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핑턴 포스트]창조적 모방, 벤치마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핑턴 포스트]창조적 모방, 벤치마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텐츠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힘을 가지게 함으로 허핑턴 포스트에 사람들을 묶어 놓을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다른 미디어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차지 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많은 미디어를 제치고 사람들이 허핑턴 포스트에 이용자들이 머무는 시간이 오래 지속되도록 이용자를 사이트에 묶어 둘 수 있었다.
<사진> 좌 - 2009년 4월 기준, 방문객 당 머문 시간(분) 우 - 2011 미국 주요 뉴스 사이트 순 방문자 수 추이
(출처 : 콤스코어)
현재 뉴미디어의 부상으로 인하여 과거부터 계속해서 활동하던 저널리즘 기업들은 위기를 겪고 있다. 그 와중에 허핑턴 포스트가 보여준 모습은 기존의 언론사들과는 다르게 6년만인 2010년에 들어서는 AOL에 3억1천500만 달러라는 천문학적 가격에 매각되면서 저널리즘의 가치의 향상뿐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경제 수익도 불러왔다. 또한 2012년 허핑턴 포스트의 기자 데이비드 우드가 최고 권위의 언론상인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허핑턴 포스트는 기술적 모방을 전제하에 그것의 창조적 결합을 통하여 혁신을 이루어낸 대표적인 기업이다. 후발주자로 시작하여 이제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 허핑턴 포스트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언론 기사를 작성하고, 작성된 기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소통을 만들어나가는 전에 없던 역동적인 구조를 만들어냄으로써 독자들과 쌍방향간의 소통을 이루었다.
이렇듯 허핑턴 포스트가 보여주는 것은 디지털과 뉴스가 결합해 만들 수 있는 더 나은 미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흔히들 많은 언론사들은 온라인 서비스들을 광고시장에서 경쟁자 혹은 독자와 언론사 사이에 위치하여 언론사를 통제하는 대상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허핑턴 포스트는 검색뿐만 아니라 SNS를 통해서도 절반 가까운 트래픽을 창출해내고 있다. 그리고 그런 노력들이 양적, 질적으로 모두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허핑턴 포스트의 사례는 새롭게 등장하는 온라인 서비스와 언론사가 공동 성장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이 바로 다른 저널리즘 기업들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활로이자 성공하기 위한 기준이 되었다. 저널리즘의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치의 기준을 새로운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 출처
-2012. 허핑턴 포스트 홈페이지
-2011. 한국언론진흥재단. “허핑턴 포스트 되짚어보기 : 뉴스미디어의 미래”
-2011. 미도리웹닷컴. “미국 뉴스 사이트 1위, 허핑턴 포스트의 성공 비결”
-2012.3.27 아시아 투데이. 추정남 기자
-2012. 이글루스 김수빈 작업실. “허핑턴 포스트의 성공 그리고 그 역사”
-2011. 콤스코어 인터넷 방문자수 추이
*참여자 각각의 기여 부분/비율*
임이례 : 아리아나 사회적 자본 조사 - 20%
임혜지 : SNS 연동, 댓글문화 등 허핑턴 포스트 시스템 조사 - 20%
지희정 : 전반적인 허핑턴 포스트의 발전 역사 조사 - 20%
조인석 : 허핑턴 포스트의 창업 시작과 현재 위치, 벤치마킹 사례조사 - 20%
홍승욱 : 댓글시스템, 게이트키핑 조사 - 20%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7.07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8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