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조사] 화재의 성장 (연소의 확산, 발화에서 상부 착화까지, 화성기, 최성기로부터 종기까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재조사] 화재의 성장 (연소의 확산, 발화에서 상부 착화까지, 화성기, 최성기로부터 종기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화재의 성장


1. 연소의 확산

2. 발화에서 상부 착화까지

3. 화성기

4. 최성기로부터 종기까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상태로써, 작은 불꽃들은 고열의 연기가 충만한 화재실의 천장 부근 또는 개구부의 상층부에서 뿜어져 나오는 연기에 섞여 나타난다.
- ‘프레임 오버 현상’은 화염이 가연물의 표면으로 급속하게 확산되는 현상을 말을 한다.
- 룰 오버 및 프레임 오버 현상은 보통 플래시오버현상 이전에 발생하지만, 연료가 제한이 되어 있거나, 그 체적이 크거나, 해당 화재실의 높이가 높은 경우 등에는 특정 구획 실을 통해서 플래시오버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4. 최성기로부터 종기까지
1) 최성기
- 화재건물의 상층 부위가 연소되기 시작하면 연소상황은 극도로 빠르게 진행을 하며 확산한다. 천장 또는 지붕이 콘크리트 및 철판 등과 같은 불연재일 경우에는 연소가 지연이 되나, 대류현상의 영향으로 틈새와 같은 개구부의 구멍들은 빠르게 커지게 되며, 화재실의 실내온도가 600도 전후에서 플래시오버 현상이 일어나서 화재실의 온도는 900 ~ 1,100도 정도로 급상승하게 되고, 화재실의 온도가 최고 1,100 ~ 1,200도가 됨으로부터 2 ~ 3분이 경과가 되면 화세(불길)가 가장 왕성한 최성기가 된다.
2) 화재종기
- 연소작용으로 인하여 건축 구조물들의 붕괴 직전의 시점으로부터 진화가 될 때까지의 과정인 화재종기에는 건물의 지붕, 벽, 불연재 등에 의하여 연소가 저지되는 시기가 된다.
5.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8.12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3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