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딩크족(DINK)이란?--------------------------------------------------------- 1
2. 딩크족이 나타난 원인분석------------------------------------------------------- 2
2.1 자녀양육비의 부담--------------------------------------------------------- 2
2.2 내집마련----------------------------------------------------------------- 2
2.3 여가생활----------------------------------------------------------------- 3
2.4 노후생활----------------------------------------------------------------- 3
3. 딩크족의 입장-------------------------------------------------------------- 3
4. 딩크족과 저출산------------------------------------------------------------ 4
5. 딩크족과 고령화------------------------------------------------------------ 5
6. 결론----------------------------------------------------------------------- 6
7. 참고문헌
2. 딩크족이 나타난 원인분석------------------------------------------------------- 2
2.1 자녀양육비의 부담--------------------------------------------------------- 2
2.2 내집마련----------------------------------------------------------------- 2
2.3 여가생활----------------------------------------------------------------- 3
2.4 노후생활----------------------------------------------------------------- 3
3. 딩크족의 입장-------------------------------------------------------------- 3
4. 딩크족과 저출산------------------------------------------------------------ 4
5. 딩크족과 고령화------------------------------------------------------------ 5
6. 결론----------------------------------------------------------------------- 6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에는 자식을 중요하게 생각해온 부모 세대와는 다른 가치관을 지닌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 젊은이들 중에도 딩크족이 나타나 저출산이라는 사회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영아기로부터 대학졸업시까지 약 22년간 자녀양육비로 2억 6204만 4천원이라는 돈이 들어간다니 기혼자들의 자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바뀜으로 인해 딩크족이 생겨난 원인이라고 할수 있겠다. 또한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인 행복을 추구하기위해 부부의 삶의 보람을 느끼기위해 끊이없이 노력하고 있는 딩크족에게는 자녀가 있는 노후생활은 끔찍할 수밖에 없다. 자녀의 양육비를 감당하다 보면 내집마련의 기회는 점차 늦춰질 것이고 노후생활을 위해 준비한 자금또한 부족하여 자녀에게 혹여나 짐이 될까 우려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자녀들에게 버림받을까 걱정을 하게되어 자녀의 필요성을 고려해보게 되는 원인이라 할수있다. 하지만 자신들의 여가생활을 충분히 만끽하며 삶의 행복을 찾고 있는 딩크족 부부의 입장에서 알수 있듯 딩크족이 꼭 부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것은 아니라고 본다. 현재 자신의 주어진 삶에 만족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 본다면 자녀를 키우며 사랑을 주는 것으로부터 행복을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저출산율은 곧 고령화를 유발한다고 볼수 있다. 경제를 구성하는 성장 요소는 노동과 생산성이다. 저출산은 노동감소를 유발한다. 노동 감소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가 반드시 나타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딩크족들의 가치관을 바꿀순 없지만 국가와 모두의 행복을 위해서 이런 점을 고려 해줬으면 한다. 정부에서 1인가구나 자녀가 없는 가구의 세부담은 늘이고, 다자녀 가구에게는 공제혜택이 주어지는 것 등으로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임시방편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딩크족들의 가치관에 변화를 줄수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1. 김승권 외.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200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국민은행「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3. 딩크족 남편들 ˝둘만 있어 행복˝. 하임숙 기자. 2009. 09. 17. 동아일보
4. 데이빗 부스/전중환. 욕망의 진화. 2007. 사이언스 북스.
5. 보건복지 현안분석과 정책과제. 20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197.
6. 홍대식. 연애와 결혼심리학. 2002. 청암미디어.
영아기로부터 대학졸업시까지 약 22년간 자녀양육비로 2억 6204만 4천원이라는 돈이 들어간다니 기혼자들의 자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바뀜으로 인해 딩크족이 생겨난 원인이라고 할수 있겠다. 또한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인 행복을 추구하기위해 부부의 삶의 보람을 느끼기위해 끊이없이 노력하고 있는 딩크족에게는 자녀가 있는 노후생활은 끔찍할 수밖에 없다. 자녀의 양육비를 감당하다 보면 내집마련의 기회는 점차 늦춰질 것이고 노후생활을 위해 준비한 자금또한 부족하여 자녀에게 혹여나 짐이 될까 우려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자녀들에게 버림받을까 걱정을 하게되어 자녀의 필요성을 고려해보게 되는 원인이라 할수있다. 하지만 자신들의 여가생활을 충분히 만끽하며 삶의 행복을 찾고 있는 딩크족 부부의 입장에서 알수 있듯 딩크족이 꼭 부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것은 아니라고 본다. 현재 자신의 주어진 삶에 만족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 본다면 자녀를 키우며 사랑을 주는 것으로부터 행복을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저출산율은 곧 고령화를 유발한다고 볼수 있다. 경제를 구성하는 성장 요소는 노동과 생산성이다. 저출산은 노동감소를 유발한다. 노동 감소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가 반드시 나타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딩크족들의 가치관을 바꿀순 없지만 국가와 모두의 행복을 위해서 이런 점을 고려 해줬으면 한다. 정부에서 1인가구나 자녀가 없는 가구의 세부담은 늘이고, 다자녀 가구에게는 공제혜택이 주어지는 것 등으로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임시방편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딩크족들의 가치관에 변화를 줄수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1. 김승권 외.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200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국민은행「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3. 딩크족 남편들 ˝둘만 있어 행복˝. 하임숙 기자. 2009. 09. 17. 동아일보
4. 데이빗 부스/전중환. 욕망의 진화. 2007. 사이언스 북스.
5. 보건복지 현안분석과 정책과제. 20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197.
6. 홍대식. 연애와 결혼심리학. 2002. 청암미디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