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2. 간호진단
본문내용
다.
3. 주사부위을 비비거나 긁는 행동은 막는다.
⇒ 주사부위와 반창고를 붙였던 자리가 가려우면 긁기보다는 찬 물수건으로 닦는 것을 권장하였다.
<평가>
종이반창고로 바꾸고 나서 환자는 가려움증을 덜 호소하였다. 주사부위와 반창고를 붙였던 자리에 발적이나 부종의 징후가 없었다. 종이반창고의 단점은 잘 떨어지는 것이므로 자주 사정하여 정맥주입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3.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사정자료>
(1) S: \"3일 동안 변을 못봤어요.\"
\"변기에 앉아도 대변이 하나도 안 나온다\"
(2) O: - 화장실에 계속 왔다 갔다 하심
- Chart의 간호일지에 입원당일과 그 다음날까지 대변을 보시 못했다고 적혀있음.
- 환자에게 물어본 결과 입원 전날도 변을 보시 못했다고 하셨음.
- 복부를 촉진해보니 하복부가 단단한 것이 만져짐
- 현재 환자분은 GD(general diet)를 드시는데 4월 3일~6일까지 환자를 관찰한 결과 밥과 국과 반찬을 모두 잘 드셨음. 식이로 인한 변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목표>
(1) 장기목표 : 변비예방 운동을 통해서 약에 의존하지 않고 변비를 해결할 수 있다.
(2) 단기목표 : 1. 환자 매일 스스로 변비예방 운동을 한다.
2. 환자는 3일 이내에 평소에 자신이 보는 양만큼의 대변을 볼 수 있다.
3. 3일 이내에 변비를 해결하여 변비로 인한 복통을 없앤다.
<간호계획>
1. 환자와의 신뢰적 관계를 형성한다.
2. 평소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3. 변비를 예방해야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4. 하루에 30분씩 변비예방운동을 한다.
5. 하루에 5컵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간호수행>
1. 환자와의 신뢰적 관계를 형성한다.
- 환자와 자주 접촉하여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환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2. 평소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 배변을 하는 시간, 양, 배변의 상태 등에 대해서 환자에게 질문을 한다.
- 배변을 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에 대해서 알아본다.
3. 변비의 정의와 예방해야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 의학적으로는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이거나 하루 배변량이 30g 이하일 때를 변비라고 한다. 그러나 3~4일에 한 번 변을 보는 사람이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굳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매일 변을 보면서도 과도한 힘이 필요하거나 불쾌감에 시달린다면 변비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운동이 부족해지면 근육은 약해지고 긴장을 잃는다. 장의 연동 운동도 활발하지 못하여 변비를 일으키게 된다.
- 대변의 70%는 수분이다. 무조건 물을 먹는다고 변비가 개선되지는 않지만, 물이 부족하면 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거꾸로 장에 흡수된다.
4. 하루에 30분씩 변비예방운동을 한다.
- 붕어운동을 가르쳐준다.
-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병실과 복도를 10분정도 걸어 다니는 것이 변비예방에 좋다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5. 하루에 5컵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평가>
환자는 보호자와 함께 복도를 걸어 다니면서 운동을 하셨고, 침상에 있을 때는 스스로 붕어운동을 하셨다. 입원 3일째 변을 보셨고, 그 뒤에도 계속적으로 관찰해보니 하루에 한번씩 규칙적으로 배변을 보셨다.
Ⅳ. 결론
▶ 사례요약
김OO님은 내원 2일전 u-HCG(자가검사)에서 positive check되어 내원 1일전 local 경유 후 R/O ectopic pregnancy Dx받고 Tx하려 했으나 EKG상 MI보여 큰 병원 권유받고 ER통해 adm하였다. 본원에 입원하여 EKG와 Echo를 찍었으나 모두 normal이었다. 3월 31알 초음파 검사에서 몸 뒤쪽에 18.3 × 16.3 ㎜ 크기의 m1, 15.8 × 17.1 ㎜크기의 m2 있었고, 오른쪽에 10.8 × 10.4 ㎜ 크기의 포낭이 있는 덩어리가 보였다. ectopic pregnancy(난관임신)으로 진단받고, MTX를 사용하여 자연흡수 되도록 유도하였다. 4월 6일 다시 초음파 검사한 결과 크기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자궁경부쪽에 또다른 덩어리가 보여서 4월 6일 D&C&B를 시행하였다. B-HCG수치는 입원 전 local에서 검사한 결과는 2월 28일에는 2964, 29일에는 6700 이었다. 4520.6(3월 31일) ⇒ 5479.6(4월 2일) ⇒ 10519.4(4월 6일)로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틀 뒤에 다시 CBC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하여 치료의 계획을 세울 것이다.
▶ 연구소감
인계시간에 ectopic pregnancy라는 진단명을 듣고 이 사례에 대해서 연구를 하면 참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자의 chart와 kardex의 내용을 비교해가면서 현재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담당간호사 선생님께서 rounding을 할 때 따라다니면서 질문을 하면서, 환자에 대해서 궁금한 사항들을 해결하였다. 또한 의사선생님께서 회진을 할 때 시간에 맞춰서 환자의 곁에 가 있다가 질병의 경과와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한 사항들을 들을 수 있었다.
자주 환자분 곁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로 인해서 chart나 kardex에는 없는 내용들을 알 수 있었다. 환자분은 결혼을 하고 나서 두 번이나 유산을 하였고, 이번에도 유산을 하면 아마도 아이를 낳지 못할 것 같다면서 많이 불안해하셨다. 그래서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드렸다.
또한 의사선생님께서 회진을 하고 난 뒤에 무슨 말인지 몰라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셔서 자세히 설명해드렸더니 참 고맙다고, 이렇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줬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그것을 보니 환자의 눈높이에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환자분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듯이, 환자분도 나로 인해서 자신에 대해서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3),여성건강 간호학 Ⅱ,수문사
- 여성건강간호학(하), 이경혜 외 10명(1998년), 현문사, 1031p-1034p
- 웹페이지 : 이화산부인과 홈페이지, 중앙일보 헬쓰케어
3. 주사부위을 비비거나 긁는 행동은 막는다.
⇒ 주사부위와 반창고를 붙였던 자리가 가려우면 긁기보다는 찬 물수건으로 닦는 것을 권장하였다.
<평가>
종이반창고로 바꾸고 나서 환자는 가려움증을 덜 호소하였다. 주사부위와 반창고를 붙였던 자리에 발적이나 부종의 징후가 없었다. 종이반창고의 단점은 잘 떨어지는 것이므로 자주 사정하여 정맥주입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3.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사정자료>
(1) S: \"3일 동안 변을 못봤어요.\"
\"변기에 앉아도 대변이 하나도 안 나온다\"
(2) O: - 화장실에 계속 왔다 갔다 하심
- Chart의 간호일지에 입원당일과 그 다음날까지 대변을 보시 못했다고 적혀있음.
- 환자에게 물어본 결과 입원 전날도 변을 보시 못했다고 하셨음.
- 복부를 촉진해보니 하복부가 단단한 것이 만져짐
- 현재 환자분은 GD(general diet)를 드시는데 4월 3일~6일까지 환자를 관찰한 결과 밥과 국과 반찬을 모두 잘 드셨음. 식이로 인한 변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목표>
(1) 장기목표 : 변비예방 운동을 통해서 약에 의존하지 않고 변비를 해결할 수 있다.
(2) 단기목표 : 1. 환자 매일 스스로 변비예방 운동을 한다.
2. 환자는 3일 이내에 평소에 자신이 보는 양만큼의 대변을 볼 수 있다.
3. 3일 이내에 변비를 해결하여 변비로 인한 복통을 없앤다.
<간호계획>
1. 환자와의 신뢰적 관계를 형성한다.
2. 평소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3. 변비를 예방해야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4. 하루에 30분씩 변비예방운동을 한다.
5. 하루에 5컵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간호수행>
1. 환자와의 신뢰적 관계를 형성한다.
- 환자와 자주 접촉하여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환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2. 평소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한다.
- 배변을 하는 시간, 양, 배변의 상태 등에 대해서 환자에게 질문을 한다.
- 배변을 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에 대해서 알아본다.
3. 변비의 정의와 예방해야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 의학적으로는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이거나 하루 배변량이 30g 이하일 때를 변비라고 한다. 그러나 3~4일에 한 번 변을 보는 사람이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굳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매일 변을 보면서도 과도한 힘이 필요하거나 불쾌감에 시달린다면 변비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운동이 부족해지면 근육은 약해지고 긴장을 잃는다. 장의 연동 운동도 활발하지 못하여 변비를 일으키게 된다.
- 대변의 70%는 수분이다. 무조건 물을 먹는다고 변비가 개선되지는 않지만, 물이 부족하면 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거꾸로 장에 흡수된다.
4. 하루에 30분씩 변비예방운동을 한다.
- 붕어운동을 가르쳐준다.
-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병실과 복도를 10분정도 걸어 다니는 것이 변비예방에 좋다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5. 하루에 5컵 이상의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평가>
환자는 보호자와 함께 복도를 걸어 다니면서 운동을 하셨고, 침상에 있을 때는 스스로 붕어운동을 하셨다. 입원 3일째 변을 보셨고, 그 뒤에도 계속적으로 관찰해보니 하루에 한번씩 규칙적으로 배변을 보셨다.
Ⅳ. 결론
▶ 사례요약
김OO님은 내원 2일전 u-HCG(자가검사)에서 positive check되어 내원 1일전 local 경유 후 R/O ectopic pregnancy Dx받고 Tx하려 했으나 EKG상 MI보여 큰 병원 권유받고 ER통해 adm하였다. 본원에 입원하여 EKG와 Echo를 찍었으나 모두 normal이었다. 3월 31알 초음파 검사에서 몸 뒤쪽에 18.3 × 16.3 ㎜ 크기의 m1, 15.8 × 17.1 ㎜크기의 m2 있었고, 오른쪽에 10.8 × 10.4 ㎜ 크기의 포낭이 있는 덩어리가 보였다. ectopic pregnancy(난관임신)으로 진단받고, MTX를 사용하여 자연흡수 되도록 유도하였다. 4월 6일 다시 초음파 검사한 결과 크기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자궁경부쪽에 또다른 덩어리가 보여서 4월 6일 D&C&B를 시행하였다. B-HCG수치는 입원 전 local에서 검사한 결과는 2월 28일에는 2964, 29일에는 6700 이었다. 4520.6(3월 31일) ⇒ 5479.6(4월 2일) ⇒ 10519.4(4월 6일)로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틀 뒤에 다시 CBC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하여 치료의 계획을 세울 것이다.
▶ 연구소감
인계시간에 ectopic pregnancy라는 진단명을 듣고 이 사례에 대해서 연구를 하면 참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환자의 chart와 kardex의 내용을 비교해가면서 현재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담당간호사 선생님께서 rounding을 할 때 따라다니면서 질문을 하면서, 환자에 대해서 궁금한 사항들을 해결하였다. 또한 의사선생님께서 회진을 할 때 시간에 맞춰서 환자의 곁에 가 있다가 질병의 경과와 앞으로의 치료방향에 대한 사항들을 들을 수 있었다.
자주 환자분 곁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로 인해서 chart나 kardex에는 없는 내용들을 알 수 있었다. 환자분은 결혼을 하고 나서 두 번이나 유산을 하였고, 이번에도 유산을 하면 아마도 아이를 낳지 못할 것 같다면서 많이 불안해하셨다. 그래서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드렸다.
또한 의사선생님께서 회진을 하고 난 뒤에 무슨 말인지 몰라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셔서 자세히 설명해드렸더니 참 고맙다고, 이렇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줬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그것을 보니 환자의 눈높이에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환자분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듯이, 환자분도 나로 인해서 자신에 대해서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참고문헌 ♡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3),여성건강 간호학 Ⅱ,수문사
- 여성건강간호학(하), 이경혜 외 10명(1998년), 현문사, 1031p-1034p
- 웹페이지 : 이화산부인과 홈페이지, 중앙일보 헬쓰케어
키워드
추천자료
케이스스터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미혼모][미혼모발생][미혼모정책][미혼모복지][여성복지][여성정책][여성문제]미혼모에 대한...
[생명공학] 줄기세포(개념,정의,종류,특징)와 줄기세포 연구의 필요성
자궁근종
청소년 미성년자 미혼모(발생원인, 영향, 현황및욕구조사, 미혼모 사례, 복지정책, 외국의 복...
일과 가정(가족) 양립 제도 유형, 현황 실태 및 한국, 외국 사례
성, 사랑, 사회) 참고도서가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나의 삶을 함께 참고, 우리 사회에서...
[가족복지론] 미혼모 가족의 문제 (미혼모의 개념, 현황 및 실태, 미혼모의 원인, 미혼모 가...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와 놀이,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적 놀...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생명윤리학, 생명윤리학의 개념, 생명윤리학이 다루는 주제들, 장기이식, 생명 윤리학의 역사...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자궁근종 케이스,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간호과정, 자궁...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CASE STUDY, 자궁근종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