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2. 일제 시대의 교육
3. 일제 강점기 교육의 근대화에 따른 긍정적 특성
4.맺는말
2. 일제 시대의 교육
3. 일제 강점기 교육의 근대화에 따른 긍정적 특성
4.맺는말
본문내용
학 650인 전문학교102인 실업학교172인 중학교급 고등여학교113인 기타학교284인 도합1321인의 취직 상황 농업228인 무직284인 학교교원177인 관공서140인 은행, 회사119인 상업103인 의사50인 변호사16인이라고 소개한 적이 있다. 이것은 일본유학으로 인한 직업의 세분화된 사례라 볼 수 있고 전문직업인으로써 전문성 습득에 도움을 준듯하다.
일본 유학은 또한 근대적 이데올로기, 서양의 학문이론을 접할 수 있었던 통로였던 상황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현대 학문적 문화적 성과를 형성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했다.
4.맺는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학교시설증가와 기술의 향상, 학교제도의 틀 안착 등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역시나 한국 사람이기에 그런지 부정적 측면에 대한 화를 떨칠 수는 없었다. 일본이 근대교육이라는 명목아래 조선을 영구적인 착취와 수탈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근대교육을 통하여 출세를 꾀하려 한범, 무조건적인 주입식 교육등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일재의 잔재는 여전하다. 현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실패와 개혁에 관한 목소리가 크지만 우리나라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외국교육제도의 무분별한 도입만을 시도 하고 있는 듯하다. 주체적이 교육제도와 사상이 우리사회에 하루 빨리 정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우리 교육의 참된 의미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춘.[한국 현대사 연구].이성과현실.1988
윤완.[한국 교육사의 이해].원미사.1994
신용화외.[일제강점기의 사회와 사상].신원문화사.1991
일본 유학은 또한 근대적 이데올로기, 서양의 학문이론을 접할 수 있었던 통로였던 상황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현대 학문적 문화적 성과를 형성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했다.
4.맺는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학교시설증가와 기술의 향상, 학교제도의 틀 안착 등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역시나 한국 사람이기에 그런지 부정적 측면에 대한 화를 떨칠 수는 없었다. 일본이 근대교육이라는 명목아래 조선을 영구적인 착취와 수탈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근대교육을 통하여 출세를 꾀하려 한범, 무조건적인 주입식 교육등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일재의 잔재는 여전하다. 현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실패와 개혁에 관한 목소리가 크지만 우리나라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외국교육제도의 무분별한 도입만을 시도 하고 있는 듯하다. 주체적이 교육제도와 사상이 우리사회에 하루 빨리 정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우리 교육의 참된 의미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춘.[한국 현대사 연구].이성과현실.1988
윤완.[한국 교육사의 이해].원미사.1994
신용화외.[일제강점기의 사회와 사상].신원문화사.1991
키워드
추천자료
민주주의와 교육에대하여 (평등교육,자유교육)-교육학적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대하여
신교육시대의 열쇠, 평생학습도시
우리나라사회복지발달사 (일제시대, 역사, 공화국등)
한국교육 속에 잔재된 일제 교육문화의 예시와 한국교육의 발전방향 (발표자료)
학교자율화에 대하여-교육학원론
일제식민지시대 가족제도의 변화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관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관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
평생교육방법론-평생학습도시에대하여조사
일제시대 및 미군정(정부수립이전)하 산재보상제도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중에서도 1950년 이전의 한국사회복지행정과 관련된 사건, 사례 등의 자...
시작품(시, 시문학)과 은유, 시작품(시, 시문학)과 사실주의, 시작품(시, 시문학)과 서정적 ...
[일제하, 식민지시대]일제하(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유기체적 연대론, 동화주의, 일제하(...
교육제도 - 시대별 교육제도의 특징과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교육제도 ( 삼국~고려~조선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