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생겨서 직접 화염접촉으로 화재가 확대가 된다.
2) 원격발화에 의한 화재확산
(1) 천장 및 벽을 통한 전도열로 인해서 원격발화할 수 있다. 불연성 재질인 벽의 후면에 가연성 부재가 붙어 있는 경우 전도열로 인해서 발화하는 경우가 있다.
(2)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복사열로 인해서 원격발화를 할 수가 있다. 화재의 크기, 복사에너지의 양, 물체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다르지만 화염이 복사 또는 고온가스 층의 복사열로 인해서 주변 가연물로 확대될 수 있다.
(3) 드롭다운 패턴에 의해 원격발화할 수 있다. 화염에 휩싸여 있는 물질이 떨어져서 그 아래 또는 그 주변에 있던 또 다른 가연성 물질을 착화를 시켜서 화재가 확산이 되는 형태이다. 드롭다운은 열가소성 물질, 커튼, 천막 등이 될 수 있다.
(4) 드롭다운
- 불타고 있거나 화염에 휩싸여 있는 물체가 떨어져 그 아래 있는 또 다른 물질을 발화시키는 현상으로서 폴다운이라고도 한다.
5.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2) 원격발화에 의한 화재확산
(1) 천장 및 벽을 통한 전도열로 인해서 원격발화할 수 있다. 불연성 재질인 벽의 후면에 가연성 부재가 붙어 있는 경우 전도열로 인해서 발화하는 경우가 있다.
(2)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복사열로 인해서 원격발화를 할 수가 있다. 화재의 크기, 복사에너지의 양, 물체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다르지만 화염이 복사 또는 고온가스 층의 복사열로 인해서 주변 가연물로 확대될 수 있다.
(3) 드롭다운 패턴에 의해 원격발화할 수 있다. 화염에 휩싸여 있는 물질이 떨어져서 그 아래 또는 그 주변에 있던 또 다른 가연성 물질을 착화를 시켜서 화재가 확산이 되는 형태이다. 드롭다운은 열가소성 물질, 커튼, 천막 등이 될 수 있다.
(4) 드롭다운
- 불타고 있거나 화염에 휩싸여 있는 물체가 떨어져 그 아래 있는 또 다른 물질을 발화시키는 현상으로서 폴다운이라고도 한다.
5.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