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의 일본제국의 반응 및 탄압 - 총칼 앞세운 잔인한 진압, 일제의 무력탄압, 주동인사의 체포와 처형, 문화정치로 탈바꿈한 일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의 일본제국의 반응 및 탄압 - 총칼 앞세운 잔인한 진압, 일제의 무력탄압, 주동인사의 체포와 처형, 문화정치로 탈바꿈한 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총칼 앞세운 잔인한 진압

2. 일제의 무력 탄압

3. 주동인사의 체포와 처형

4. 문화정치로 탈바꿈한 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유책을 써 한국독립운동의 기지를 없애려고 했다. 독립운동총서[2] 3.1운동, 민족사 바로찾기 국민회의, 민문고. 1995, 172쪽.
끝으로 국내의 한국인에 대한 회유, 동화공작을 활발히 전개했는데, 그 내용을 대충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모든 한국인은 친일(親日)과 배일(排日)로 그 성분을 조사 구분해서 회유와 위압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둘째, 각계 각층에 친일단체를 조직케 해서 이용키로 하였다.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 조선민우회, 대동사문회, 상무연구회 등이 있다.
셋째, 종교의 조직을 이용해서 불교와 기독교는 회유하고, 천도교는 탄압하였다. 불교에 대해서는 사찰령을 개정해서 본산제를 실시하고, 불고진흥책을 써서 회유했으나 큰 효과는 얻지 못하였다. 기독교에 대해서는 미국 선교사와의 이간책을 쓰고, 한국 교회의 독립을 꾀하였다. 이에 반해서 천도교는 회우가 어렵다고 판다해서 처음부터 탄압책을 썼다.
넷째, 친일 청소년을 양성하기 위해서 갖은 회유방안을 다 써서 친일화의 효력을 노렸다.
그 밖에는 직업이 없는 지식층과 무식한 농민을 회유 하려고 노력했으며, 선전기관을 설립 또는 이용하려는 방책을 써서 매일신보와 친일단체를 통해서 그들의 회유책을 선전케 했다.
일제는 이같은 회유책을 관의 행정 수단으로 하는 것을 피하고, 되도록이면 민간인을 앞세워 실시함으로써 친일파의 증가와 배일파의 감소로, 독립운동을 와해시키고, 친일동화를 달성하려고 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증보 3.1운동사, 윤병석, 국학자료원, 2004,
독립운동총서[2] 3.1운동, 민족사 바로찾기 국민회의, 민문고. 1995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1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