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1. 우리나라 관계의 역사적 배경
◎ 본론
1. 대북제재
2. 미사일
3. 개성공단
◎ 결론
1. 앞으로의 전망 및 대안
1. 우리나라 관계의 역사적 배경
◎ 본론
1. 대북제재
2. 미사일
3. 개성공단
◎ 결론
1. 앞으로의 전망 및 대안
본문내용
전쟁과 평화
북한과의 끝나지 않는 분쟁
서론
1. 북한과 우리나라 관계의 역사적 배경
(1) 1970-1980년대 남북 관계
○ 7.4 남북 공동선언 성명 발표
-3대 통일 원칙 제정 ~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
-긴장상태 완화, 상대방 중상비방 중지무장도발 중지
-불의의 군사적 충돌사고 방지
-남북 사이에 다방면적 제반 교류실시
-서울과 평양 사이에 상설 직통전화개설
- 합의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엄숙히 약속하는 것 등이다.
○ 1984년 11월 남북 경제 회담 개최
○ 1985년 북한 핵 확산 금지조약에 가입
○ 1988년 7.7 선언
○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 사 진 ≫
(2) 1990년 대 남북관계
○ 1991년 9월 17일- 남북 동시 유엔 가입
○ 남북의 유엔 가입으로 서로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라고 했던 주장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고, 대립과 대결보다는 화해와 공존의 가능성이 더욱 커짐.
○ 남북한의 국제적 지위가 향상
○ 남북 관계의 정상화와 대외 관계에서 새로운 발판 마련됨
○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채택
○ 1994년 김영삼 대통령 남북 정상회담 합의
○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김정일 정권 수립-이후 경제난에 시달리게 됨
≪ 사 진 ≫
북한과의 끝나지 않는 분쟁
서론
1. 북한과 우리나라 관계의 역사적 배경
(1) 1970-1980년대 남북 관계
○ 7.4 남북 공동선언 성명 발표
-3대 통일 원칙 제정 ~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
-긴장상태 완화, 상대방 중상비방 중지무장도발 중지
-불의의 군사적 충돌사고 방지
-남북 사이에 다방면적 제반 교류실시
-서울과 평양 사이에 상설 직통전화개설
- 합의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엄숙히 약속하는 것 등이다.
○ 1984년 11월 남북 경제 회담 개최
○ 1985년 북한 핵 확산 금지조약에 가입
○ 1988년 7.7 선언
○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 사 진 ≫
(2) 1990년 대 남북관계
○ 1991년 9월 17일- 남북 동시 유엔 가입
○ 남북의 유엔 가입으로 서로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라고 했던 주장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고, 대립과 대결보다는 화해와 공존의 가능성이 더욱 커짐.
○ 남북한의 국제적 지위가 향상
○ 남북 관계의 정상화와 대외 관계에서 새로운 발판 마련됨
○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채택
○ 1994년 김영삼 대통령 남북 정상회담 합의
○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김정일 정권 수립-이후 경제난에 시달리게 됨
≪ 사 진 ≫
추천자료
[북한군][군사전략]북한군의 현황과 군사전략 및 향후 남한과의 군사적 관계 분석 고찰(북한...
[남북통일정책][남북통일][통일][북한][남한][대북정책]남북통일정책의 원칙, 남북통일정책의...
[선군정치]북한의 혁명적 군인정신과 노동규율 재강화의 관계분석
[남북외교정책][남북통일외교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남북외교정책의 주요 시책...
1940년 후반부터 1990년 까지 북한의 대외관계
[북한스포츠][북한][스포츠][남북한스포츠][프로스포츠][남북관계]북한 스포츠의 정책, 북한 ...
[천안함사태]천안함 사태 이후 북한과의 관계변화
[천안함사태]천안함사태 이후 북한과의 관계변화 PPT자료
[한국대통령]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의 의미, 정부요소, 한국대통령(대한민국대통령)의 ...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미국과 중국 관계,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미국과 일본...
[일본 정책][관광정책]일본의 관광정책, 외국인정책, 일본의 교육정보화정책, 보육정책, 일본...
북한 김정은 체제 - 김정은 후계체제의 등장, 구조적 성격, 도전 요인,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중국과 한반도관계- 한중관계와 정책의 변화, 북한과 중국의 관계와 정책의 변화, 6자회담
(세상읽기와 논술 A형) 아래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