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무주 태권도원 설립 배경
2. 태권도원 목표
3. 태권도원 시설
Ⅱ. 본론
1.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위한 태권도원
2. 태권도를 공부하다
3. 즐거운 태권도, 재미있는 태권도원
4. 해외 교류의 장으로 거듭나는 태권도원
5. 편리한 교통
6. 해외결연사업 추진
Ⅲ. 결론
1. 세계와 공유하는 태권도
2. 세계와 소통하는 태권도원
1. 무주 태권도원 설립 배경
2. 태권도원 목표
3. 태권도원 시설
Ⅱ. 본론
1.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위한 태권도원
2. 태권도를 공부하다
3. 즐거운 태권도, 재미있는 태권도원
4. 해외 교류의 장으로 거듭나는 태권도원
5. 편리한 교통
6. 해외결연사업 추진
Ⅲ. 결론
1. 세계와 공유하는 태권도
2. 세계와 소통하는 태권도원
본문내용
는 큰 장점이 있다.
핸드폰 사용과 SNS가 일상화된 오늘날에는 ‘지구촌’, ‘세계 여러나라에 있는 친구들’이라는 단어가 그리 어려운 단어는 아닐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이런 주제로 인해 사람관계가 악용이 되는 것은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물품도난, 해외 사범을 남용하여 해외 불법체류를 유도하는 등 여러 가지 사안이 숙제로 남을 것이라고 본다.
해외 어디를 가든 친구가 생기는 곳, 친구와 함께하는 여행이야 말로 정말 가치가 있고 후회없이 재미있는 여행이 아닐까.
5. 편리한 교통
- 이 부분은 태권도 교육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지만 필자가 조금 아쉽다고 생각되는 부분에서 작은 의견을 제시해보는 바이다.
국내에서 오는 관광객들 중에서도 어디를 가든지 위치를 잘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물며 외국에서 오는 관광객들은 어떠할까. 국내 관광객들이야 기차나 버스 또는 택시, 자가용, 자전거나 오토바이라는 교통편을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지만 해외 방문객들은 그것이 아니다. 한국에 오는 해외 방문객들이 이용하는 교통이야 비행기, 기차, 버스정도로 정해져있지 않은가. 그들이 어디에서 자가용이나 자전거를 빌려 직접 타고오지 않은 이상 시외, 시내버스를 이용하고, 택시를 타는 등 많은 시간과 교통비용이 들 것이다. 이런 교통비용을 생각한다면 태권도원에서 사용되는 지출은 더 줄어들 것이다. 환승에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한 교통과 다른 길로 돌아가는 버스의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없애고 값싸고 편안한 교통을 이용한다면 남는 지출은 고스란히 태권도원의 몫이 되는 것이다. 관광객의 편안함, 태권도원의 수입, 태권도원의 홍보와 이미지에서 좋은 부분이 아닐 수 없지 않을까.
교통의 불만도 무시 할 수는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필자는 공항, 버스터미널, 기차역 등에서 태권도원으로 바로 오는 직행셔틀버스가 그 답이 될 수 있다고 본다.
6. 해외결연사업 추진
- 태권도 정신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태권도인으로서 가지고 있는 신념이란 무엇일까.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이것은 태권도의 5대 정신이다. 태권도를 배우고 가르치고 그 정신을 지키는 것. 이것에는 \'너와 나\'는 있지만 함께하는 ‘우리’는 없다. 필자는 제자들에게 ‘너와 나 그리고 함께하는 우리’를 가르쳐주고 싶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세계태권도평화봉사단이라는 단체가 있다. 이 단체는 태권도를 하는 사람들이 해외에 파견되어 태권도를 배우기 힘든 나라나, 환경이 열악한 나라에 가서 태권도를 알려주고 보급하는 단체이다. 태권도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해외에 나아가서 태권도로 봉사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 단체에 참여해서 해외로 태권도를 전파하러 나가는 것 자체가 살아있는 큰 교육인 셈이다.
하지만 이 해외의 어려운 나라에는 물질적인 도움도 절실히 필요하다. 굿뉴스코, 세이브더칠드런, 굿네이버스, 월드비젼 등 여러 비영리 해외결연 사업체가 있지만 이들에게는 ‘태권도’라는 이름이 없다. 그리고 ‘교육’이라는 것이 없다. 결연 대상에 대한 봉사 이유의 ‘교육’도 없다. 후원자의 ‘봉사’라는 무조건적인 후원과 마음이 있을 뿐이다.
필자는 태권도원에서 해외 교류의 한 부분으로 해외결연사업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봉사를 하고, 봉사를 하는 이유에 대해 배우며 해외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불우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세계 태권도인들에게 보여주고 그 길을 태권도원에서 먼저 트자는 것이다.
해외결연사업을 전문적으로 추진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태권도의 세계화에 앞장서자는 이름에 ‘해외결연’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더해진다면 적어도 ‘태권도인들이, 한국인들이 태권도원의 수입을 다 먹는다’는 말은 안 나오지 않을까.
<그림5 세계태권도평화봉사재단 마크>
Ⅲ. 결론
1. 세계와 공유하는 태권도
- 태권도는 이제 우리 대한민국의 것만이 아닌 세계가 주목하고 세계가 사랑하는 스포츠이자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국기이다. 태권도를 배우고 익히는 것에 영어를 더하고, 사람을 바꾼다고 해서 태권도가 합기도가 되거나 무에타이가 되진 않는다. 태권도는 엄연히 무도이다. 정신을 수련하고 마음을 수련하는 것이 몸으로 표현되는 도(道)인 것이다. 태권도를 알지 못하거나 제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태권도를 격투기라고 한다. 태권도 시합의 겨루기를 보고하는 말이다. 태권도의 겨루기는 말 그대로 실력을 겨루기이지 격투기가 아니다. 교육용 게임을 만든다고 해서, 옆에 사람이 그렇다고해서 결코 그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태권도 지도자가 그 사실을 망각하는 날에는 태권도가 무도가 아닌 상업적 전략으로 세계에 팔려버린 대한민국만의 격투기로 그 위상이 떨어질 것은 분명한 일이다. 태권도의 정신은 사범이 제자에게, 그 제자가 제자에게 물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태권도 정신의 뿌리는 언제나 종주국인 대한민국에 있다.
2. 세계와 소통하는 태권도원
- 태권도의 세계화를 말로만 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실행하고 실천하는 것뿐이다. 태권도원의 교육과 시설을 한국인의 취향에 맞게, 한국인의 뜻에 맞게 맞추는 것은 태권도의 세계화가 아닌 한국의 틀 안에 가두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하지만 태권도원은 한국인들만 찾는 곳이 아닌, 세계의 태권도인들이 찾는 곳으로 세계속의 태권도에 맞추는 교육 프로그램이 앞으로 태권도원이 갖고 있어야 할 평생의 숙제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소중한 태권도를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나라와 태권도를 공유하고 태권도원만의 교육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것이 태권도의 정신과 자부심을 지키는 길이라고 필자는 생각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 태권도원 홈페이지
- 무카스 뉴스
- 네이버 백과사전 - 종교식
<사진출처>
- 무카스 뉴스 캡쳐 사진
- 네이버 이미지
핸드폰 사용과 SNS가 일상화된 오늘날에는 ‘지구촌’, ‘세계 여러나라에 있는 친구들’이라는 단어가 그리 어려운 단어는 아닐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이런 주제로 인해 사람관계가 악용이 되는 것은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물품도난, 해외 사범을 남용하여 해외 불법체류를 유도하는 등 여러 가지 사안이 숙제로 남을 것이라고 본다.
해외 어디를 가든 친구가 생기는 곳, 친구와 함께하는 여행이야 말로 정말 가치가 있고 후회없이 재미있는 여행이 아닐까.
5. 편리한 교통
- 이 부분은 태권도 교육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지만 필자가 조금 아쉽다고 생각되는 부분에서 작은 의견을 제시해보는 바이다.
국내에서 오는 관광객들 중에서도 어디를 가든지 위치를 잘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물며 외국에서 오는 관광객들은 어떠할까. 국내 관광객들이야 기차나 버스 또는 택시, 자가용, 자전거나 오토바이라는 교통편을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지만 해외 방문객들은 그것이 아니다. 한국에 오는 해외 방문객들이 이용하는 교통이야 비행기, 기차, 버스정도로 정해져있지 않은가. 그들이 어디에서 자가용이나 자전거를 빌려 직접 타고오지 않은 이상 시외, 시내버스를 이용하고, 택시를 타는 등 많은 시간과 교통비용이 들 것이다. 이런 교통비용을 생각한다면 태권도원에서 사용되는 지출은 더 줄어들 것이다. 환승에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한 교통과 다른 길로 돌아가는 버스의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없애고 값싸고 편안한 교통을 이용한다면 남는 지출은 고스란히 태권도원의 몫이 되는 것이다. 관광객의 편안함, 태권도원의 수입, 태권도원의 홍보와 이미지에서 좋은 부분이 아닐 수 없지 않을까.
교통의 불만도 무시 할 수는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필자는 공항, 버스터미널, 기차역 등에서 태권도원으로 바로 오는 직행셔틀버스가 그 답이 될 수 있다고 본다.
6. 해외결연사업 추진
- 태권도 정신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태권도인으로서 가지고 있는 신념이란 무엇일까.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이것은 태권도의 5대 정신이다. 태권도를 배우고 가르치고 그 정신을 지키는 것. 이것에는 \'너와 나\'는 있지만 함께하는 ‘우리’는 없다. 필자는 제자들에게 ‘너와 나 그리고 함께하는 우리’를 가르쳐주고 싶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세계태권도평화봉사단이라는 단체가 있다. 이 단체는 태권도를 하는 사람들이 해외에 파견되어 태권도를 배우기 힘든 나라나, 환경이 열악한 나라에 가서 태권도를 알려주고 보급하는 단체이다. 태권도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해외에 나아가서 태권도로 봉사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 단체에 참여해서 해외로 태권도를 전파하러 나가는 것 자체가 살아있는 큰 교육인 셈이다.
하지만 이 해외의 어려운 나라에는 물질적인 도움도 절실히 필요하다. 굿뉴스코, 세이브더칠드런, 굿네이버스, 월드비젼 등 여러 비영리 해외결연 사업체가 있지만 이들에게는 ‘태권도’라는 이름이 없다. 그리고 ‘교육’이라는 것이 없다. 결연 대상에 대한 봉사 이유의 ‘교육’도 없다. 후원자의 ‘봉사’라는 무조건적인 후원과 마음이 있을 뿐이다.
필자는 태권도원에서 해외 교류의 한 부분으로 해외결연사업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봉사를 하고, 봉사를 하는 이유에 대해 배우며 해외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불우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세계 태권도인들에게 보여주고 그 길을 태권도원에서 먼저 트자는 것이다.
해외결연사업을 전문적으로 추진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태권도의 세계화에 앞장서자는 이름에 ‘해외결연’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더해진다면 적어도 ‘태권도인들이, 한국인들이 태권도원의 수입을 다 먹는다’는 말은 안 나오지 않을까.
<그림5 세계태권도평화봉사재단 마크>
Ⅲ. 결론
1. 세계와 공유하는 태권도
- 태권도는 이제 우리 대한민국의 것만이 아닌 세계가 주목하고 세계가 사랑하는 스포츠이자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국기이다. 태권도를 배우고 익히는 것에 영어를 더하고, 사람을 바꾼다고 해서 태권도가 합기도가 되거나 무에타이가 되진 않는다. 태권도는 엄연히 무도이다. 정신을 수련하고 마음을 수련하는 것이 몸으로 표현되는 도(道)인 것이다. 태권도를 알지 못하거나 제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태권도를 격투기라고 한다. 태권도 시합의 겨루기를 보고하는 말이다. 태권도의 겨루기는 말 그대로 실력을 겨루기이지 격투기가 아니다. 교육용 게임을 만든다고 해서, 옆에 사람이 그렇다고해서 결코 그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태권도 지도자가 그 사실을 망각하는 날에는 태권도가 무도가 아닌 상업적 전략으로 세계에 팔려버린 대한민국만의 격투기로 그 위상이 떨어질 것은 분명한 일이다. 태권도의 정신은 사범이 제자에게, 그 제자가 제자에게 물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태권도 정신의 뿌리는 언제나 종주국인 대한민국에 있다.
2. 세계와 소통하는 태권도원
- 태권도의 세계화를 말로만 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실행하고 실천하는 것뿐이다. 태권도원의 교육과 시설을 한국인의 취향에 맞게, 한국인의 뜻에 맞게 맞추는 것은 태권도의 세계화가 아닌 한국의 틀 안에 가두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하지만 태권도원은 한국인들만 찾는 곳이 아닌, 세계의 태권도인들이 찾는 곳으로 세계속의 태권도에 맞추는 교육 프로그램이 앞으로 태권도원이 갖고 있어야 할 평생의 숙제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소중한 태권도를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나라와 태권도를 공유하고 태권도원만의 교육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것이 태권도의 정신과 자부심을 지키는 길이라고 필자는 생각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 태권도원 홈페이지
- 무카스 뉴스
- 네이버 백과사전 - 종교식
<사진출처>
- 무카스 뉴스 캡쳐 사진
- 네이버 이미지
키워드
추천자료
원-달러 하락의 원인 및 대미달러의 집중도 문제
[국제경영학] 농부의 마음(農心)으로 해외로 迅(신)나게 뻗어나가는 농심 辛(신)라면! - 라면...
KB국민은행,마케팅전략사례,은행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진로기업분석,진로마케팅,하이트,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전략격영,아모레퍼시픽,화장품시장,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경영분석사례,에스오일,마케팅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미샤,마케팅전략,사례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대한항공서비스분석,아시아나항공서비스,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아웃벡마케팅,베니건스,TGI,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이마트(E-Mart) VS 롯데마트(Lotte Mart)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롯데마트,이마...
호스피탈리티 산업,대한항공,진에어,에어코리아,한진그룹,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한국경제의 이해 「가계부채의 원인과 해결방안 모색」 (가계부채 현황과 리스크, 가계부채의...
CJ E&M 기업분석,CJ E&M 기업의 조직구조,인사관리 시스템,기업의 조직문화,기업의 ...
유통 산업 현황,국내외 경제환경,유통산업 매출동향,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시장,브랜드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