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_ 재고관리의 목적, 경제적 주문량 모형, Just in time(저스트인타임)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고관리_ 재고관리의 목적, 경제적 주문량 모형, Just in time(저스트인타임)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재고관리

Ⅰ. 재고관리의 목적

Ⅱ. 경제적 주문량 모형

Ⅲ. Just in Time 제도

본문내용

간재고유지비는 평균재고에 단위재고유지비(즉 한 단위를 1년간 보유할 때의 재고유지비)를 곱한 것과 같다.
연간재고유지비 = 평균재고 x 단위재고유지비
재고수준은 최대수준 Q에서 최저수준인 0으로 감소되므로 평균재고수준은 주문량의 반(Q/2)과 같다.
단위재고유지비를 H라 하면
위 식에서 재고유지비는 주문량 Q에 정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다음에는 주문비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연간수요가 일정할 때 주문량을 크게 하면 주문횟수가 적어지고 연간주문비는 감소된다. 연간수요를 D, 주문량을 Q, 1회의 주문비를 S라 하면
1회의 주문비는 주문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한 바 있다. 자재를 주문할 때는 한 번에 100단위를 주문하거나 200단위를 주문하거나 필요한 절차(구매결정, 문서작성, 업자선택, 통신 및 업무연락 등)에는 큰 차이가 없다. 위의 식에서 연간주문비는 주문량 Q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연간총비용(TC)은 재고유지비와 주문비의 합으로 구성되므로
이 공식이 바로 경제적 주문량 모형이며 이 공식에 의하여 산출된 주문량이 경제적 주문량 또는 경제적 럿사이즈(economic lot size : ELS)이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경제적 주문량이 바로 연간채고유지비와 연간주문비를 서로 같게 하는 주문량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재고유지비와 주문비가 같을 때 총비용이 최소값을 갖는다.
재고유지비, 주문량 및 총비용(Q'는 EOQ)
III. Just in Time 제도
저스트 인 타임(just in time : JIT)은 1950년대에 일본의 Toyota가 개발한 생산 및 재고관리기법이다. JIT의 기본적인 개념은 필요한 물건을 필요한 만큼 만든다는 것이다. Toyota의 이러한 생산관리기법은 원가절감방법을 대량생산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소량생산에 의존한다는 개념이다.
생산원가의 상당부분은 재고비용에서 온다. JIT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소량생산, 소량재고유지로서 재고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는 방법이다. JIT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많은 일본기업들은 생산원가를 국제수준보다 30%이상 감축할 수 있었다.
JIT의 함축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제조업체는 신속하게 최종제품을 생산한다.
(2) 공급자나 하청업체들로부터 소량의 부품과 원자재를 수시로 공급받는다.
(3) 부품업체나 하청업체는 지리적으로 단거리에 위치한다.
(4) 대기업은 장기계약으로 하청업체나 부품업체에게 연간 수요량을 전량 주문하고 배달시기를 유동적으로 한다. 따라서 독과점 형태의 대기업은 중소기업인 하청업체에게 과대한 배달첫수를 요구하는 횡포가 있을 수도 있다.
(5) 작업자는 다기능 작업자(multifunction workers)가 되어야 한다.
(6) 공급업자도 생산팀의 일원으로 간주된다.
(7) JIT는 배달거리와 비용을 무시한다. 따라서 JIT 재고관리제도는 대기업에게는 유리하나 납품업자인 중소기업에게는 배달비용면에 부담스러운 제도이다. 뿐만 아니라 증가된 배달횟수는 교통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간접적인 사회비용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2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