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부모양육행동 - 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양육행동의 이해 (양육행동의 정의,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교육] 부모양육행동 - 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양육행동의 이해 (양육행동의 정의,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양육행동의 정의
 1)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양육행동
  (1)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2)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3)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4)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2)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
  (1) 쉐퍼의 양육행동 유형
  (2) 바움민드의 양육행동 유형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1) 언어사회화 이론
 2) 번스타인의 어법
  (1) 정교한 어법
  (2) 제한된 어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격적 행동과 수줍어하는 행동을 번갈아 함
목적이 없음
③ 허용적 양육행동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
자녀의 발달특성
규칙이 강요되지 않음
규칙이 분명히 의사소통 되지 않음
자녀의 울음, 떼씀, 강압에 순응함
일관되지 않은 훈육태도 보임
성숙된 행동에 대한 요구나 기대가 거의없음
잘못된 행동을 간과하거나 허용함
그저 그런 정도의 온유함을 보임
절제되지 않은 충동과 욕구 표현을 수용함
충동적-공격적임
어른에게 반항적이고 불순종함
낮은 자기의존적
낮은 성취지향
자기 통제 결여
공격적
쉽게 화냈다가 금방 좋아지는 등 기분변화의 폭이 큼
충동적
목적이 없거나 목표 수준을 낮게 잡고 행동함
지배적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1) 언어사회화 이론
언어사회화란 하위문화의 독특한 사회관계 유형이 언어를 매개로 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동의 실제 경험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말한다. 사회화 과정에서 언어의 역할과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언어사회와 이론은 언어와 사고 간에는 관계가 있다는 사피어-워프(Sapia-Whorf)의 가설과 아동의 사회화는 부모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미드(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기본가정에 나온 것이다. 양육행동은 언어를 통해 전달되므로 양육행동에서 부모의 언어통제 형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번스타인(Bernstein)은 언어사회화 이론을 기초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을 구분하였다.
2) 번스타인의 어법
(1) 정교한 어법
정교한 어법은 말을 할 때 광범위한 구문에서 언어를 선택하여 정확한 문법적 어순과 구문을 사용하는 어법을 말한다. 정교한 어법은 문장 구성의 선택 범위가 넓고, 의사를 분명히 표현하기 위하여 형용사나 부사를 많이 사용하며 인과관계를 논리적이며 정연하게 기술하기 때문에 언어의 내용이 명백히 표현되어 이해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2) 제한된 어법
제한된 어법은 문장의 형태 짧고 단순하며 문법적으로 불안하고, 언급하려는 주제를 문장 안에서 명백히 표현하지 못하는 어법을 말한다. 명백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어법을 말하며 문장길이도 짧고 문법적으로 간단 솔직하며 명백하게 자기의도를 표현하지 못하므로 예견하기 어려점이 있다.
참고문헌
김수희, 최윤정 저, 부모교육, 공동체 2014
고정곤, 김소영 외 저, 부모교육, 양서원 2014
홍연애, 김지영 외 저 부모교육, 파워북 2014
안영진 저, 부모교육, 나눔 2014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8.08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2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