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의 『그리고 나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의 『그리고 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그리고 나서 (それから)』
-잃어버린 ‘자연’으로 돌아가라


1. 작가 소개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

2.작품소개

3.줄거리



서 론


본 론


결 론

본문내용

한 비판 의지를 관처하고 그 대신 친구의 아내를 아내로 삼는 길을 선택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이스케의 도덕적 우위는 흔들리게 된다. 설사 어차피 행복하지 않은 결혼 생활이었다 하더라고 친구의 아내를 빼앗는 것은 공동체 윤리에 반할 뿐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도리에도 어긋나기 때문이다. 그러한 ‘부도덕’에 대한 세상의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미치요와 결합할 것을 결심하게 이끈 논리는 ‘자연’의 명령에 순응한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자연’이라는 단어는 주제와 관련된 핵심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야기의 전개에 따라 다의적으로 사용오디고 있어 한마디로 규정하기 곤란하다. 행운유수(行雲流水)와 같이 인간 본연의 순수 의지, 혹은 자연 본능이 과부족 없이 구현되는 상태를 가리키기도 하고 때로는 하늘의 뜻과 같은 초월적인 질서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러나 ‘자연’이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구속하는 인위적 제도,장치에 대한 대립개념으로 제시된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그것은 결혼이라는 제도의 억압으로부터 미치요를 ‘구출’ 하기 위한 명분을 구성한다.
결 론
처음에는 다이스케의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말이 자신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논리라는 생각도 들었으나 다이스케의 히라오카에게 사과하는 진정성, 그의 미치요에 대한 사랑의 깊이를 따져 볼 때 (아픈 미치요 걱정에 밤낮을 잊고 그녀의 집 앞을 지킨다. 그리고 그녀에게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직업을 구하러 나선다.) 그것은 정당방위라는 논리가 아니라 진심으로 그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고고하고자 했던 지식인이 스스로 모순에 발을 들인다고 하기에는 그들의 사랑을 퇴색시키는 말이 되고 나쓰메 또한 다이스케와 미치요를 부정적인 시선으로 그리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중립적이면 모를까.....
“그 때의 나는 지금의 나와는 달랐지...내 미래를 희생시키더라도 자네의 소망을 들어 주는 것이 친구의 도리라고 생각했네 . 그것이 문제였던 거야. 지금만큼이라도 사고가 성숙해 있었더라면 그러지 않았을 텐데 .애석하게도 아직 어렸기 때문에 너무도 자연을 경멸했었지. 나는 그때 일일 생각하면 너무나 후회스러워. 나 자신을 위해서만이 아니야. 사실 자네를 위해서 후회하고 있네. 내가 진정으로 미안하게 여기는 것은 이면 일보다 오히려 그때 내가 섣불리 가졌던 의협심 때문이지, 용서해 주게. 나는 이렇게 자연에 복수 당하고 자네 앞에 손을 짚고서 사과하네“
이 부분을 보면 다이스케는 사랑이라는 자연에 순응하지 않고 가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고 미치요를 히라오카에게 보낸 자신에 대해서 눈물을 흘릴 정도로 후회하고 있다.
즉, 작가는 그들의 사랑이 불륜이라 사회적으로 어긋난 행위이고 그로 인해 생각할 수 있는 지식인의 정신적 고고함의 한계와 내면적 모순을 말하려 한 것이 아니라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지 않고 기회를 스스로 놓아버린 다이스케를 동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에 인은 『문』이라는 작품에서 친구의 동거녀를 빼앗아 결혼한 후 사라지지 않을 것 같은 고통의 연속 속을 사는 주인공들의 모습도 사회적 윤리를 벗어난 데 대한 죄 값이 아니다. 다이스케가 미치요가 결혼을 하기전 그녀와 결혼했더라면 아버지와 의절할 일도 정신적 고통을 겪어야 할 일도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고통을 겪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자연’이라는 단어 인간 본연의 순수 의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구속하는 인위적 제도, 장치에 대한 대립개념이며 그래서 일본의 도덕적 타락에 대한 해결책이 될 미완성품이라면 이 소설의 주제는 ‘ 잃어버린 자연으로의 회귀’라고 일관되게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7.31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1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