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인
(1) 원인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tubercle bacillus)
(2) 유발요인
(3) 감염경로
2) 병태생리
(1) 일차감염
(2) 병변의 진행
(3) 이차 결핵(재감염)
(1) 원인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tubercle bacillus)
(2) 유발요인
(3) 감염경로
2) 병태생리
(1) 일차감염
(2) 병변의 진행
(3) 이차 결핵(재감염)
본문내용
차감염의 다른 부위로 전파
ㄱ. 병변의 피막을 뚫고 침식하는 국소적 진행
ㄴ. 기관지로 흡인되어 침범당하지 않았던 폐조직으로 전파하는 기관지 전파
ㄷ. 림프관을 따라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림프관 전파
ㄹ. 혈류를 따라 전파되는 혈행성 전파
② 림프관 전파가 가장 흔하고, 가장 심한 것은 속립성 결핵
③ 속립성 결핵 : 결핵균이 혈관으로 들어갔을 때 발생, 좁쌀 크기의 병변이 보임(흉부 X-선에서 양쪽 폐에 셀 수 없이 많은 작은 병소들이 점점히 박혀 있음), 다른 조직에도 감염을 일으킴
(3) 이차 결핵(재감염)
① 진행성 일차감염과 함께 활동성 결핵 유발
② 폐의 첨부에서 발생⇒Simon foci
③ 결핵균에 감염된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
폐 실질 내에 조그만 염증으로 출발
염증이 점점 진행하고 나중에는 폐에 구멍을 뚫어놓은 것처럼 큰 공동이 생기게 된다.
공동주변에는 혈관들이 발달하는데 이 혈관은 조그만 충격에도 터져서 피가 나올수 있다. 그것이 바로 폐결핵환자가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나는 다량의 객혈의 원인이 된다.
기관지 주변으로 조그마한 조약돌처럼 보이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결핵 때문에 임파선이 부어오른 것 이다.
ㄱ. 병변의 피막을 뚫고 침식하는 국소적 진행
ㄴ. 기관지로 흡인되어 침범당하지 않았던 폐조직으로 전파하는 기관지 전파
ㄷ. 림프관을 따라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림프관 전파
ㄹ. 혈류를 따라 전파되는 혈행성 전파
② 림프관 전파가 가장 흔하고, 가장 심한 것은 속립성 결핵
③ 속립성 결핵 : 결핵균이 혈관으로 들어갔을 때 발생, 좁쌀 크기의 병변이 보임(흉부 X-선에서 양쪽 폐에 셀 수 없이 많은 작은 병소들이 점점히 박혀 있음), 다른 조직에도 감염을 일으킴
(3) 이차 결핵(재감염)
① 진행성 일차감염과 함께 활동성 결핵 유발
② 폐의 첨부에서 발생⇒Simon foci
③ 결핵균에 감염된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
폐 실질 내에 조그만 염증으로 출발
염증이 점점 진행하고 나중에는 폐에 구멍을 뚫어놓은 것처럼 큰 공동이 생기게 된다.
공동주변에는 혈관들이 발달하는데 이 혈관은 조그만 충격에도 터져서 피가 나올수 있다. 그것이 바로 폐결핵환자가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나는 다량의 객혈의 원인이 된다.
기관지 주변으로 조그마한 조약돌처럼 보이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결핵 때문에 임파선이 부어오른 것 이다.
추천자료
진폐증(pneumoconiosis)
의학충중참서록 장석순 한의학처방 속에 4일미서여음
식사요법 - 호흡기 질환의 발생 현황과 치료 영양관리
CHEST 질환 및 진단
COPD 간호과정
호흡기계 정리
[호흡][운동조절][노인호흡장애][아동호흡장애][신생아호흡장애]호흡의 생화학적 의미, 호흡...
지역사회일지
질병의 글로벌리제이션과 글로벌 대응 (전염병의 글로벌리제이션, 전염병의 전이, 전염병의 ...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케이스
페질환
[성인 간호 세미나] 이행 (compliance) - 이행 사전적 정의 이행 속성 이행 영향 요인 이행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