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온돌과 다다미
1. 정의
2. 유래(기원)
3. 구조와 특성
4. 장 ․ 단점
1. 정의
2. 유래(기원)
3. 구조와 특성
4. 장 ․ 단점
본문내용
옛날에는 옷감 자체가 지금처럼 발달되지 못했기 때문에 속옷을 갖추어 입지 않거나, 나체에 가깝다고 한다. 그러나 치마의 폭이 넓고 퍼지는 형태의 치마인 한복으로서는 엉덩이와 다리를 같이 바닥에 붙이고 앉는 자세나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고 한쪽 다리를 세우고 앉는 자세가 매우 용이했을 것이다. 앉는 방식에 의한 차이는 거주방식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다다미는 짚더미 위에 올라앉는 것이고 온돌은 편편한 돌 위에 올라앉는 것이다. 의복의 형태상 무릎을 꿇고 앉을 수밖에 없었던 일본인들의 방바닥이 온돌 이였다면 치마의 형태가 변형되었거나 방석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을까.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일반적인 일본인들의 생활습관에 폭신한 다다미가 딱딱한 방바닥보다 훨씬 적합했으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이 간다.
추천자료
한국의전통주거(집)
건축시공 미장공법
한국 건축사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과외]중학 기술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06
과외]고등 국사 선사문화와 삼국의 정립 01
주거 환경의 변천
[콩트] 비가 멈춘 거리
펜션 <벤치하우스> 사례조사
엔터테인먼트와 산업의 이해와 제2의 한류 성공전략 최종(아이돌가수중심)
[로마건축][로마건축의 단독주택][로마건축의 대작][로마건축의 실례]로마건축의 성격, 로마...
기업분석 & 직무조사 - 한경희 생활과학 & 아모레 퍼시픽
내집단의 태도가 문화적 절대주의, 문화제국주의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동양과 서양의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