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식을 얻기 위해서 조직신학은 성경신학과 역사신학, 실천신학을 활용하여 이 과목들이 제공하는 바에 의해서 하나님은 살아계시며 성경은 계시라고 하는 것을 믿도록 그 이유들을 명백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김재성, 『기독교신학, 어떻게 세워야 하나』,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p. 104
H. 조직신학의 이유
1. 조직신학은 하나님의 복음을 좀 더 자세히 체계적으로 해설한 것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진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기 때문에 구원받은 성도에게 있어서 신학과 신앙생활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오는 것이다. 지식이 없는 신앙생활이란 불가능하다. 그리스도인의 신앙 지식이 얼마나 성경적으로 올바르며 체계적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그 지식을 통해 하나님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직신학이란 영원토록 복된 삶의 학문이다. 복 받은 삶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나오며,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에서 나온다. 왜냐면 우리 자신들을 들여다 볼 때에 하나님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윌리암 퍼킨스, 『개혁신학의 정수』, 김재성 역, (서울: 이레서원, 2003), p. 252
2. 평신도에게 조직신학이 이처럼 중요하다면 신학자 혹은 신학생에게 이는 얼마나 중요한 것이 되어지는가. 벤자민 워필드는 조직신학자는 탁월하게 복음의 설교자라고 했다. 항상 자신 앞에 탐구의 자료가 놓여진 계시가, 사람의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 충만한 감각으로 가득 차야 하고, 자신의 가슴과 삶에서 그 개별적인 진리들을 인격적으로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그래서 신학자는 자신이 다루고 있는 위대한 교리들에 대하여 충만하고도 풍성하며 깊이 있는 신앙적 체험이 있고 또 가득 차 있어야 한다. 그는 하나님께 가까이 해야 하고, 그의 구속주의 품 안에서 항상 휴식을 취해야 하며, 성령의 명확한 영향으로 항상 충만해 있어야 한다. 조직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매우 예민한 신앙적 본성이 필요하며 총체적으로 헌신된 마음이 있어야 하고 모든 태생적 지성이 헛되지는 않지만 그 사람에게 영적인 분별력으로 가득 차게 되는 것과 같은 식으로 그에게 성경의 기름부어 주심이 필요하다. 벤자민 워필드, 『성경신학 연구』, 지상우 역, (서울: 엠마오, 1989), p. 86-87
조직신학의 이유는 바로 우리의 모든 행위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를 영원히 즐거워하기 위해서 신학을 조직하여 하나님을 바로 알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을 경외하게 되며 그분의 뜻을 분명히 알고 교회를 섬기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온전히 드러내는 겸손한 열정으로 가득차게 되는 것이다.
참고자료
1. 게할더스 보스 저 이승구 역, 『성경신학』,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3)
2. 김재성, 『기독교신학, 어떻게 세워야 하나』,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3. 문석호, 『Systematic Theology I-고든콘웰 조직신학 강의 내용 중』, (샬롯: 2011. 10. 3-13)
4. 벤자민 워필드, 『성경신학 연구』, 지상우 역, (서울: 엠마오, 1989)
5. , 『조직신학의 이념』(Grand Rapids: Baker, 1980)
6. 윌리암 퍼킨스, 『개혁신학의 정수』, 김재성 역, (서울: 이레서원, 2003)
7. 존 머레이, 『조직신학』,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8. 존 칼빈, 『기독교 강요』,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9. 코넬리우스 반틸, 『조직신학 서론』, 이승구, 강웅산 역, (서울: 크리스챤 서적, 2009)
10.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60)
11. J. Barton Payne, The Theology of the Older Testament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 House, 1962)
12. Kuyper, A. 『Principles of Sacred Theology』, Hendric De Vries 역, (Grand Rapids: Baker, 1980)
13. L. Berkhof, 『Introduction of Systemic Theology』(Grand Rapids, Eerdmans: 1932)
H. 조직신학의 이유
1. 조직신학은 하나님의 복음을 좀 더 자세히 체계적으로 해설한 것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진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기 때문에 구원받은 성도에게 있어서 신학과 신앙생활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오는 것이다. 지식이 없는 신앙생활이란 불가능하다. 그리스도인의 신앙 지식이 얼마나 성경적으로 올바르며 체계적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그 지식을 통해 하나님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직신학이란 영원토록 복된 삶의 학문이다. 복 받은 삶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나오며,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에서 나온다. 왜냐면 우리 자신들을 들여다 볼 때에 하나님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윌리암 퍼킨스, 『개혁신학의 정수』, 김재성 역, (서울: 이레서원, 2003), p. 252
2. 평신도에게 조직신학이 이처럼 중요하다면 신학자 혹은 신학생에게 이는 얼마나 중요한 것이 되어지는가. 벤자민 워필드는 조직신학자는 탁월하게 복음의 설교자라고 했다. 항상 자신 앞에 탐구의 자료가 놓여진 계시가, 사람의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 충만한 감각으로 가득 차야 하고, 자신의 가슴과 삶에서 그 개별적인 진리들을 인격적으로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그래서 신학자는 자신이 다루고 있는 위대한 교리들에 대하여 충만하고도 풍성하며 깊이 있는 신앙적 체험이 있고 또 가득 차 있어야 한다. 그는 하나님께 가까이 해야 하고, 그의 구속주의 품 안에서 항상 휴식을 취해야 하며, 성령의 명확한 영향으로 항상 충만해 있어야 한다. 조직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매우 예민한 신앙적 본성이 필요하며 총체적으로 헌신된 마음이 있어야 하고 모든 태생적 지성이 헛되지는 않지만 그 사람에게 영적인 분별력으로 가득 차게 되는 것과 같은 식으로 그에게 성경의 기름부어 주심이 필요하다. 벤자민 워필드, 『성경신학 연구』, 지상우 역, (서울: 엠마오, 1989), p. 86-87
조직신학의 이유는 바로 우리의 모든 행위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를 영원히 즐거워하기 위해서 신학을 조직하여 하나님을 바로 알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을 경외하게 되며 그분의 뜻을 분명히 알고 교회를 섬기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온전히 드러내는 겸손한 열정으로 가득차게 되는 것이다.
참고자료
1. 게할더스 보스 저 이승구 역, 『성경신학』,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3)
2. 김재성, 『기독교신학, 어떻게 세워야 하나』,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3. 문석호, 『Systematic Theology I-고든콘웰 조직신학 강의 내용 중』, (샬롯: 2011. 10. 3-13)
4. 벤자민 워필드, 『성경신학 연구』, 지상우 역, (서울: 엠마오, 1989)
5. , 『조직신학의 이념』(Grand Rapids: Baker, 1980)
6. 윌리암 퍼킨스, 『개혁신학의 정수』, 김재성 역, (서울: 이레서원, 2003)
7. 존 머레이, 『조직신학』,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8)
8. 존 칼빈, 『기독교 강요』,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9. 코넬리우스 반틸, 『조직신학 서론』, 이승구, 강웅산 역, (서울: 크리스챤 서적, 2009)
10.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60)
11. J. Barton Payne, The Theology of the Older Testament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 House, 1962)
12. Kuyper, A. 『Principles of Sacred Theology』, Hendric De Vries 역, (Grand Rapids: Baker, 1980)
13. L. Berkhof, 『Introduction of Systemic Theology』(Grand Rapids, Eerdmans: 1932)
추천자료
현대 역사학의 추세와 방법론
인터넷조사 방법론의 특성과 쟁점
목표관리(MBO)-청소년지도방법론
정책학 등장의 배경으로 행태주의 방법론의 특징 및 문제점과 후기 행태주의 통합의 의의
코메니우스와 마리아 해리스의 교수방법론이 현대 기독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기독교교육 교사의 역할과 방법론
영성학의 연구방법론 소고 (A Study on Methodological Approach to Spirituality)
종족음악의 역사적 흐름과 연구 방법론
[간호이론]간호이론과 Q-방법론, 간호이론과 위기이론, 간호이론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간...
(A+)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지도방법의 기초, 단계별 청소년지도방법의 전개기법, 유형별 ...
알기쉬운 사회복지 조사방법론 전체 요약 정리
[신약석의 방법론] 전승사비평 - 전승사 비평 수행단계 - 전승사 비평 적용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론의 현황 및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