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보시스템과 통제
Ⅰ. 정보시스템의 요인
1. 정보요건의 분석
2. 정보기준의 개발
3. 정보처리시스템의 설계
4. 통제의 시스템화
Ⅱ. 정보시스템에 의해서 공급될 수 있는 통제정보
Ⅲ. 컴퓨터를 기초로 한 작업감독
Ⅳ. 정보기술과 경영자의 업무
Ⅴ. 정보기술의 긍정적 결과
1. 생산성과 팀웍 개선
2. 경쟁우위를 확보
3. 고객서비스와 대공급선관계를 개선
4. 커뮤니케이션과 조정력 제고
5. 폭넓은 정보에 쉽게 접근
6. 자료분석과 의사결정의 효율성 제고
7. 권한위양과 평형조직의 조장
Ⅵ. 정보기술의 부정적 결과
Ⅶ. 효과적인 통제의 특성
Ⅰ. 정보시스템의 요인
1. 정보요건의 분석
2. 정보기준의 개발
3. 정보처리시스템의 설계
4. 통제의 시스템화
Ⅱ. 정보시스템에 의해서 공급될 수 있는 통제정보
Ⅲ. 컴퓨터를 기초로 한 작업감독
Ⅳ. 정보기술과 경영자의 업무
Ⅴ. 정보기술의 긍정적 결과
1. 생산성과 팀웍 개선
2. 경쟁우위를 확보
3. 고객서비스와 대공급선관계를 개선
4. 커뮤니케이션과 조정력 제고
5. 폭넓은 정보에 쉽게 접근
6. 자료분석과 의사결정의 효율성 제고
7. 권한위양과 평형조직의 조장
Ⅵ. 정보기술의 부정적 결과
Ⅶ. 효과적인 통제의 특성
본문내용
통제의 측정수단은 진단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an effective control measure provides diagnostic information). 통제가 성과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그것은 성원들로 하여금 성과차이를 시정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한다.
* 효과적인 통제는 자기피드백과 자기통제를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effective controls allow for self feedback and self control). 자기 통제가 가능한 IT시스템을 구축할 때 그것은 시간절약을 기할 수 있다.
* 효과적인 통제시스템은 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effective control systems provide timely information). 통제 정 보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경우, 그것은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월별 점검보다는 시간별 점검이 그 같은 효과를 더 잘 가져올 것이다.
* 통제의 측정수단은 종업원들이 측정된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 통제를 할 수 있을 경우 보다 효과적이 된다(control measures are more effective when employees have control over the results measured). 종업원들은 성과의 편차에 대한 책임이 그들의 통제영역에서 벗어날 때 저항할 것이다.
* 효과적인 통제의 측정수단들이 있을 경우 그것들은 상호배척하지 않는다(effective control measures do not contradict each other). 때로 부하들은 두 개의 상호 모순되는 표준에 의거하여 업무수행을 하도록 지시를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그들은 그 같은 통제시스템에 저항한다. 양과 질을 동시에 요구받을 경우 그들은 두 가지 요인을 적절히 조화시킨다든지 아니면 어느 하나를 희생해서 다른 것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 효과적인 통제는 표준으로부터의 무작위 편차를 인정한다(effective control allow for random variations from standard). 표준에 서 무작위 편차가 발생하는 통제방법을 강구하게 될 때 그것은 효과적이 된다.
* 효과적 통제는 원가 면에서도 효과적이다(effective controls are cost effective). 통제시스템은 만족할만한 투자수익률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그렇게 용이한 것은 아닌데 그 까닭은 원가가 높기 때문이다.
* 교차기능적 팀 측정시스템은 권력을 전담하는 최고경영자 대신 팀에게 권력을 배분해야 한다(a cross functional team' s measurement system must empower the team instead of top management retaining the power). 능이 교차적이고 그에 따라 측정수단도 단순하지 않을 경우 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팀에게 권한배분을 할 필요가 있다.
* 효과적인 통제는 자기피드백과 자기통제를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effective controls allow for self feedback and self control). 자기 통제가 가능한 IT시스템을 구축할 때 그것은 시간절약을 기할 수 있다.
* 효과적인 통제시스템은 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effective control systems provide timely information). 통제 정 보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경우, 그것은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월별 점검보다는 시간별 점검이 그 같은 효과를 더 잘 가져올 것이다.
* 통제의 측정수단은 종업원들이 측정된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 통제를 할 수 있을 경우 보다 효과적이 된다(control measures are more effective when employees have control over the results measured). 종업원들은 성과의 편차에 대한 책임이 그들의 통제영역에서 벗어날 때 저항할 것이다.
* 효과적인 통제의 측정수단들이 있을 경우 그것들은 상호배척하지 않는다(effective control measures do not contradict each other). 때로 부하들은 두 개의 상호 모순되는 표준에 의거하여 업무수행을 하도록 지시를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그들은 그 같은 통제시스템에 저항한다. 양과 질을 동시에 요구받을 경우 그들은 두 가지 요인을 적절히 조화시킨다든지 아니면 어느 하나를 희생해서 다른 것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 효과적인 통제는 표준으로부터의 무작위 편차를 인정한다(effective control allow for random variations from standard). 표준에 서 무작위 편차가 발생하는 통제방법을 강구하게 될 때 그것은 효과적이 된다.
* 효과적 통제는 원가 면에서도 효과적이다(effective controls are cost effective). 통제시스템은 만족할만한 투자수익률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그렇게 용이한 것은 아닌데 그 까닭은 원가가 높기 때문이다.
* 교차기능적 팀 측정시스템은 권력을 전담하는 최고경영자 대신 팀에게 권력을 배분해야 한다(a cross functional team' s measurement system must empower the team instead of top management retaining the power). 능이 교차적이고 그에 따라 측정수단도 단순하지 않을 경우 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팀에게 권한배분을 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21세기 한국사회의 문제점 진단과 과제 그리고 개선방안
[사회복지관]사회복지관의 역할, 기능과 사회복지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분석(사회복지관 ...
[한국 정당][정당]한국 정당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민주주의 공고화와 그 지표로서의 ...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근로 사례][비정규직노동 사례]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
[체벌][학생체벌][학생인권][체벌 원인][체벌 관점][체벌 문제점][체벌 당면 과제][체벌 개선...
[의료급여제도 대상자][진료비부담][의료급여제도 문제점][의료급여제도 과제]의료급여제도의...
행정조직체계의 의의, 행정조직체계의 특성과 개혁방향, 행정조직체계와 정부조직, 행정조직...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정의와 종류,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
[주택금융][주택금융의 문제점][주택금융의 개선방안][주택금융의 활성화과제]주택금융의 특...
[배식, 학교급식 배식, 학교급식 배식 사례, 배식 문제점, 배식 개선방안]배식(학교급식 배식...
[청소년 문화과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2014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직자 윤리의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의 개선방안 (장애인 편견, 인식, 사회적 인식, 장애인 차...
공공부조의 개념을 서술하고, 과제의 목차대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