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력의 구성과 활동양상 [나말여초 시대상황, 신라하대 혼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세력의 구성과 활동양상 [나말여초 시대상황, 신라하대 혼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나말여초의 시대상황
 (1) 신라하대의 혼란
 (2) ‘호족’의 용어검토
  ① ‘호족’이전에 사용된 용어
  ② ‘호족’의 사용
  ③ ‘호족’사용의 문제점

Ⅲ. 지방세력의 구성 및 활동양상
 (1) 무장세력
  ① 중앙출신인
  ② 지방토착세력
  ③ 적도세력
 (2) 부인세력
  ① 지주적 성격의 지방부인
  ② 상인적 성격의 지방부인
 (3) 지방세력의 결성
  ① 지방군관세력과 지방부인과의 결합
  ② 무인세력과 해상활동을 통한 부인세력과의 결합
  ③ 무인세력과 내륙 부인세력과의 결합
  ④ 적도세력과 지방경제력의 결합

Ⅳ. 맺음말

본문내용

康忠에 와서 해안지역으로 진출하여 해상부인과 결합하면서 크게 세력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왕건의 선계가 원래 내지의 무인세력이라면, 그 지역 부근의 軍陣勢力으로 있었던 浿江鎭과의 연고를 추정해 볼 여지도 있다. 후에 왕건 대에 이르러서 왕건의 祖母인 龍女가 ‘平山 豆人 角干의 딸’로도 표현되고 있다든지 이 후 왕건 대에도 평산지역의 武將勢力과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는 등, 그의 가계는 패강진 세력과 상당이 밀접한 친련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추정된다. 즉, 왕건 가문의 성장과정은 무인세력과 예성강 하구 해안지역 일대 해상세력을 이룬 부인들이 결합하여 성장해 간 전형을 보여주는 예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상세력과 결합한 地方勢力의 성격을 살펴보면 첫째, 이들은 地域的 제한성이 없이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세력을 떨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이들 해상부인들이 가지는 개방성과 신문화에 대한 적응성은 변화하는 국내의 정치현실에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적응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그러나 이들 해상세력은 순수한 海上勢力으로서 그들의 經濟力이 미치는 범위가 주로 海岸線을 끼고 교통이 가능한 지역이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③ 무인세력과 내륙 부인세력의 결합
무인들이 찾고 결합하게 되는 경제력의 대상은 지주적 성격의 부인이나 내륙상업 활동을 통하여 성장한 부인도 있을 수 있다. 《高麗史》高麗世系의 기록에 왕건 선계의 초대조인 호경은 백두산으로부터 遊歷해온 무인으로 松嶽지방지역에서 안착하면서 그 지역 부인세력과 결합하여 지방세력으로 등장해 간 과정을 잘 전해주고 있다.
이름이 虎景이란 者가 있었는데 스스로 聖骨將軍이라 불렀다. 白頭山에서부터 遊歷해 오다 扶蘇山 左谷에 이르러 妻를 얻었는데 집안은 富裕했으나 아들이 없었다. 활쏘기를 잘하여 사냥하는 것으로 일을 삼았다.
이 자료에서는 虎景을 활쏘기를 잘했다거나 사냥을 업으로 삼았다는 것 등은 그를 무인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행적은 출신이 불명하게 되어 있고 扶蘇山 左谷에 이르러 安着했다고 묘사되었다. 그곳에서 장가들어 집안이 부유했으므로 호경의 경제적 토대가 전혀 없는 조건에서 볼 때 혼인한 대상은 扶蘇山 左谷의 富人之女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이 내지의 부인세력과 연결된 무인세력의 경우, 무인들은 비교적 토착성이 취약한 반면 부인의 경우는 토착성이 비교적 강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조건에서 성립되는 지배권력은 비교적 무력적인 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다 강력한 세력이 등장하면, 이들 지배권력을 형성한 군장들은 대개 그에 귀속하여 그 조직 속에서 보다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간 것 같다.
④ 적도세력과 지방경제력의 결합
나말여초기 특히 진성여왕 이후의 地方勢力으로 진출한 ‘賊徒’는 약탈적인 성격에 그치는 도적이 아니라 정치적 성격을 포함하여 정치적 집단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는 조직력을 가지는 성격의 집단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몰락농민층으로 구성된 단순한 도적떼들로서 갑작스럽게 군사적 조직력이라든가 정치적 집단을 구성해 간다는 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들이 地方政治集團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조직력과 군사적 지도력이 뛰어난 지도자가 있어서 이를 조직적으로 잘 정비할 수 있었을 때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조직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 지역을 거점으로 안착하여 지속적인 세력근거가 될 토착적인 뿌리를 갖는 것과 이 조직력을 유지하고 강화해나가기 위한 경제적 기반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이들 적도 출신의 지방세력의 두드러진 특징은 그 지배력이 미치는 지배영역의 범위가 가장 넓고 강대하다는 점이다. 甄萱의 경우 금주 지역에 마지막으로 거주하게 되었을 때 견훤이 장악한 지역은 광주에서 금주에 걸치는 지역뿐만 아니라 광주지역 동남부 지역 일대에 미치는 광범위한 지역이었던 것 같다. 또 철원지역에 머무른 弓裔의 경우(895) 鐵圓 주위 川 金化 金城등의 지역에서 새로 편입되어 온 예성강 하구 및 황해도 중북부 지역 일대를 장악하고 곧 뒤이어 金浦 江 일대를 정부 장악하여 주위 약 三十餘城에 걸치는 영역에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897) 다음의 특징은 강한 이동성을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동성이라고 하면 곧 토착성이 없다는 뜻이다. 이들은 원래 촌락공동체에서 유리되어 나온 존재들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토착성을 갖지를 못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기존의 촌락공동체에서 몰락한 농민출신이라는 성격이 강하므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사회경제적 구조에 대한 강한 적개심과 부인의 경향이 가장 강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그만큼 신라사회를 무너뜨리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그들의 역사적 기능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Ⅳ. 맺음말
지금까지 나말여초에 등장하는 지방세력의 구성과 활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 지방세력은 군사적 성격의 무장세력집단과, 자신이 오랜 기간 머물러온 지방에서 토착세력으로 성장하여 상당한 경제적 지배권을 행사하던 부민집단이, 결합하여 탄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합은 ‘경제적 안정’과 ‘주변의 위협에서의 탈피’라는 필요에 의해서 탄생하게 되었으며 그들 세력이 가지는 성격에 따라 결합양태나 성격이 달랐다. 또 사회변동 상에서의 역할과 기능에 있어서 저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이들은 강력한 군사적 성격을 갖는 지방세력으로 성장했으며 당시 신라사회의 사회의 구조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이들은 강력한 파괴력으로 기존의 구조를 타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나말여초의 변동기를 주도해나가는 세력이 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주성, 1983「신라하대의 지방관사와 촌주」『한국사연구』41
정청주, 1996「호족의 대두」『신라말 고려초 호족연구』
빈중승, 1990「신라말기 고려초기의 성주 장군에 대하여」『벽사이우성정년기념논총』
윤경진, 2001「나말려초 성주의 존재양태와 고려의 대성주정책」『역사와현실』
이순근, 1989「나말여초 지방세력의 구성형태에 관한 일연구」『한국사연구』67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4.08.24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