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한편, 소리가 물질의 경계면에 도달했을 때 얼마만한 부분이 다른 물질 속으로 들어가는가는 양쪽 물질의 밀도와 그 속에서의 음속의 곱의 상대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 차가 클수록 반사율은 크고 물질 속으로 들어가는 비율은 작아진다. 예를 들어 공기 속을 전파해온 소리가 물 속으로 들어가는 확률은, 경계면에 수직으로 들어갔을 때도 12% 정도이고, 물에서 강철로 전파했을 때도 13% 안팎이다.
또 같은 공기라도 가는 관(管) 안의 공기와 관 밖의 공기에서는 관구(管口) 부근에서 그 곱의 값이 갑자기 변하는 조건이 있어 그대로는 관 안에서 발생한 소리가 효율적으로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금관악기 등에서는 나팔을 붙여서 이 차를 점진적으로 바꾸어 관 안에서 밖으로 소리가 잘 나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소리가 물질의 경계면에 도달했을 때 얼마만한 부분이 다른 물질 속으로 들어가는가는 양쪽 물질의 밀도와 그 속에서의 음속의 곱의 상대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 차가 클수록 반사율은 크고 물질 속으로 들어가는 비율은 작아진다. 예를 들어 공기 속을 전파해온 소리가 물 속으로 들어가는 확률은, 경계면에 수직으로 들어갔을 때도 12% 정도이고, 물에서 강철로 전파했을 때도 13% 안팎이다.
또 같은 공기라도 가는 관(管) 안의 공기와 관 밖의 공기에서는 관구(管口) 부근에서 그 곱의 값이 갑자기 변하는 조건이 있어 그대로는 관 안에서 발생한 소리가 효율적으로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금관악기 등에서는 나팔을 붙여서 이 차를 점진적으로 바꾸어 관 안에서 밖으로 소리가 잘 나올 수 있게 되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