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광한과 기재기이
1.1 작가 ‘신광한’
1.2 기재기이
2. 안빙몽유록
2.1. 줄거리
2.2. 작품구조
2.3. 성격
2.4. 등장인물
2.5. 문학사적 의의
3. 문제
1.1 작가 ‘신광한’
1.2 기재기이
2. 안빙몽유록
2.1. 줄거리
2.2. 작품구조
2.3. 성격
2.4. 등장인물
2.5. 문학사적 의의
3. 문제
본문내용
정치적으로 닫힌 공동체가 형성되었을 때 우의적 방법으로 작자의 문학세계를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것을 고려할 때, <안빙몽유록>은 중종 때에 기묘사화로 인한 정치적 갈등을 소설화시켰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기묘사화의 배경과 사건 전말을 살피면 <안빙몽유록>에서 몽중 ‘화원’의 세계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과 일정한 함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묘사화는 중종과 사림과 반정공신 등의 갈등으로 중종과 반정공신이 사림 세력을 제거한 것으로 이런 일련의 역사적 사건의 주체를 <안빙몽유록>에 나타나는 갈등 주체에 대입시켜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 분
표면적 의미
우의적 역사적 의미
인 물
화왕
중종
반희 이부인
반정공신
조래선생 수양처사 동리은일
사림파
미인(출당화)
사화관련 재야인사
배 경
화원(화국)
기묘사화 때의 정계
2.4.3 전기 소설적 구성과 의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빙몽유록>의 서사 구조는 몽전 부분은 <남염부주지>에 가깝고, 몽중과 몽후 부분은 대체로 <남가태수전>의 서사 구조에 근사하다. 또한, <안빙몽유록>은 주제 구현의 방법에 있어서 <남가태수전>과 <조신>과 비슷하고, 이 작품들은 주인공의 몽중 경험을 토대로 몽전에 지녔던 현실에 대한 인식 변화를 주제로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꿈속에서 의인화된 사물의 정령(花精)들과 만나는 것은 지괴서사 괴이한 일들을 기록하는 형태의 소설. 중국 육조시대(3∼6세기)에 크게 유행한 소설의 한 갈래다. 황당하고 괴이한 이야기 소재로 서사의 즐거움을 안기는 청나라 초기 포송령의 소설집 ‘요재지이(聊齋志異)’가 대표적이다.
에 등장하는 모티프이기도 하다. 이점에서 지괴서사의 전통성도 짐작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은 주인공 안빙이 꿈속에서 의인화된 화왕국의 인물과 만남을 통해서 화국에 대한 본질적인 각성을 하게 되고, 그 결과 평상시 완상하던 꽃밭을 멀리한 채 정심하여 독서에만 몰두하는 깨달음의 과정을 보여 주는 자전적 성격의 몽유전기소설이다. 특히 주제 구현 방식에서 사물의 현상을 통해서 자신을 반성하는 방식은 인간의 문제를 단순히 인간의 방식대로 풀려 하지 않고 자연 사물의 현상적 원리 속에서 인간 문제를 풀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신광한의 소설 쓰기에서 돋보이는 점은 이렇게 자연의 현상을 자신의 생활 철학으로 전환시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사물의 정령을 전기적 소재로 채택하여 전기소설로 주제를 형상화할 수 있었다. 신광한은 기묘사화 이후 정계를 떠나 치사은일(致仕隱逸)하면서 독서에 정심하는 자신의 삶의 과정과 그의 처세관을 유가적 사유방법인 ‘격물치지’의 철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전기소설로 형상화시켰다.
2.5 문학사적 의의
첫째,「안빙몽유록」은 소설발달사에 있어 몽유록의 형성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작품으로 소설사에 있어서 몽유록 양식 출현의 발단적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안빙몽유록」은 전래한 단편적 삽입설화나 가전체 등을 수용하면서도 몽유모티프를 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장르(소설)의 모색을 시도했다.
셋째, 소재면에 있어 꽃을 대상으로 이를 의인화한 문학적 전통(예: 설총의 화왕계)을 좀더 발전적으로 계승하였음을 볼 수 있다.
넷째, 주제를 표출하는 작가의식에 있어서 조선전기 사대부의 문학관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주제면에서 볼 때 본 작품은 교술적 성격이 강한 가전과 몽유모티프의 우언적 기능을 수용하여 시대적 배경인 유학사상과 소설의 효용적 가치를 조화시킨 작품이다. 따라서 당시 지배적인 도문일치의 문학관을 빌려 독자에게 교훈적인 주제의식을 부각시키고 있는 점에서 소설의 효용가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후대에 이어지는 몽유록 작품과의 영향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신광한의 문학적 역량은 후대 문인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었으리라 본다. 실제 소설사에서 뒤를 이어 문단을 주도한 임제 허균 등도 시기적으로는 물론 직간접적으로 그 영향 하에 있음을 보여준다. 「안빙몽유록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위치」, 류기옥, 국어문학 Vol.27 , 1989 pp.107~108
3. 문제
<안빙몽유록>을 지도하기 위해 주요 학습 내용을 정리한 뒤 심화 자료를 선정하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교수 학습 요소
주요 학습 내용
심화 자료
①
문학관의 특징
쾌락설에 의거하여 문학의 효용가치를 긍정하는 경우를 찾아 작품과 비교한다.
<구운몽>
②
몽유록 양식의 특징
몽자류 소설과 몽유록 소설을 비교하여 이 작품의 특징을 안다.
<옥루몽>
③
우의적 표현의 계승양상
우의적 표현이 현대 소설에서 어떻게 계승되는지 안다.
<목넘이 마을의 개>
④
가전의 기법 계승
의인화를 사용하여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가전을 계승한 작품임을 확인한다.
<공방전>
⑤
의인화 기법 계승
소재와 수사적 기법이 유사한 작품을 찾아 작품과 비교한다.
<화왕계>
※ 참고문헌
김민주, 「「안빙몽유록」의 서사적 전통과 의미」, 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 과 2004
류기옥, 「안빙몽유록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위치」, 국어문학 Vol.27 , 1989
소재영 「신광한의 기재기이」,『숭실어문』3,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1986
신해진, 「「안빙몽유록」의 주제의식 고찰-작가의 의식성향 및 정치적 입장과 관련하여 -」, 한국한문학연구 Vol 20, 1997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의 연구」, 전북대박사학위논문, 1990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5
─ ,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2002.
─ , “<安憑夢遊錄> 硏究”, 淸大學術論集 Vol.2,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4.
이광구, 「기재기이의 효용론적 탐구」,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2008
장웅재, 「《기재기이》의 창작배경과 의미분석」, 학위논문(석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최승범, “「안빙몽유록」에 대하여”, 國語文學 Vol.2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4.
기묘사화는 중종과 사림과 반정공신 등의 갈등으로 중종과 반정공신이 사림 세력을 제거한 것으로 이런 일련의 역사적 사건의 주체를 <안빙몽유록>에 나타나는 갈등 주체에 대입시켜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 분
표면적 의미
우의적 역사적 의미
인 물
화왕
중종
반희 이부인
반정공신
조래선생 수양처사 동리은일
사림파
미인(출당화)
사화관련 재야인사
배 경
화원(화국)
기묘사화 때의 정계
2.4.3 전기 소설적 구성과 의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빙몽유록>의 서사 구조는 몽전 부분은 <남염부주지>에 가깝고, 몽중과 몽후 부분은 대체로 <남가태수전>의 서사 구조에 근사하다. 또한, <안빙몽유록>은 주제 구현의 방법에 있어서 <남가태수전>과 <조신>과 비슷하고, 이 작품들은 주인공의 몽중 경험을 토대로 몽전에 지녔던 현실에 대한 인식 변화를 주제로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꿈속에서 의인화된 사물의 정령(花精)들과 만나는 것은 지괴서사 괴이한 일들을 기록하는 형태의 소설. 중국 육조시대(3∼6세기)에 크게 유행한 소설의 한 갈래다. 황당하고 괴이한 이야기 소재로 서사의 즐거움을 안기는 청나라 초기 포송령의 소설집 ‘요재지이(聊齋志異)’가 대표적이다.
에 등장하는 모티프이기도 하다. 이점에서 지괴서사의 전통성도 짐작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은 주인공 안빙이 꿈속에서 의인화된 화왕국의 인물과 만남을 통해서 화국에 대한 본질적인 각성을 하게 되고, 그 결과 평상시 완상하던 꽃밭을 멀리한 채 정심하여 독서에만 몰두하는 깨달음의 과정을 보여 주는 자전적 성격의 몽유전기소설이다. 특히 주제 구현 방식에서 사물의 현상을 통해서 자신을 반성하는 방식은 인간의 문제를 단순히 인간의 방식대로 풀려 하지 않고 자연 사물의 현상적 원리 속에서 인간 문제를 풀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신광한의 소설 쓰기에서 돋보이는 점은 이렇게 자연의 현상을 자신의 생활 철학으로 전환시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사물의 정령을 전기적 소재로 채택하여 전기소설로 주제를 형상화할 수 있었다. 신광한은 기묘사화 이후 정계를 떠나 치사은일(致仕隱逸)하면서 독서에 정심하는 자신의 삶의 과정과 그의 처세관을 유가적 사유방법인 ‘격물치지’의 철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전기소설로 형상화시켰다.
2.5 문학사적 의의
첫째,「안빙몽유록」은 소설발달사에 있어 몽유록의 형성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작품으로 소설사에 있어서 몽유록 양식 출현의 발단적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안빙몽유록」은 전래한 단편적 삽입설화나 가전체 등을 수용하면서도 몽유모티프를 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장르(소설)의 모색을 시도했다.
셋째, 소재면에 있어 꽃을 대상으로 이를 의인화한 문학적 전통(예: 설총의 화왕계)을 좀더 발전적으로 계승하였음을 볼 수 있다.
넷째, 주제를 표출하는 작가의식에 있어서 조선전기 사대부의 문학관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주제면에서 볼 때 본 작품은 교술적 성격이 강한 가전과 몽유모티프의 우언적 기능을 수용하여 시대적 배경인 유학사상과 소설의 효용적 가치를 조화시킨 작품이다. 따라서 당시 지배적인 도문일치의 문학관을 빌려 독자에게 교훈적인 주제의식을 부각시키고 있는 점에서 소설의 효용가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후대에 이어지는 몽유록 작품과의 영향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신광한의 문학적 역량은 후대 문인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었으리라 본다. 실제 소설사에서 뒤를 이어 문단을 주도한 임제 허균 등도 시기적으로는 물론 직간접적으로 그 영향 하에 있음을 보여준다. 「안빙몽유록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위치」, 류기옥, 국어문학 Vol.27 , 1989 pp.107~108
3. 문제
<안빙몽유록>을 지도하기 위해 주요 학습 내용을 정리한 뒤 심화 자료를 선정하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교수 학습 요소
주요 학습 내용
심화 자료
①
문학관의 특징
쾌락설에 의거하여 문학의 효용가치를 긍정하는 경우를 찾아 작품과 비교한다.
<구운몽>
②
몽유록 양식의 특징
몽자류 소설과 몽유록 소설을 비교하여 이 작품의 특징을 안다.
<옥루몽>
③
우의적 표현의 계승양상
우의적 표현이 현대 소설에서 어떻게 계승되는지 안다.
<목넘이 마을의 개>
④
가전의 기법 계승
의인화를 사용하여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가전을 계승한 작품임을 확인한다.
<공방전>
⑤
의인화 기법 계승
소재와 수사적 기법이 유사한 작품을 찾아 작품과 비교한다.
<화왕계>
※ 참고문헌
김민주, 「「안빙몽유록」의 서사적 전통과 의미」, 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 과 2004
류기옥, 「안빙몽유록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위치」, 국어문학 Vol.27 , 1989
소재영 「신광한의 기재기이」,『숭실어문』3,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1986
신해진, 「「안빙몽유록」의 주제의식 고찰-작가의 의식성향 및 정치적 입장과 관련하여 -」, 한국한문학연구 Vol 20, 1997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의 연구」, 전북대박사학위논문, 1990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5
─ ,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2002.
─ , “<安憑夢遊錄> 硏究”, 淸大學術論集 Vol.2,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4.
이광구, 「기재기이의 효용론적 탐구」, 강원대 석사학위논문, 2008
장웅재, 「《기재기이》의 창작배경과 의미분석」, 학위논문(석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최승범, “「안빙몽유록」에 대하여”, 國語文學 Vol.2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