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규모
☞Trends
①\"집 같은 분위기\"
②\"엔터테인먼트\"
③\"작은 기업\"
[Design]
☞외부
☞내부
1. 홀
2.화장실
3.주방
4.별채
[별첨]
1 입면도
2 설계도
☞규모
☞Trends
①\"집 같은 분위기\"
②\"엔터테인먼트\"
③\"작은 기업\"
[Design]
☞외부
☞내부
1. 홀
2.화장실
3.주방
4.별채
[별첨]
1 입면도
2 설계도
본문내용
공간이 있다.
갤러리 창문: 음료를 제조하는 공간쪽으로 갤러리 창문을 설치하여 바깥의 정원에서도 주문이 가능하 여 테이크 아웃 손님을 위한 설계를 하였다. 이 공간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곳에는 간이 세면대를 설치하여 종업원들이 수시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허리 높이의 선반: 주문공간과 케이크 제조 공간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컵과 그 릇, 포크와 스푼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이 선반의 윗면은 완성된 케이크가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임시 보관할 수 있는 곳으로도 사용 될 수 있다.
가스렌지와 오븐: 케이크 제조 공간(주방)에는 2구 가스렌지와 오븐을 설치해 열을 사용하는 기구 끼 리 근접한 곳에 설치하였다.
오븐 통풍관: 공기 공급과 배출을 위한 설비를 위해 단순한 형태의 오븐 통풍관을 설치하여 오븐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위한 환기시설의 용도로 설치 하였다. 주방 공간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고, 종사원들의 작업환경도 고려한 설계이다.
작업대: 중앙에는 케이크을 제조는 작업대를 설치하였고 작업대는 네 가지의 용도에 따라서 작업공간 을 나눴으며 오븐에 인접한 작업공간은 반죽하는 공간과 오븐에서 꺼낸 뜨거운 빵을 식힐 수 있는 공간으로 배치했고, 반대쪽은 케이크 데코에 쓰일 재료를 준비하는 공간과 케이크 데코 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배치했다. 작업공간의 오른쪽 끝에는 개수대를 설치해 재료준비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밖의 기기들: 반죽하는 작업공간에 근접하도록 반죽기와 발효기를 가까운 벽쪽으로 배치하였고, 데코재료를 준비하는 공간에 근접하도록 냉장고와 선반, 건창고를 배치하였다. 세척 공간에는 왼쪽 위를 기준으로 음식물 처리용 디스포저, 두 개의 세척대, 건조대, 세 척관련 선반을 배치하였다.
+동선(Traffic Flow)
케이크의 동선: 중앙 작업대의 아래쪽에서는 반죽하는 공간과 케이크 데코를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공간이 있다. 반죽을 담당하는 종업원이 몸을 뒤로 돌리면 바로 반죽기와 발효기가 위 치해 있고 데코재료를 준비하는 종업원이 뒤로 돌면 바로 냉장고와 건창고가 위치해 있어 필요 한 재료를 찾기 편하도록 배치하였다. 오븐은 작업대의 왼쪽에 위치해 있어 반죽을 틀에 넣으면 바로 오븐으로 넣을 수 있고, 꺼내면 바로 식힐 수 있는 공간을 가까이에 따로 마련하였다. 케이크를 데코하는 공간 중앙에는 케이크 돌림판을 두었 고, 데코재료를 넣어 둘 수 있는 6개의 통이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높였다. 완성된 케 이크는 작업대에 근접해 있는 허리 높이의 선반에서 임시로 보관되고 음료를 제조하는 직원에 의해 전시용 냉장고로 전달된다.
음료의 동선: 음료를 제조하는 공간은 양방향으로(내부의 홀과 외부의 정원 쪽) 제공이 가능하게 하 도록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주방 출입의 동선: 주방에서 나갈 때는 왼쪽으로 퇴식 식기를 가지고 들어오는 방향은 오른쪽으로 분 리하여 동선을 단순화 하였다. 퇴식 식기를 가지고 온 서버는 세척구역으로 들어감 과 동시에 가장먼저 음식을 버리고 세척통에 접시를 담을 수 있도록 하였고 나오 면서 간이 세면대에서 손을 씻고 출입구 왼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벽과 바닥
벽: 주방은 어느 구역 보다도 위생이 중요시 되는 공간으로, 하얀색의 밝은 벽과 천정으로 깨끗한 느 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바닥: 생산과정에서 떨어지는 대량의 밀가루와 기타 마른 재료로 뒤덮히게 되고 물기와 섞이면 달라 붙게 되어 제거하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의 효과가 있는 쿼리타일 로 하였다.
4.별채
+종사원들의 공간
'내부고객의 만족이 외부고객의 만족'이라는 서비스 원리를 모티브로 종사원 탈의실을 마련하였다.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종사원이 근무전 옷매무새를 만질 수 있고, 종사원들의 소지품과 옷을 보관 할 수 있도록 락커와 신발장 등을 배치하였다. "노을"에 오면 고객뿐만 아니라 종사원들도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공간을 마련하였다. 주방과 식당구역과 크게 밀접한 관계가 없으므로 별채에 위치하고 있다.
+창고
"노을"은 잔디와 갖가지 나무와 꽃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관리 할 수 있는 기기들(잔디 깎는 기계, 갈퀴, 스프링 플러, 손수레 등)을 보관 할 수 있는 창고가 필요하다.
+그림 보관실
영업이 끝난 뒤에 외부에 전시되었던 작품들을 보관 할 수 있는 작품보관실을 별도로 설계하였다. 도난에 우려가 있으므로 이 공간은 특히 보안에 신경을 써야한다.
갤러리 창문: 음료를 제조하는 공간쪽으로 갤러리 창문을 설치하여 바깥의 정원에서도 주문이 가능하 여 테이크 아웃 손님을 위한 설계를 하였다. 이 공간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곳에는 간이 세면대를 설치하여 종업원들이 수시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허리 높이의 선반: 주문공간과 케이크 제조 공간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컵과 그 릇, 포크와 스푼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이 선반의 윗면은 완성된 케이크가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임시 보관할 수 있는 곳으로도 사용 될 수 있다.
가스렌지와 오븐: 케이크 제조 공간(주방)에는 2구 가스렌지와 오븐을 설치해 열을 사용하는 기구 끼 리 근접한 곳에 설치하였다.
오븐 통풍관: 공기 공급과 배출을 위한 설비를 위해 단순한 형태의 오븐 통풍관을 설치하여 오븐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위한 환기시설의 용도로 설치 하였다. 주방 공간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고, 종사원들의 작업환경도 고려한 설계이다.
작업대: 중앙에는 케이크을 제조는 작업대를 설치하였고 작업대는 네 가지의 용도에 따라서 작업공간 을 나눴으며 오븐에 인접한 작업공간은 반죽하는 공간과 오븐에서 꺼낸 뜨거운 빵을 식힐 수 있는 공간으로 배치했고, 반대쪽은 케이크 데코에 쓰일 재료를 준비하는 공간과 케이크 데코 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배치했다. 작업공간의 오른쪽 끝에는 개수대를 설치해 재료준비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밖의 기기들: 반죽하는 작업공간에 근접하도록 반죽기와 발효기를 가까운 벽쪽으로 배치하였고, 데코재료를 준비하는 공간에 근접하도록 냉장고와 선반, 건창고를 배치하였다. 세척 공간에는 왼쪽 위를 기준으로 음식물 처리용 디스포저, 두 개의 세척대, 건조대, 세 척관련 선반을 배치하였다.
+동선(Traffic Flow)
케이크의 동선: 중앙 작업대의 아래쪽에서는 반죽하는 공간과 케이크 데코를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공간이 있다. 반죽을 담당하는 종업원이 몸을 뒤로 돌리면 바로 반죽기와 발효기가 위 치해 있고 데코재료를 준비하는 종업원이 뒤로 돌면 바로 냉장고와 건창고가 위치해 있어 필요 한 재료를 찾기 편하도록 배치하였다. 오븐은 작업대의 왼쪽에 위치해 있어 반죽을 틀에 넣으면 바로 오븐으로 넣을 수 있고, 꺼내면 바로 식힐 수 있는 공간을 가까이에 따로 마련하였다. 케이크를 데코하는 공간 중앙에는 케이크 돌림판을 두었 고, 데코재료를 넣어 둘 수 있는 6개의 통이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높였다. 완성된 케 이크는 작업대에 근접해 있는 허리 높이의 선반에서 임시로 보관되고 음료를 제조하는 직원에 의해 전시용 냉장고로 전달된다.
음료의 동선: 음료를 제조하는 공간은 양방향으로(내부의 홀과 외부의 정원 쪽) 제공이 가능하게 하 도록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주방 출입의 동선: 주방에서 나갈 때는 왼쪽으로 퇴식 식기를 가지고 들어오는 방향은 오른쪽으로 분 리하여 동선을 단순화 하였다. 퇴식 식기를 가지고 온 서버는 세척구역으로 들어감 과 동시에 가장먼저 음식을 버리고 세척통에 접시를 담을 수 있도록 하였고 나오 면서 간이 세면대에서 손을 씻고 출입구 왼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벽과 바닥
벽: 주방은 어느 구역 보다도 위생이 중요시 되는 공간으로, 하얀색의 밝은 벽과 천정으로 깨끗한 느 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바닥: 생산과정에서 떨어지는 대량의 밀가루와 기타 마른 재료로 뒤덮히게 되고 물기와 섞이면 달라 붙게 되어 제거하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의 효과가 있는 쿼리타일 로 하였다.
4.별채
+종사원들의 공간
'내부고객의 만족이 외부고객의 만족'이라는 서비스 원리를 모티브로 종사원 탈의실을 마련하였다.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종사원이 근무전 옷매무새를 만질 수 있고, 종사원들의 소지품과 옷을 보관 할 수 있도록 락커와 신발장 등을 배치하였다. "노을"에 오면 고객뿐만 아니라 종사원들도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공간을 마련하였다. 주방과 식당구역과 크게 밀접한 관계가 없으므로 별채에 위치하고 있다.
+창고
"노을"은 잔디와 갖가지 나무와 꽃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관리 할 수 있는 기기들(잔디 깎는 기계, 갈퀴, 스프링 플러, 손수레 등)을 보관 할 수 있는 창고가 필요하다.
+그림 보관실
영업이 끝난 뒤에 외부에 전시되었던 작품들을 보관 할 수 있는 작품보관실을 별도로 설계하였다. 도난에 우려가 있으므로 이 공간은 특히 보안에 신경을 써야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