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유통경로 갈등 의의
II. 유통경로 갈등 유형
III. 유통경로 갈등 관리
IV. 유통경로 갈등 성공사례
1) 홈플러스 (Homeplus)
2) 구멍가게 뭉쳐야 산다.
II. 유통경로 갈등 유형
III. 유통경로 갈등 관리
IV. 유통경로 갈등 성공사례
1) 홈플러스 (Homeplus)
2) 구멍가게 뭉쳐야 산다.
본문내용
케팅 기법,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로 무장한 대형 유통업체와 기업형 프랜차이즈가 ‘지역 밀착형 업종’을 흡수하면서 구멍가게들은 위기에 처하였다.
(동네서점, 소형 동네슈퍼마켓, 동네 꽃집 수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전국의 할인점수와 편의점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구멍가게의 위기
소비자가 상품을 접하는 경로가 다양해 진 것이 위기의 1차 원인이다. 교보, 영풍, 서울 등 대형 서점의 점유율은 약 15%. 여기에 이미 점유율이 10%를 넘어버린 인터넷 서점과 할인점 도서대여점 편의점 등도 동네 책방을 위협하는 경쟁자들이다.
대형, 깁업형 매장은 상품과 원부자재를 대량 구매하므로 값이 싸다. 할인점의 서적은 통상 15%, 꽃과 베이커리도 10~15% 가량 동네 점포보다 싸다. 동네 빵집이 늘 만드는 비슷한 빵을 구워 놓고 팔리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기업형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는 본사 차원에서 신상품을 개발하고 전가맹점이 연결된 웹 포스 시스템(실시간 판매정보 교류망)으로 원가, 재고, 고객관리를 한다.
(3)뭉치자, 구멍가게
동네 구멍가게들은 나름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경영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이세녕씨 : 월드컵 기간에 빙과와 음료를 50% 할인 하여 판매, 이밖에도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 사은행사 기간이면 비슷한 할인행사를 연다. 이씨가 가격을 싸게 할 수 있는 이유는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공동구매하기 때문이다. ‘코사마트’라는 협동조합 간판을 사용해 브랜드 인지도도 높혔다.
<구멍가게 뭉치기를 지원하는 전문업체>
- 전국 150여개 서점이 회원사인 ‘북새통’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사이버 백일장 등 공동 프로모션을 기획, 회원사가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코리아 베이커리 네트워크’는 신상품을 개발해 전국 자영 베이커리 업체들에게 제안하고 경영 컨설팅을 해준다.
(4)우리 매장만의 특색을 만들기
기업형을 따라하는 것만으로는 구멍가게가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고객에서 ‘이곳에서만 얻을 수 있는 무엇’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 도쿄 ‘지오다 서점’ : 15평 매장을 50평으로 늘리면서 취급하는 책을 금융, 비즈니스로만 제한했다. 대신 미국의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 관련 책을 일반용, 전문가용 등으로 세분화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는 대형 서점보다 다양한 책을 구비했다. 그 결과 ‘큰 서점에서도 찾기 힘든 금융 관련 서적도 지오다에는 있다’는 명성을 갖게 됐다.
-부산의 ‘정항우 케익하우스’도 뻔한 아이템에서 벗어나 케이크 전문점으로 특화한 경우로 케이크 종류가 웬만한 베이커리보다 많아 독특한 케이크를 원하는 소비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기존의 주먹구구식 영업을 하는 영세 점포는 결국 도태될 것이며 소비자의 기대치에 맞춰 동네 점포도 특성화 전문화를 통해 ‘지역 명소화’하는 방향으로 수준을 높여야 한다.
<참고서적>
(유통경영), 이신모저 2002
(유통스페셔리스트), 이신모저 2008
(유통채널), 설봉식저 2001
(동네서점, 소형 동네슈퍼마켓, 동네 꽃집 수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전국의 할인점수와 편의점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구멍가게의 위기
소비자가 상품을 접하는 경로가 다양해 진 것이 위기의 1차 원인이다. 교보, 영풍, 서울 등 대형 서점의 점유율은 약 15%. 여기에 이미 점유율이 10%를 넘어버린 인터넷 서점과 할인점 도서대여점 편의점 등도 동네 책방을 위협하는 경쟁자들이다.
대형, 깁업형 매장은 상품과 원부자재를 대량 구매하므로 값이 싸다. 할인점의 서적은 통상 15%, 꽃과 베이커리도 10~15% 가량 동네 점포보다 싸다. 동네 빵집이 늘 만드는 비슷한 빵을 구워 놓고 팔리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기업형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는 본사 차원에서 신상품을 개발하고 전가맹점이 연결된 웹 포스 시스템(실시간 판매정보 교류망)으로 원가, 재고, 고객관리를 한다.
(3)뭉치자, 구멍가게
동네 구멍가게들은 나름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경영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이세녕씨 : 월드컵 기간에 빙과와 음료를 50% 할인 하여 판매, 이밖에도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 사은행사 기간이면 비슷한 할인행사를 연다. 이씨가 가격을 싸게 할 수 있는 이유는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공동구매하기 때문이다. ‘코사마트’라는 협동조합 간판을 사용해 브랜드 인지도도 높혔다.
<구멍가게 뭉치기를 지원하는 전문업체>
- 전국 150여개 서점이 회원사인 ‘북새통’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사이버 백일장 등 공동 프로모션을 기획, 회원사가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코리아 베이커리 네트워크’는 신상품을 개발해 전국 자영 베이커리 업체들에게 제안하고 경영 컨설팅을 해준다.
(4)우리 매장만의 특색을 만들기
기업형을 따라하는 것만으로는 구멍가게가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고객에서 ‘이곳에서만 얻을 수 있는 무엇’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 도쿄 ‘지오다 서점’ : 15평 매장을 50평으로 늘리면서 취급하는 책을 금융, 비즈니스로만 제한했다. 대신 미국의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 관련 책을 일반용, 전문가용 등으로 세분화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는 대형 서점보다 다양한 책을 구비했다. 그 결과 ‘큰 서점에서도 찾기 힘든 금융 관련 서적도 지오다에는 있다’는 명성을 갖게 됐다.
-부산의 ‘정항우 케익하우스’도 뻔한 아이템에서 벗어나 케이크 전문점으로 특화한 경우로 케이크 종류가 웬만한 베이커리보다 많아 독특한 케이크를 원하는 소비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기존의 주먹구구식 영업을 하는 영세 점포는 결국 도태될 것이며 소비자의 기대치에 맞춰 동네 점포도 특성화 전문화를 통해 ‘지역 명소화’하는 방향으로 수준을 높여야 한다.
<참고서적>
(유통경영), 이신모저 2002
(유통스페셔리스트), 이신모저 2008
(유통채널), 설봉식저 2001
키워드
추천자료
유통경로관리 (서비스: E -MART )
[유통경로론]롯데백화점 분석
부부간의 갈등유형과 갈등해결방안
와인의 유통경로에 대하여...국제운송물류론 무역학과 레포트
[유통학] 유통경로의 계열화_수직적 마케팅 시스템의 유형
갈등의 이론적 관점 및 원인과 유형 영향 갈등해결방안
(유통 경로 개념) 유통경로의 기능과 수준 및 형태, 목표
[유통전략] 유통경로의 종류와 선정
하림 기업 분석, 경영전략, 유통경로, 유통구조 분석
커피산업의 유통구조, 유통경로
구두 시장 현황 및 유통경로 유형
유통의 개념과 역할 및 유통업체의 영향력 분석을 통해 새로운 유통경로의 유형에 대해
[기업마케팅][기업마케팅 특징][기업마케팅 배경][사회경제성][유통경로][기업마케팅 과제]기...
유통경로-암웨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