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8068541
3조-2차
0.5007g
34.8㎖
0.1188M
0.1100194
< ⅱ. 0.1189M HCL과 메틸오렌지를 이용한 적정 3조-3차
0.5065g
34.9㎖
0.1198M
1.1797251
3조-4차
0.5044g
35㎖
0.1190M
0.3111626
3조-5차
0.5037g
35㎖
0.1188M
0.1399589
3조-6차
0.5021g
35㎖
0.1184M
0.2513636
3조-7차
0.5010g
34.9㎖
0.1185M
0.1693008
3조-8차
0.5036g
35㎖
0.1188M
0.1155013
평균
0.118665004
표준편차
0.000964338
>
∴ G표의 값은 2.4978이다.
3조-1차 적정에서 G계산 값 = 3.80685418 ⇒ G계산 > G표
따라서 3조-1차 적정은 버려도 되는 값이 된다.
버린 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0.118880951
표준편차
0.000310183
< ⅲ. 0.11183M HCL과 메틸오렌지를 이용한 적정 >
차수
트리스 질량
HCL 부피
몰농도
G값
2조-1차
0.5060g
39.25㎖
0.1064M
1.196941
2조-2차
0.5045g
38.9㎖
0.1071M
0.353924
2조-3차
0.5068g
39㎖
0.1073M
0.073904
2조-4차
0.5082g
39.2㎖
0.1070M
0.406901
2조-5차
0.5024g
38.6㎖
0.1074M
0.151159
2조-6차
0.5056g
38.6㎖
0.1081M
1.053724
2조-7차
0.5042g
39㎖
0.1067M
0.799717
2조-8차
0.5086g
39.05㎖
0.1075M
0.330429
2조-9차
0.5006g
38.5㎖
0.1073M
0.010206
2조-10차
0.5086g
39㎖
0.1077M
0.428582
4조-1차
0.5073g
39.1㎖
0.1071M
0.296517
4조-2차
0.5017g
39.4㎖
0.1051M
2.919482
4조-3차
0.5033g
38.7㎖
0.1074M
0.038192
4조-4차
0.5018g
38㎖
0.1099M
2.216668
4조-5차
0.5030g
38.7㎖
0.1073M
0.046205
4조-6차
0.5006g
38.4㎖
0.1076M
0.378857
4조-7차
0.5038g
38.5㎖
0.1080M
0.915116
4조-8차
0.5033g
38.5㎖
0.1079M
0.773724
4조-9차
0.5048g
38.8㎖
0.1094M
0.094167
4조-10차
0.5060g
39㎖
0.1193M
0.297231
평균
0.107327555
표준편차
0.000758222
∴ G표의 값은 2.557이다.
4조-2차 적정에서 G계산 값 = 2.919482⇒ G계산 > G표
따라서 4조-2차 적정은 버려도 되는 값이 된다.
버린 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0.107444061
표준편차
0.000565937
ⅰ번 실험과 ⅱ번 지시약에 따른 실험결과 비교
( S1 = 메틸오렌지 실험, S2 = 브로모크레솔 그린 실험 )
S1 자유도 = 18, S2 자유도 = 7 ⇒ F표=3.90
∴ F계산 < F표이므로 유의하지 않다.
자유도 = 31 ⇒ 신뢰도95%에서 T표값= 2.040
∴ T표 > T계산이므로 유의하지 않다.
ⅱ 실험과 ⅲ 실험 HCl 몰농도에 따른 결과 비교
(S1 = 0.M HCl 실험, S2 = 0.1189M HCl 실험)
S1 자유도 = 20, S2 자유도 = 18 ⇒ F표=2.24
∴ F계산 > F표가 되어서 유의하다.
자유도 = 29(가장 가까운 정수) ⇒ 신뢰도95%에서 T표 값은 2.045
∴ T계산 > T표 이므로 유의하다.
3조-2차
0.5007g
34.8㎖
0.1188M
0.1100194
< ⅱ. 0.1189M HCL과 메틸오렌지를 이용한 적정 3조-3차
0.5065g
34.9㎖
0.1198M
1.1797251
3조-4차
0.5044g
35㎖
0.1190M
0.3111626
3조-5차
0.5037g
35㎖
0.1188M
0.1399589
3조-6차
0.5021g
35㎖
0.1184M
0.2513636
3조-7차
0.5010g
34.9㎖
0.1185M
0.1693008
3조-8차
0.5036g
35㎖
0.1188M
0.1155013
평균
0.118665004
표준편차
0.000964338
>
∴ G표의 값은 2.4978이다.
3조-1차 적정에서 G계산 값 = 3.80685418 ⇒ G계산 > G표
따라서 3조-1차 적정은 버려도 되는 값이 된다.
버린 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0.118880951
표준편차
0.000310183
< ⅲ. 0.11183M HCL과 메틸오렌지를 이용한 적정 >
차수
트리스 질량
HCL 부피
몰농도
G값
2조-1차
0.5060g
39.25㎖
0.1064M
1.196941
2조-2차
0.5045g
38.9㎖
0.1071M
0.353924
2조-3차
0.5068g
39㎖
0.1073M
0.073904
2조-4차
0.5082g
39.2㎖
0.1070M
0.406901
2조-5차
0.5024g
38.6㎖
0.1074M
0.151159
2조-6차
0.5056g
38.6㎖
0.1081M
1.053724
2조-7차
0.5042g
39㎖
0.1067M
0.799717
2조-8차
0.5086g
39.05㎖
0.1075M
0.330429
2조-9차
0.5006g
38.5㎖
0.1073M
0.010206
2조-10차
0.5086g
39㎖
0.1077M
0.428582
4조-1차
0.5073g
39.1㎖
0.1071M
0.296517
4조-2차
0.5017g
39.4㎖
0.1051M
2.919482
4조-3차
0.5033g
38.7㎖
0.1074M
0.038192
4조-4차
0.5018g
38㎖
0.1099M
2.216668
4조-5차
0.5030g
38.7㎖
0.1073M
0.046205
4조-6차
0.5006g
38.4㎖
0.1076M
0.378857
4조-7차
0.5038g
38.5㎖
0.1080M
0.915116
4조-8차
0.5033g
38.5㎖
0.1079M
0.773724
4조-9차
0.5048g
38.8㎖
0.1094M
0.094167
4조-10차
0.5060g
39㎖
0.1193M
0.297231
평균
0.107327555
표준편차
0.000758222
∴ G표의 값은 2.557이다.
4조-2차 적정에서 G계산 값 = 2.919482⇒ G계산 > G표
따라서 4조-2차 적정은 버려도 되는 값이 된다.
버린 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0.107444061
표준편차
0.000565937
ⅰ번 실험과 ⅱ번 지시약에 따른 실험결과 비교
( S1 = 메틸오렌지 실험, S2 = 브로모크레솔 그린 실험 )
S1 자유도 = 18, S2 자유도 = 7 ⇒ F표=3.90
∴ F계산 < F표이므로 유의하지 않다.
자유도 = 31 ⇒ 신뢰도95%에서 T표값= 2.040
∴ T표 > T계산이므로 유의하지 않다.
ⅱ 실험과 ⅲ 실험 HCl 몰농도에 따른 결과 비교
(S1 = 0.M HCl 실험, S2 = 0.1189M HCl 실험)
S1 자유도 = 20, S2 자유도 = 18 ⇒ F표=2.24
∴ F계산 > F표가 되어서 유의하다.
자유도 = 29(가장 가까운 정수) ⇒ 신뢰도95%에서 T표 값은 2.045
∴ T계산 > T표 이므로 유의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3.물상 산과 염기의반응(1)
[과외]3.물상 산과 염기의반응(2)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2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3
[과외]중학 과학 중3-5 산과 염기의 반응 05
Mesuring pH of Acid & Base by pH meter(pH 미터를 이용한 산 염기의 pH 측정)
(예비+결과) 엔탈피 측정 - 목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
[화학실험] 아미노산의 적정
[일반화학 실험] 09- 재결정 : 산·염기의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하...
일반화학실험 - 산 및 알칼리 표준용액의 조제 및 적정
바이오 디젤의 정의,바이오 디젤 장점 단점,촉매의 종류-염기촉매,산 촉매 ppt
[일반화학실험] 용액의 산도 (acidity, pH)측정법 및 완충계 (buffer system) : 생물체액의 ...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 :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알고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식품화학실험】 02 - 산도 알칼리도 측정 (과제 산도,알칼리도 측정법, Factor, 몰농동, 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