5-8g/이), 성 성숙 지연, 패혈증에 민감.
작은 혈관 폐색성 발증시는 환부 동통, 환부 빈혈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난다.
사지 - 손과 발의 동통성 부종.
복부 - 급성 외과적 상태와 같은 극심한 동통.
대뇌 - 뇌혈관 사고(CVA)와 시력장애.
가슴 - 폐렴 등 폐질환 시와 같은 지속적인 증상
간 - 폐쇄성 황달, 간 혼수.
신장 - 혈뇨.
결국 내장 기관의 많은 혈액으로 간 종대, 비장 종대, 순환 허탈이 초래된다.
- 만성화 심장 - 심장 종대, 수축성 잡음.
폐 - 폐기능 변화로 감염, 폐기능 부전.
신장 - 요농축 불능, 진행성 신장 기능 부전, 유뇨증.
생식기 - 지속성 발기 동통.
간 - 간종대, 감염 민감.
눈 - 시력 장애, 진행성 망막 박리, 실명.
사지 - 골격 기형, 즉 척추 전만증, 척추 후만증,만성 다리 궤양,살모넬라성 골수염. 중추 신경계 - 반신 불수와 경련.
-혈액 표본 : 겸상 적혈구(Sickle cell)을 볼 수 있고, 특히 발증 때 더 잘 나타남.
② 겸상 적혈구 보인(Sickle cell trait) : 이형 점합자 유전, 무증세.
d. 간호 과정
① 간호 진단
손상 위험성
활동 내구성 저하
감염 가능성
가족 발달의 변화
동통
조직 관류의 변화
② 계획과 수행
- 치료 방법은 없고, 대증적 치료와 간호를 한다.
e. 예후
심한 경우에는 성장, 영양, 활동 등의 장애를 유발한다. 심한 빈혈과 병발 감염의 결과로 20세 이전에 흔히 사망한다.
추천자료
통증의 병의와 병태생리
화상, 화상의 병태생리, 화상간호
폐결핵-원인,병태생리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병태생리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ICH 관련 병태생리 및 간호과정
혈압측정과 고혈압의 병태생리 및 치료
암의 정의와 원인,병태생리-발암과정,세포의 악성 형질전환,화학적 발암물질,바이러스 발암물...
호흡기계약물, 호흡기계병태생리,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천식, 기관지 확장약, Epinephrin...
[성인간호] 요붕증_병태생리, 약물요법 및 간호중재
[정신간호 ]조현병_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암의 역학, 병태생리, 발생원인
[여성간호] 융모상피암_병태생리 및 치료
망막장애 대상자 병태생리,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