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킨다. 구약 또는 모세의 율법의 위치를 구속사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하면서 우리는 신약의 증거들의 다양성을 보았다. 바울은 확실히 구약 율법의 역할에 대한 가장 철저한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신약의 또 다른 일반적 특징은 율법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고 율법이 그의 죽음과 부활을 가리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약의 저자들은 모세 언약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무효가 되었다고 단순히 주장하지 않는다. “그리스도의 법”이라는 표현이 바울 서신에만 나오지만 이 표현은 율법에 대한 신약의 증거를 잘 요약하는 것으로 보인다. 율법의 핵심적 규범은 사랑이며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자신을 주심은 제자들에게 요구되는 사랑의 모범이다.
참고문헌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간추린 신약신학, CLC 2013
참고문헌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간추린 신약신학, CLC 2013
추천자료
기초신학 계시론
현대신학의 위기와 그 근황
성령신학
신학이란
[신학][과학][종교][신학 예정론][과학과 종교][과학과 성경][과학의 자연발생설][창조론]신...
조직신학
신학입문
(신학)요한신학 - 스티븐 S. 스몰리
치유신학의 신학적 배경
시편 8편에 나타난 인간 이해 - 시편8편의 본문사역 및 구조, 시편8편의 주석과 강해, 구약과...
하나님의 명칭 - 구약에 나타난 명칭, 신약에 나타난 명칭
<삼위일체(三位一體)> 삼위일체의 교리 개관 및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증명(구약과 신약의 ...
[목회학] 예배의 전통과 문화 - 구약에서의 예배, 신약에서의 예배, 초대 기독교 예배(2세기)...
[바울Paul신학] 바울 복음의 구약적 근거 (바울이 그의 교회들을 구약 성경의 신학과 연결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