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그럴때 마다 엄마는 주혁이가 우는 것을 모른척 한다. 대신 울음을 그치면 그때 관심을 가져준다.
11회
4일
양말을 신을 수가 없다며 울고 있는 주혁이. 이번에는 울때는 무시하되 울지 않을때는 많은 관심을 가져주고 울때는 무시하는 행동을 반복한다. 점차 우는 행동이 줄어든다.
9회
5일
또 울어버리는 주혁이..이번엔 울때는 무시하고 안 을때는 엄마와 대화하고 놀면서 엄마와의 시간도 만들어가고 우는 것도 눈에 띄게 줄었다.
6회
3) 반전기간(2일)
이 단계는 강화기관이 지나고 이 행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는 기간으로함 2일정도를 예상하고를 잡았다. 갈수록 닷 그 행동이 늘어난다.
4) 재 강화기간(3일)
강화를 한번 시키고 시간이 지나자 그 행동이 또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행동을 줄어들게 하기위해 재 강화기간 3일정도를 잡고 아이의 아이의 행동을 살피고 또다시 강화를 시작한다. 그래두 주혁이가 울 때는 약간 엄마의 눈치를 조면서 울기시작한가. 하지만 또 엄마가 잘 달래주지 않자 다시 금새 수그러들고 만다.
5) 실험결과 그래프
주혁이를 관찰하면서 물질적 보상과 아이에게 언제 관심을 가져줘야 하는지
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상을 너무 작게 주고 우는 것에 대해 무시하는 것만 생각하다 보니 아이의 행동이 다시 재 발생할 뻔 했다.
주혁이가 우는 이유는 일은 안 다니시지만 아이들에게 무관심한 아빠와 바븐 엄마의 사랑이 모자라 우는 것으로 자신에게 집중을 시키기 위해 울음을 터트리는 버릇이 늘어난 것 같다.
주혁이의 행동을 고쳐주는 것은 아이가 자신을 우는 것으로 집중시키게 할 만큼 외롭게 하지 않고 항상 따뜻한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아동행동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접 아이를 관찰하고 사례를 통하여 아이의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하였다.
이 실험을 하면서 아동들은 자신에 대한 관심을 부족할 때 얼마나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지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해 알수 있었다. 아동이 어떤 행동을 하면 그 상황만을 꾸짖을 것이 아니라 아동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고 아동에게 사랑과 관심을 주어 아동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옆에서 돌봐주는 것이 아동이 성장하기에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지성애.홍혜경, 영유아생활지도, 2013, 양서원
지성애, 유아행동지도, 2012 양서원
전국보육교사교육원대학협의회 아동문제 및 행동수정, 2013, 양서원
11회
4일
양말을 신을 수가 없다며 울고 있는 주혁이. 이번에는 울때는 무시하되 울지 않을때는 많은 관심을 가져주고 울때는 무시하는 행동을 반복한다. 점차 우는 행동이 줄어든다.
9회
5일
또 울어버리는 주혁이..이번엔 울때는 무시하고 안 을때는 엄마와 대화하고 놀면서 엄마와의 시간도 만들어가고 우는 것도 눈에 띄게 줄었다.
6회
3) 반전기간(2일)
이 단계는 강화기관이 지나고 이 행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는 기간으로함 2일정도를 예상하고를 잡았다. 갈수록 닷 그 행동이 늘어난다.
4) 재 강화기간(3일)
강화를 한번 시키고 시간이 지나자 그 행동이 또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행동을 줄어들게 하기위해 재 강화기간 3일정도를 잡고 아이의 아이의 행동을 살피고 또다시 강화를 시작한다. 그래두 주혁이가 울 때는 약간 엄마의 눈치를 조면서 울기시작한가. 하지만 또 엄마가 잘 달래주지 않자 다시 금새 수그러들고 만다.
5) 실험결과 그래프
주혁이를 관찰하면서 물질적 보상과 아이에게 언제 관심을 가져줘야 하는지
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상을 너무 작게 주고 우는 것에 대해 무시하는 것만 생각하다 보니 아이의 행동이 다시 재 발생할 뻔 했다.
주혁이가 우는 이유는 일은 안 다니시지만 아이들에게 무관심한 아빠와 바븐 엄마의 사랑이 모자라 우는 것으로 자신에게 집중을 시키기 위해 울음을 터트리는 버릇이 늘어난 것 같다.
주혁이의 행동을 고쳐주는 것은 아이가 자신을 우는 것으로 집중시키게 할 만큼 외롭게 하지 않고 항상 따뜻한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아동행동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접 아이를 관찰하고 사례를 통하여 아이의 행동을 변화시키려고 하였다.
이 실험을 하면서 아동들은 자신에 대한 관심을 부족할 때 얼마나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지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해 알수 있었다. 아동이 어떤 행동을 하면 그 상황만을 꾸짖을 것이 아니라 아동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고 아동에게 사랑과 관심을 주어 아동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옆에서 돌봐주는 것이 아동이 성장하기에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지성애.홍혜경, 영유아생활지도, 2013, 양서원
지성애, 유아행동지도, 2012 양서원
전국보육교사교육원대학협의회 아동문제 및 행동수정, 2013, 양서원
추천자료
[행동주의]행동주의(행동주의이론)의 배경, 행동주의(행동주의이론)의 학자, 특징, 관점, 인...
[아동문제행동지도][아동문제행동][문제행동]문제행동의 정의와 아동문제행동에 대한 오해, ...
[인간행동과사회환경A+] 아동학대 정의와 아동학대 가해자 부모 발달과정,주요사례 및 관련이...
친구의 일을 방해하는 아이 행동 치료 기법
인지행동모델 - 사회인지이론,Ellis의 정서-합리치료,인지행동치료사례.PPT자료
행동주의 모델의 개념은 무엇이며, 또한 행동주의 모델에 관한 실제 사례의 예를 통해 사례의...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의 등장배경, 인지행동모델 치료시 주의점, 인지행동 치료모델, ...
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공격적인 행동(5가지 이상)들을 조사하고, 그 대처방법에 대해 사례...
행동주의 기법에서 강화를 통한 개입의 의미를 정의하고 정적강화와 부적강화의 개념과 사례...
[아동상담론]아동상담의 한 사례집을 읽고 (딥스, 한국의 딥스, 놀이치료로 행복을 되찾은 아...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고 그 전략 중 한 가지를 사례를 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