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The # 브랜드 분석
Ⅱ. 경쟁사 분석
1. 래미안 _ 삼성물산
2. 푸르지오 _ 대림산업
3. e-편한세상 _ 대우건설
4. 자이(Xi) _ GS건설
5. 힐스테이트 - 현대건설
6. Big5 와 The# 비교
Ⅲ. The # 광고 분석 / 평가
1. 브랜드 네임(The #)에 대한 연상력 약화
2. 파격적인 미혼 남자모델 기용
3. 모기업(POSCO) 브랜드 이미지의 노출
4. 핵심 편익과 메인 카피의 부적합
Ⅳ. The # 광고 기본 전략
1. 광고 목표
2. 광고 목표 대상
3. 광고 컨셉
Ⅴ. The # 광고 목적의 달성 방안
1. The # 고유의 브랜드 강조 방안
2. The # 의 시각화 효과 유발
3. 광고 카피에 각운을 부여
4. The # 은 행복한 가족의 공간이라는 의미 강화 방안
5. ‘가족의 행복’ 차별적 표현방안
Ⅱ. 경쟁사 분석
1. 래미안 _ 삼성물산
2. 푸르지오 _ 대림산업
3. e-편한세상 _ 대우건설
4. 자이(Xi) _ GS건설
5. 힐스테이트 - 현대건설
6. Big5 와 The# 비교
Ⅲ. The # 광고 분석 / 평가
1. 브랜드 네임(The #)에 대한 연상력 약화
2. 파격적인 미혼 남자모델 기용
3. 모기업(POSCO) 브랜드 이미지의 노출
4. 핵심 편익과 메인 카피의 부적합
Ⅳ. The # 광고 기본 전략
1. 광고 목표
2. 광고 목표 대상
3. 광고 컨셉
Ⅴ. The # 광고 목적의 달성 방안
1. The # 고유의 브랜드 강조 방안
2. The # 의 시각화 효과 유발
3. 광고 카피에 각운을 부여
4. The # 은 행복한 가족의 공간이라는 의미 강화 방안
5. ‘가족의 행복’ 차별적 표현방안
본문내용
e #\' 이라는 문구가 타겟층에게
어필하는 메시지가 모호하며, 일관적으로 사용하지 않아(‘감성의 #’ ‘포스코 The #\', ‘첨단의 #’, ‘살수록 더 좋은집 포스코 The #’) 브랜드 인지도에 기여 하는 정도가 경쟁사에 비해 약함.
2. 파격적인 남자모델 기용
- 경쟁사들의 경우 주택구매 과정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여성 (주부)을 타겟으로, 닮고 싶은 여성, 세련되고 럭셔리한 여성모델을 전면에 내세 움.(이영애, 장서희, 김남주 등)
- 또는, 따뜻하고 행복한 가족을 표현하고자 부부모델을 기용하기도 함
(유동근전인화 부부, 차인표신애라 부부, 김호진김지호 부부 등)
- 반면 The #의 경우, 스캔들 한번 나지 않을 정도로 자기관리가 철저하며 깔 끔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남자모델 장동건을 브랜드 이미지와 연결시키고자 파격 적인 기용. (실제로 장동건 모델 기용 후에 인지도, 선호도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 과가 있다고 평가됨.)
참신하긴 하지만 경쟁사의 여성 모델과 비교하여 주 타겟층인 여성(주부)을 강력 하게 공략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제기됨.
3. 모기업(POSCO) 브랜드 이미지의 노출
- Big4 등의 경쟁사들의 경우 아파트의 브랜드 네임만을 강조하며, 모기업(삼성, 대우, GS건설) 브랜드 이미지와의 연상 작용을 차단하고 있음.
⇒ 삼성은 브랜드 인지도 및 호감도는 매우 좋지만, 삼성브랜드의 이미지와 아파트의 연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 확장에는 오히려 부작용으 로 판단하여 래미안과 삼성을 연결하지 않음.
- 아파트 브랜드 가치의 극대화를 위해, 모기업이 주는 연상작용이 도움이 안된 다고 판단.
- The #의 경우 다른 경쟁사들과 달리 광고에서 포스코 건설을 화면 상단에 노 출 시킴으로써 딱딱하고 남성적인 POSCO의 철강 이미지가 따뜻하게 쉴 수 있는 가족의 보금자리로서의 “The #” 브랜드 인지에 방해요소로 판단.
4. 핵심 편익과 메인 카피의 부적합
- The #이 ‘인간중심’, ‘친환경중심’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광고컨셉(감성의 #, 환경의 #, 생활의 #, 첨단의 #, 햇살편 등)들이 경쟁사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컨셉과의 차별성이 떨어짐 (e-편한세상의 ‘생태연못’, ‘바람’, ‘나무’, ‘산’, ‘공기’등)
The #의 가장 최근 광고인 “세상의 아름다운 곳은 많지만 내가 쉴 수 있는 곳은 바로 The #” 이라는 휴식공간의 이미지와 첨단, 세련됨을 연상시키는 ‘인생을 더 샤프하게’ 라는 표현 간 의미의 상충.
반면, 경쟁사들은 표현하고자 하는 컨셉이 카피로 명확히 드러남
(자이: “누려보세요 자이 커뮤니티” / e-편한 세상: “집이 뭐죠? 뭐긴,, 당신을 쉬게 하는 집”)
즉, 인간중심이고 가족중심적인 느낌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The #\" 만의 독특하고 호소력 있는 컨셉이 필요됨.
⇒ The # 고유의 브랜드 특성을 찾아줄 것이 요구됨.
Ⅳ. 광고 기본 전략
1. 광고 목표
- The # 의 이미지를 가족 구성원간의 사랑으로 연결시켜 The # 이란 공간을 소비자로 하여금 가족 모두가 웃으며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인지하게 함.
→ 기존의 차별화 방안(고급화, 최첨단, 친환경, 세련됨)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시 “집 이란 어떤 곳인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여 “내”가 쉬는 공간임을 넘어 “가족” 모두가 그 곳에서 사랑을 느끼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임을 새롭게 인지시킴. 즉, 기존의 아파트를 내 가치를 올리는 곳에서 내 가족이 사랑을 느끼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곳으로 표현함.
→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시의 핵 가족화가 보편화 되어 가족 구성원 수가 극히 적은 상태에서 부부는 맞벌이로, 아이는 공부로 인해 바쁘고 이로 인해 가족의 유대 관계가 상당히 약화 되었다고 판단하여 The # 을 가족이 모두 모여 사랑을 느끼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 하고자 함.
2. 광고 목표의 대상
- 결혼 후 아이를 낳고 새 집으로 옮기고자 하는 30~40대 부부.
3. 광고 컨셉
- 가족 구성원간의 사랑과 그 안에서 느껴지는 행복.
→ 서로 바쁜 일상 속에서 The # 이란 공간만은 가족이 함께 웃으며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곳. 또한 그 행복으로 인해 다시 Refresh 될 수 있는 곳.
Ⅴ. The # 광고 목표의 달성 방안
1. The # 고유의 브랜드 강조 방안
- 포스코, 포스코 건설 문구 삭제
→ 포스코 문구의 삭제를 통해 브랜드 연상 경로를 ‘The #\'으로 단일화, 집중
2. The #로고의 시각화 효과 유발
- The # 안에서 가족간의 사랑이 피어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연상력 강화
(가족의 웃음과 사랑을 가져다주는 The # 이다.)
- ‘#’ 로고를 사람의 웃는 얼굴로 시각화 시킴으로서 행복한 이미지를 제공.
- 마지막 장명에서 명암차를 통해 The #의 브랜드 로고가 돋보이도록 부각.
3. 카피에 각운을 부여
- 유사한 운율의 반복적인 카피를 통하여 ‘The #’이란 공간 안에서 행복한 가족의 모습을 표현.
“the #으로 왔습니다.”
“내 아이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아내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가족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가족의 웃음 the # \"
4. ‘The #’은 행복한 가족의 공간이라는 의미 강화 방안
- 광고속 등장인물인 엄마, 아빠, 딸의 삶속에서 ‘The #’ 으로 인해 한 단계 업그 레이드되는 모습을 경박하거나 유치하지 않게 시각적으로, 의미적으로 표현.
- 엄마의 공간인 주방이 행복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 딸의 방이 행복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의미.
5. ‘가족의 행복’ 차별적 표현방안
- 각각의 가족 구성원(아빠, 엄마, 딸)들을 주인공으로 제작
-‘The #’ 속에서 행복한 가족의 모습을 강조
-아파트로 이사 오는 장면부터 시작하여 기능적인 차별화 강조보다는 인간의 본원 적인 소망의 모습인 ‘나와 가족의 행복’을 부각시키는 감성소구 이용
-‘나’의 가족을 강조
가족의 행복을 강조하면서 ‘내’ 삶과 ‘나’의 가족이 웃을 수 있는 공간임을 강조.
[The # TV 광고 기획서 _ 판매촉진론 5조]
어필하는 메시지가 모호하며, 일관적으로 사용하지 않아(‘감성의 #’ ‘포스코 The #\', ‘첨단의 #’, ‘살수록 더 좋은집 포스코 The #’) 브랜드 인지도에 기여 하는 정도가 경쟁사에 비해 약함.
2. 파격적인 남자모델 기용
- 경쟁사들의 경우 주택구매 과정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여성 (주부)을 타겟으로, 닮고 싶은 여성, 세련되고 럭셔리한 여성모델을 전면에 내세 움.(이영애, 장서희, 김남주 등)
- 또는, 따뜻하고 행복한 가족을 표현하고자 부부모델을 기용하기도 함
(유동근전인화 부부, 차인표신애라 부부, 김호진김지호 부부 등)
- 반면 The #의 경우, 스캔들 한번 나지 않을 정도로 자기관리가 철저하며 깔 끔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남자모델 장동건을 브랜드 이미지와 연결시키고자 파격 적인 기용. (실제로 장동건 모델 기용 후에 인지도, 선호도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 과가 있다고 평가됨.)
참신하긴 하지만 경쟁사의 여성 모델과 비교하여 주 타겟층인 여성(주부)을 강력 하게 공략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제기됨.
3. 모기업(POSCO) 브랜드 이미지의 노출
- Big4 등의 경쟁사들의 경우 아파트의 브랜드 네임만을 강조하며, 모기업(삼성, 대우, GS건설) 브랜드 이미지와의 연상 작용을 차단하고 있음.
⇒ 삼성은 브랜드 인지도 및 호감도는 매우 좋지만, 삼성브랜드의 이미지와 아파트의 연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 확장에는 오히려 부작용으 로 판단하여 래미안과 삼성을 연결하지 않음.
- 아파트 브랜드 가치의 극대화를 위해, 모기업이 주는 연상작용이 도움이 안된 다고 판단.
- The #의 경우 다른 경쟁사들과 달리 광고에서 포스코 건설을 화면 상단에 노 출 시킴으로써 딱딱하고 남성적인 POSCO의 철강 이미지가 따뜻하게 쉴 수 있는 가족의 보금자리로서의 “The #” 브랜드 인지에 방해요소로 판단.
4. 핵심 편익과 메인 카피의 부적합
- The #이 ‘인간중심’, ‘친환경중심’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광고컨셉(감성의 #, 환경의 #, 생활의 #, 첨단의 #, 햇살편 등)들이 경쟁사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컨셉과의 차별성이 떨어짐 (e-편한세상의 ‘생태연못’, ‘바람’, ‘나무’, ‘산’, ‘공기’등)
The #의 가장 최근 광고인 “세상의 아름다운 곳은 많지만 내가 쉴 수 있는 곳은 바로 The #” 이라는 휴식공간의 이미지와 첨단, 세련됨을 연상시키는 ‘인생을 더 샤프하게’ 라는 표현 간 의미의 상충.
반면, 경쟁사들은 표현하고자 하는 컨셉이 카피로 명확히 드러남
(자이: “누려보세요 자이 커뮤니티” / e-편한 세상: “집이 뭐죠? 뭐긴,, 당신을 쉬게 하는 집”)
즉, 인간중심이고 가족중심적인 느낌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The #\" 만의 독특하고 호소력 있는 컨셉이 필요됨.
⇒ The # 고유의 브랜드 특성을 찾아줄 것이 요구됨.
Ⅳ. 광고 기본 전략
1. 광고 목표
- The # 의 이미지를 가족 구성원간의 사랑으로 연결시켜 The # 이란 공간을 소비자로 하여금 가족 모두가 웃으며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인지하게 함.
→ 기존의 차별화 방안(고급화, 최첨단, 친환경, 세련됨)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시 “집 이란 어떤 곳인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여 “내”가 쉬는 공간임을 넘어 “가족” 모두가 그 곳에서 사랑을 느끼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임을 새롭게 인지시킴. 즉, 기존의 아파트를 내 가치를 올리는 곳에서 내 가족이 사랑을 느끼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곳으로 표현함.
→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시의 핵 가족화가 보편화 되어 가족 구성원 수가 극히 적은 상태에서 부부는 맞벌이로, 아이는 공부로 인해 바쁘고 이로 인해 가족의 유대 관계가 상당히 약화 되었다고 판단하여 The # 을 가족이 모두 모여 사랑을 느끼고 그 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 하고자 함.
2. 광고 목표의 대상
- 결혼 후 아이를 낳고 새 집으로 옮기고자 하는 30~40대 부부.
3. 광고 컨셉
- 가족 구성원간의 사랑과 그 안에서 느껴지는 행복.
→ 서로 바쁜 일상 속에서 The # 이란 공간만은 가족이 함께 웃으며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곳. 또한 그 행복으로 인해 다시 Refresh 될 수 있는 곳.
Ⅴ. The # 광고 목표의 달성 방안
1. The # 고유의 브랜드 강조 방안
- 포스코, 포스코 건설 문구 삭제
→ 포스코 문구의 삭제를 통해 브랜드 연상 경로를 ‘The #\'으로 단일화, 집중
2. The #로고의 시각화 효과 유발
- The # 안에서 가족간의 사랑이 피어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연상력 강화
(가족의 웃음과 사랑을 가져다주는 The # 이다.)
- ‘#’ 로고를 사람의 웃는 얼굴로 시각화 시킴으로서 행복한 이미지를 제공.
- 마지막 장명에서 명암차를 통해 The #의 브랜드 로고가 돋보이도록 부각.
3. 카피에 각운을 부여
- 유사한 운율의 반복적인 카피를 통하여 ‘The #’이란 공간 안에서 행복한 가족의 모습을 표현.
“the #으로 왔습니다.”
“내 아이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아내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가족의 웃음이 높아졌습니다.”
“내 가족의 웃음 the # \"
4. ‘The #’은 행복한 가족의 공간이라는 의미 강화 방안
- 광고속 등장인물인 엄마, 아빠, 딸의 삶속에서 ‘The #’ 으로 인해 한 단계 업그 레이드되는 모습을 경박하거나 유치하지 않게 시각적으로, 의미적으로 표현.
- 엄마의 공간인 주방이 행복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 딸의 방이 행복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의미.
5. ‘가족의 행복’ 차별적 표현방안
- 각각의 가족 구성원(아빠, 엄마, 딸)들을 주인공으로 제작
-‘The #’ 속에서 행복한 가족의 모습을 강조
-아파트로 이사 오는 장면부터 시작하여 기능적인 차별화 강조보다는 인간의 본원 적인 소망의 모습인 ‘나와 가족의 행복’을 부각시키는 감성소구 이용
-‘나’의 가족을 강조
가족의 행복을 강조하면서 ‘내’ 삶과 ‘나’의 가족이 웃을 수 있는 공간임을 강조.
[The # TV 광고 기획서 _ 판매촉진론 5조]
키워드
추천자료
[마케팅조사론]㈜포스코건설 주상복합“The # 스타시티” 마케팅성공사례 분석 (A+리포트)
영어) 동화 분석 레포트 '금지된 것에 대한 욕망' the desire for forbidden thing
몬테소리(Montessori)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접근법(The Project Approach)을 비교 분석하시오
미국소설 '허클베리핀(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시대적배경,작품 분석
영화 이터널 선샤인(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기호들 분석
[영화감상문] 자전거 도둑 (Ladri Di Biciclette/The Bicycle Thief) (최신A+) [자전거도둑분...
(A+) 월트 디즈니(The Walt Disney Company)사의 성공 사례 분석
영성(2) - 영화 『엑소시스트(The Exorcist)』의 뉴에이지 경향 분석과 평가
코카서스의 백묵원 (The Caucasian Chalk Circle) 분석
[영화 분석, 감상문]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
‘투스카니의 태양(Under The Tuscan Sun)’ 분석 - 투스카니의 태양아래 (등장인물, 상징적 의미)
[영화분석] To GO or not To GO...that's the problem - 유키사다 이사오 (行定勲)...
페닌슐라 호텔, The Peninsular Hotel - 페닌슐라 ( 호텔소개, 위치, 호텔현황, 등급, 특징, ...
[영화의 이해] 『피아노 (The Piano) 1993』 기호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