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착화되었을 때의 압력방출, 압력상승속도 및 구조물 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한 체적의 연료-공기 혼합기가 구획실내에 들어있을 때와는 확연히 다를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용기의 용량이 작을수록 주어진 연료-공기 혼합기에 대한 압력상승속도는 더 높아질 것이고 폭발은 더욱 격렬해지게 될 것이다.
2) 폭발하는 동안 저장용기 내부의 막힘으로 발생된 난류는 손상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난류는 폭발압력 파를 집중시키거나 반사할 수 있는 기둥, 지주, 기계류 또는 벽, 칸막이 등과 같은 단단한 장애물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5. 착화원의 위치와 크기
1) 착화원이 밀폐된 구조물의 중앙에 있을 때 가장 높은 압력상승속도가 발생할 것이다.
2) 착화원이 밀폐된 용기나 구조물의 벽에 가까울수록 화염 전면은 더 빨리 벽에 도달하며, 벽의 열전도에 의해서 더 빨리 벽에 도달을 하며, 벽의 열전도에 의해서 더 빨리 냉각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가 손실이 되고압력상승속도는 상대적으로 더 느려지며, 폭발의 격렬함은 줄어들게 된다.
3) 착화원의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폭발과정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지만, 비이상적으로 큰 폭발뇌관, 폭발장치 등의 착화원은 현저히 압력의 상승속도를 증가를 시키며, 어떤 순간에는 갑자기 폭연이 폭굉으로 전이를 일으킨다.
6. 벤팅
1) 폭발연료인 가스, 증기 또는 분진 등과 함께 저장용기의 벤팅은 폭발의 손상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양끝이 개방되어 있을지라도 강철 배관의 길이가 충분히 길면 그것의 중심부에서 파열시키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그 실이 완전히 파괴될 것인지, 아니면 단지 벽과 천장이 약간 움직일 정도일지는 그 실에 있는 문과 창의 수, 크기,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2) 밀폐된 용기 또는 구조물의 벤팅은 용기 또는 구조물의 외부를 손상시킬 수 있고, 벤팅 경로에서 대부분의 손상이 예상이 된다. 예컨대 실내의 폭발압력파는 출입구를 통해서 이동을 하면서 인접한 실의 출입구에 있는 물질을 손상시킨다.
3) 고성능폭약의 폭굉에서 벤팅으로 폭발압력을 방출하기에는 폭발의 압력파면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벤팅효과가 적다
7.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2) 폭발하는 동안 저장용기 내부의 막힘으로 발생된 난류는 손상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난류는 폭발압력 파를 집중시키거나 반사할 수 있는 기둥, 지주, 기계류 또는 벽, 칸막이 등과 같은 단단한 장애물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5. 착화원의 위치와 크기
1) 착화원이 밀폐된 구조물의 중앙에 있을 때 가장 높은 압력상승속도가 발생할 것이다.
2) 착화원이 밀폐된 용기나 구조물의 벽에 가까울수록 화염 전면은 더 빨리 벽에 도달하며, 벽의 열전도에 의해서 더 빨리 벽에 도달을 하며, 벽의 열전도에 의해서 더 빨리 냉각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가 손실이 되고압력상승속도는 상대적으로 더 느려지며, 폭발의 격렬함은 줄어들게 된다.
3) 착화원의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폭발과정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지만, 비이상적으로 큰 폭발뇌관, 폭발장치 등의 착화원은 현저히 압력의 상승속도를 증가를 시키며, 어떤 순간에는 갑자기 폭연이 폭굉으로 전이를 일으킨다.
6. 벤팅
1) 폭발연료인 가스, 증기 또는 분진 등과 함께 저장용기의 벤팅은 폭발의 손상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양끝이 개방되어 있을지라도 강철 배관의 길이가 충분히 길면 그것의 중심부에서 파열시키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그 실이 완전히 파괴될 것인지, 아니면 단지 벽과 천장이 약간 움직일 정도일지는 그 실에 있는 문과 창의 수, 크기,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2) 밀폐된 용기 또는 구조물의 벤팅은 용기 또는 구조물의 외부를 손상시킬 수 있고, 벤팅 경로에서 대부분의 손상이 예상이 된다. 예컨대 실내의 폭발압력파는 출입구를 통해서 이동을 하면서 인접한 실의 출입구에 있는 물질을 손상시킨다.
3) 고성능폭약의 폭굉에서 벤팅으로 폭발압력을 방출하기에는 폭발의 압력파면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벤팅효과가 적다
7.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