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마케팅전략> 패스트푸드 산업 역사와 현황,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경영이념, SWOT분석, 성공요인, 마케팅 전략, 4P, 광고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마케팅전략> 패스트푸드 산업 역사와 현황,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경영이념, SWOT분석, 성공요인, 마케팅 전략, 4P, 광고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우리나라의 패스트푸드 산업 현황
  1. 한국 패스트푸드 산업의 역사
  2. 우리나라 패스트푸드 산업 현황

<본론>

 2) 롯데리아
  1. 롯데리아의 연혁
  2. 롯데리아의 경영이념
  3. 패스트푸드 국내 1위 브랜드
  4. 롯데리아의 SWOT분석
  5. 롯데리아의 성공요인
  6. 롯데리아의 마케팅 전략

 3) 맥도날드
  1.맥도날드란?
  2. 맥도날드의 연혁
  3. 맥도날드의 약속
  4. 맥도날드의 SWOT분석
  5. 맥도날드의 4P
  6. 맥도날드의 해외진출전략
  7. 맥도날드의 마케팅 전략
  8. 맥도날드의 광고전략
  9. 향후 맥도날드는?
  10. 결론

<결론>

 4)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마케팅 전략 비교 분석
  1. 맥도날드와 롯데리아의 과열 경쟁
  2. 마이클 포터의 5가지 경쟁 요인에 따른 경쟁 분석
  3. 양사의 매출 현황
  4. 전체적인 서비스 비교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000달러에 근접하였습니다. 가계 소득은 100만원 대를 돌파해 가계수지흑자도 28%에 달해서 국민들은 비교적 여유 있는 소비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를 맞이하여 한국의 패스트푸드 산업은 새로운 성장기로 접어들어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처럼 외식 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그때까지 한국에 진출하지 않았던 타코벨(tacobell)과 시푸드(sea food)등 다른 외식 업체의 한국 시장으로의 진입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 시기에는 롯데리아를 비롯한 맥도날드, 버거킹, 하디스, 웬디스등은 시장 점유율 확대를 통한 선두 경쟁에 나서 적극적인 유통망 증설에 나섰고, 맥도날드는 이런 상황 속에서 1988년 압구정에 1호점을 개설하고, 국내에서 후발 주자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고품질, 고가격 전략을 실시하였지만 이 전략은 실패하여 시장도입 초기의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의 초기 진출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자 결국 미국의 맥도날드 본사는 세계 최초의 실패를 하지 않기 위해서 또 다른 맥도날드를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시장 개척에 나서게 됩니다.
1.5 패스트푸드 산업의 시장 개편 : 1993년-1997년
1990년대 중반기 국내 패스트푸드 시장은 점차 중요한 경쟁 브랜드를 중심으로 재편되어 나갔습니다. 일부 외국계 브랜드와 영세 군소 업체가 시장에서 퇴출되었으며, 신규 업체가 시장에 등장하지만 기존 업체들을 위협하지 못하는 안정된 경쟁 구도로 나아갔습니다. 시장은 롯데리아를 선두로 맥도날드, 웬디스, 하디스 기존 4대 빅 브랜드들의 경쟁이 과열 양상으로 변해 갔습니다. 이들 브랜드는 공통적으로 시장 장악을 위해서 모두 핵심 상권 중심의 유통망 확보 전략을 전개해 나갔기 때문에 유통망 악보를 중심으로 하는 경쟁은 유래 없이 치열하게 전개 되었습니다.
1993년의 약 7500달러의 1인당 국민 소득은 1995년 드디어 1만 달러를 넘어서면서 외식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어졌는데, 국내 외식 시장의 경우는 1992년 15조원을 넘어선 이
후 1995년에는 18조원을 달성했습니다. 한편 도시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1993년 150만원, 1995년에는 190만원으로 크게 증진되었고,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도 33%를 넘어서 큰 시장규모를 형성했습니다.
1.6 햄버거 가격 전쟁 1998년- 2007년
1998년은 외환위기로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1인당 국민소득은 전년도대비 절반이하로 떨어져 모든 소비산업은 정지되었지만 햄버거를 중심으로 한 패스트푸드산업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다른 외식산업보다는 덜 타격을 입었습니다. 1999년에 들어서 패스트푸드산업은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가격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평균 20-50%의 가격인하 판촉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다양한 세일 가격을 내세워 판매를 촉진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2. 우리나라 패스트푸드 산업 현황
1. 국내 햄버거 시장은 지난해 9000억원 규모에서 올해는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 맥도날드 롯데리아로 2강 체제였던 햄버거 시장에서 새롭게 경쟁업체가 등장하면서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2.1 프리미엄 햄버거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
- 패스트푸드시장에 웰빙 트렌드가 불면서 수제버거 시장이 점점 성장
- 기존의 경쟁 구도와는 다른 경쟁력을 가진 업체들의 출현
크라제버거 : 현재 프리미엄 햄버거 시장 1위의 기업 1998년 우리나라에 진출 현재 프리미엄 햄버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모스버거 : 일본에 1391개의 매장을 갖춘 일본 토종 햄버거 1위 브랜드 2012년 3월 한국에도 새로운 지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할리스 F & B의 프레쉬버거
아워홈의 버거헌터
SG 다인힐의 패티패트
신세계 푸드의 쟈니로켓
2) 롯데리아 (작성자: 오자연)
2009년으로 30주년을 맞는 롯데리아는 국내 패스트푸드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토종 브랜드로, 1979년 10월 서울 소공동에 제 1 호점을 개설한 이래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2001년 1월 업계 최초로 600호점을 개점했으며, 2009년 들어 현재 750여개 지점을 운영, 44%를 상회하는 시장점유율로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롯데리아는 2002년 광우병파동, 트랜스지방논란 등으로 이후 5년간 침체기를 겪기도 했으나 2007년 5월에는 두 자릿수 성장 행진을 기록했고, 지난해 매출은 전년대비 15% 성장한 44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 같은 매출 향상에는 쌀을 활용한 조식메뉴 도입, 한우스테이크 버거를 비롯 아보카도통새우, 텐더그릴치킨버거와 같은 웰빙 트랜드를 살린 메뉴 개발, 카페형 매장으로의 리뉴얼, 저렴한 고급 원두커피, 24시간 매장 확대 등이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특히 지난 2005년부터 진행된 매장 리뉴얼을 통해 현재 전체 750개 점포 중 60% 이상이 카페형 매장으로 탈바꿈했는데, 실제 카페형 매장 리뉴얼 전후의 매출 신장률은 평균 30%를 상회하고 있다. 롯데리아는 2009년 매출 5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리아는 2009년 업계 리딩브랜드로서 차별화된 제품개발과 서비스로 고객의 니즈 및 업계 트랜드를 선도함은 물론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책임 있는 기업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국 750여개 점포를 활용한 지역밀착형 봉사활동 전개와 더불어 서울대 어린이병원 후원 협약식을 통해 희귀난치병 환아에게 수술비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쌀과 한우를 활용한 메뉴 출시로 고객의 입맛과 영양을 충족시킴은 물론 국내 쌀 및 한우 소비 촉진에 앞장서고 있다.1. 롯데리아의 연혁
1) 1970~1980년대
1979.10 롯데리아 설립
1979.10 1호 소공점 설립
1980.05 가맹 1호 명동점 개점
1983.09 서울국제무역박람회 출점
1986.10 외국인 투자 등록 50 대 50
1989.12 본사 이전 갈월동 98~6
2) 1990년대
1992.03 100호 대학로점 개점
1992.09 국내 최초 불고기 버거 출시
1994.04 고객만족센터 운영
1994.04 200호 인천
  • 가격3,3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