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정의, 특징, 과정, 대상, 가족치료사, 기족치료기관, 주요인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정의, 특징, 과정, 대상, 가족치료사, 기족치료기관, 주요인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족치료의 정의

2. 가족치료의 특징

3. 가족치료의 과정

4. 가족치료의 대상

5. 가족치료사

6. 가족치료 기관

7. 주요 인물

본문내용

나라에서도 다른 선진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족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고자 하는 가족치료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족치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인 가족치료기관은 아직까지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우리 나라에 가족치료가 소개된 지 불과 20~30년이라고 하는 짧은 역사를 갖고 있지만, 가족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진 여러 학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가족치료는 괄목할만한 학문적 성장을 이루어 온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가족문제를 드러내놓고 상담하는 것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과 한국적 가족치료모델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등의 이유로 가족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은 다소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재 가족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는 가족치료사 면허를 갖고 있는 개인 및 단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가족치료센터 외에도, 신경정신과 의원, 지역사회복지관, 그리고 대학부설 상담소 등이 있다. 한국가족치료학회에서는 우리 사회에서의 가족치료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가족치료센터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가족치료에 대해 공부하고 싶거나 가족치료를 통해 가족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에 공개할 예정이이라고 한다.
7. 주요 인물
1978년 밀워키의 단기가족치료센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MRI에서 쌓은 훈련을 기초로 그 한계를 뛰어 넘고 부적응이나 문제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가족이 자신들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생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치료하는 곳에 가지고 온 작은 변화나 기대 소망에 근거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핵심인물은 에릭슨(Milton Erickson)과 Palto Alto에 있는 MRI에서 초기에 일했던 De Shazer 와 Insoo Berg로서 에릭슨의 가치와 철학 기술 전략과 드 세이저의 조사연구와 이론 형성에 주력을 하며 김인수는 전략과 접근 기술을 발전시키고 저술활동과 치료자를 위한 교육사업에 헌신하였다. 특히 김인수 선생은 BFTC(Brief Family Therapy Center)의 설립자이고, 스티브 드 세이저와 함께 해결 중심적 접근의 창시자이다.
한국에는 1987년부터 소개되었으며 현재 단기가족치료센터 한국지부가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1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