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널드(맥도날드 / McDonald\'s) 햄버거 또는 오리온 초코파이의 국제화 전략 사례를 설명하시오 (맥도날드의 기업이념, 기업정신, 연혁, 맥도날드의 영업 방식, 맥도날드의 성공 이유 및 전략(4P), 아이디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도널드(맥도날드 / McDonald\'s) 햄버거 또는 오리온 초코파이의 국제화 전략 사례를 설명하시오 (맥도날드의 기업이념, 기업정신, 연혁, 맥도날드의 영업 방식, 맥도날드의 성공 이유 및 전략(4P), 아이디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맥도날드의 선정 이유와 동기
2. 맥도날드의 개요, 기업이념, 기업정신, 연혁
3. 맥도날드의 영업 방식
4. 맥도날드의 성공 이유 및 전략(4P), 아이디어
5. 결론

본문내용

게 작용할 때 이를 모면하기 위해 수요를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경우가 있다. 소비자가 적당히 절제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는 술·담배·신용카드에 대한 디마케팅 전략이 바로 그런 경우이며 맥도날드 경우도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면 맥도날드는 어떤 효과를 노리고 이러한 디마케팅을 한 것일까? 우선 토종 마케팅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맥도날드는 현지화 전략에 능한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화에 대한 반감이 거세고, 콜레스테롤이 많은 패스트푸드 음식문화에 대해 거부감이 많은 프랑스 문화에 편승한 것이다. 그러면서 자신들에게 불리한 사회적 압력에서 잠시나마 벗어나려고 노력한 것이다. 둘째, 맥도날드는 고객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매출이 줄어도 상관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했다. 특히 건강을 매우 의식하는 프랑스 소비자에게 맥도날드가 그들의 자녀를 진정으로 걱정해주고 있다는 고객 지향적이고 공익적인 기업 이미지를 심어주려고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1주일에 한번만’이라는 광고 카피는 수요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요를 늘릴 수도 있다. 건강에 나쁘다는 생각 때문에 패스트푸드점을 아예 가지 않는 사람이나, 한달에 한번 가는 사람은 이제 1주일에 한번 가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오히려 수요가 늘 수도 있다. 매우 고단수의 마케팅 전략이 아닐 수 없다. 1주일에 맥도날드 매장에 몇 번이나 가겠는가? 국내 진출 15주년을 맞는 한국 맥도날드는 앞으로 어떤 고단수의 마케팅 전략을 펼칠지 궁금해진다.
2)홍콩시장에서의 맥도날드의 성공
1975년 세계 최대의 햄버거체인 맥도날드(McDonald's)가 홍콩에 처음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홍콩은 일본에 이어 맥도날드가 두 번째로 진출하는 아시아시장이 된다. 그런데 홍콩의 광동요리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일품요리이며, 또한 이 곳에서는 밥이 끼어 나오지 않는 음식은 대체로 스낵으로 간주되기 일쑤다. 이러한 위험요소 때문에 맥도날드는 다니엘 낵(Daniel Ng)이라는 현지 파트너와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방법으로 홍콩시장에 들어갔으며, 회사의 경영도 전적으로 중국인들에게 맡긴다. 홍콩에서 맥도날드는 곧 인기를 끌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현지의 음식점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 매장의 화장실이 깨끗하다는 소문이 나자 경쟁관계에 있는 많은 레스토랑들도 화장실을 정비하게 되었다. 맥도날드는 또한 어린이들의 생일파티를 TV광고에서 크게 부각시킨다. 그러자 그 전에는 아이들의 생일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던 홍콩사람들이 생일을 맞은 아이들의 성화에 못 이겨 맥도날드 매장에 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누피(Snoopy)인형이나 헬로 키티(Hello Kitty)인형을 매장에서 팔기 시작하자,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매장 앞에서 아주 긴 줄을 만든다.
그런데 홍콩에서 맥도날드는 기본적으로 상당히 현지화 된 전략을 쓰고 있다. 그 대표적인 보기가 가격전략이다. 즉 홍콩이 매우 물가가 비싼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맥도날드는 이 곳에서 제품의 값을 아주 싸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홍콩에서의 빅맥(Big Mac)의 값은 세 나라(중국, 말레이시아, 헝가리)만 빼면 전 세계에서 가장 싸다. 또한 현지인들의 취향에 맞게 다른 지역에서와는 달리 아침시간에 버거를 팔며, 젊었을 때 고생을 많이 했던 나이 든 고객들이 냅킨을 한 웅큼씩 집어가기 때문에 종업원들이 냅킨을 하나씩 손님들에게 나누어준다. 홍콩에서 맥도날드의 인기가 높은 또 하나의 큰 이유는 매장이 넓기 때문이다. 즉 아주 좁은 주거공간에서 사는 홍콩사람들에게 맥도날드 매장은 널찍한 오아시스나 다름없다. 그래서 그들은 맥도날드에서 즐겨 사람들을 만나고, 공부를 하고, 심지어는 간단한 사무를 보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와 현지화 된 마케팅활동으로 말미암아 이제 홍콩은 연간매출액이 3억 달러에 달하는 맥도날드의 11대 시장의 하나가 되었다. 몇 년 전에 다니엘 낵의 지분을 인수한 맥도날드는 홍콩에 현재 일주일에 350만 명 정도의 손님들이 들르는 약 160개의 매장을 갖고 있으며, 그 가운데 2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장사가 잘되는 맥도날드 10대 매장에 끼어있다. 98년 세계 각국에서 3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 맥도날드는 94년 이후 총매출액의 절반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이렇게 맥도날드로서는 해외시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홍콩에서의 경험은 이 회사의 특히 바람직한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7.24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