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러 FTA 추진 예측과 이에 따른 국내 내부 협상 방향 분석 (러시아 거시경제 데이터, 러시아 무역 분석 및 지역무역협정, 러시아의 정책변수와 외부협상 채널, 한러 FTA를 위한 내부협상 분석).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 · 러 FTA 추진 예측과 이에 따른 국내 내부 협상 방향 분석 (러시아 거시경제 데이터, 러시아 무역 분석 및 지역무역협정, 러시아의 정책변수와 외부협상 채널, 한러 FTA를 위한 내부협상 분석).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거시경제 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러시아
  1) 일반 개황
  2) 경제 개황
  3) 주요 거시 경제지표 동향

 2. 러시아 무역 분석 및 지역무역협정
  1) 러시아 무역지표
  2) 한국과의 교역현황과 특징
  3) 러시아의 무역장벽
  4) 러시아의 FTA 및 지역무역협정

 3. 러시아의 정책변수와 외부협상 채널
  1) 러시아의 정책변수
  2) 러시아의 외부 협상 채널

 4. 한러 FTA를 위한 내부협상 분석
  1) 외부협상과 내부협상
  2) 한러 FTA 내부협상 분석
  3) 국내의 내부협상 기관

결론

본문내용

한 · 러 FTA 추진 예측과 이에 따른 국내 내부 협상 방향 분석




NATION :

RUSSIA




INNER AGREEMENT DIRECTIONS




서 론

〔WTO〕
다자주의
MULTI LATERALISM

〔RTA〕
지역주의
RETIONALISM

〓〓〓〓〓〓〓〓〓〓〓〓〓〓〓〓〓〓〓〓〓〓〓〓〓〓〓〓〓〓〓〓〓〓〓〓〓〓〓〓〓〓〓〓〓〓〓〓〓〓〓

국제무역질서에 대해서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화두는 WTO의 출범으로 인해 대두된 다자주의(Multilateralism)와 그와 비슷한 시기부터 확산되는 모습을 보였던 지역무역협정(Regional Trade Agreement, RTA)로 대변되는 지역주의(Regionalism)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서 론

〔WTO〕
다자주의
MULTI LATERALISM

〔구체적 상황에서의 부적절성〕

〓〓〓〓〓〓〓〓〓〓〓〓〓〓〓〓〓〓〓〓〓〓〓〓〓〓〓〓〓〓〓〓〓〓〓〓〓〓〓〓〓〓〓〓〓〓〓〓〓〓〓

그러나 WTO체제가 다자주의에 기반을 둔 경제규범인 이유로 구체적인 상황에서는 체제의 부적절성이 나타나고 있는데 2001년 도하개발협상(Doha Development Agenda)의 진전이 오늘날까지 교착상태에 빠진 것은 이러한 모습을 나타내준다 할 수 있다.




 ≪ … 중 략 … ≫




본 론
2. 러시아 무역 분석 및 지역무역협정




1).러시아의 무역지표
  세계무역순위

  ≪ 표 - 그림 파일 ≫

표 4 - 세계 무역 순위(출처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

위 표에서 러시아는 수출과 수입을 총괄하여 세계 16위의 무역국이다. 그러나 현재 거의 확실시된 러시아의 WTO가입이 이루어지면 향후 러시아의 무역순위는 세계 5위권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전망이다.




1).러시아의 무역지표
  세계무역순위

  ≪ 표 - 그림 파일 ≫

그림 1 - 세계 무역 순위(출처 - WTO 통계)

〓〓〓〓〓〓〓〓〓〓〓〓〓〓〓〓〓〓〓〓〓〓〓〓〓〓〓〓〓〓〓〓〓〓〓〓〓〓〓〓〓〓〓〓〓〓〓〓〓〓〓

위는 WTO 통계상 러시아의 상품·서비스시장의 수출입 순위를 나타낸다. 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상품 시장에서는 수출 순위가 높은 편이고, 서비스 시장에서는 수입 순위가 높다. 이는 러시아의 무역구조가 에너지 및 금속제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하겠다. 특히 석유 및 천연가스 분야에 의존이 심한데, 러시아의 석유 매장량이 세계 7위(102억톤, 세계비중 5.6%, 가채연수 20.3), 천연가스 매장량이 세계 1위(44.38조㎥, 세계비중 23.7%, 가채연수 84.1) 수준에 다다른다. 석유 및 천연가스 등 에너지 분야는 러시아 전체 수출의 약 66.69%를 차지하고 있다.
  • 가격3,3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24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