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베네(Caffebene) vs 커피빈(Coffeebean)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커피빈,카페베네의 문제점분석및 해결방안제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페베네(Caffebene) vs 커피빈(Coffeebean)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커피빈,카페베네의 문제점분석및 해결방안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커피빈 브랜드 선정배경
2. 커피프랜차이즈 시장분석
- 커피빈 시장현황
- 카페베네 시장현황
3. 커피빈 브랜드소개
(1) 커피빈 기업분석
(2) 카페베네 기업분석

Ⅱ. 본론
1. 커피빈 브랜드전략과 마케팅전략
(1) 가격전략
(2) 인지도분석
(3) 인테리어 전략
(4) 커피빈의 마케팅전략
(5) 커피빈 국내시장 현황분석
(6) 맛
(7) 제품분석
(8) 이벤트전략

2. 카페베네 브랜드전략과 마케팅전략
(1) 가격전략
(2) 인지도분석
(3) 인테리어 전략
(4) 카페베네 마케팅전략
(5) 카페베네 국내시장 현황분석
(6) 맛
(7) 제품분석
(8) 이벤트전략

Ⅲ. 결론
1. 두 브랜드의 문제점분석 및 해결방안 제안
(1) 커피빈
(2) 카페베네
(3) 공통문제점
(4) 개선방안 제안

본문내용

으로 보기에도 카페베네는 커피의 맛을 좀 더 차별화시키고 고급화시키기 보다는 그저 사이드 메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페베네는 사이드메뉴뿐만 아니라 커피 맛의 품질도 높여야 할 것입니다. 기본에 충실하고 다른 부분들을 신경 써야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카페베네는 제시한용량과 실제용량과의 차이가 납니다. 320g의 저시한 용량과는 달리 실제 용량은 299g판매하고 있으며 약 11%양 부족한 상황입니다. 앞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판매자가 제품별 기본용량을 제공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이행해야 합니다.
-마케팅
-국내 브랜드라는 점 알리기
국내 커피 브랜드점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독특한 이벤트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세계적인 기념일인 크리스마스 연말 이벤트를 제외한 국내 기념일을 중심적으로 이벤트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글날에는 커피 거품 위 한글을 적어 주는 이벤트, 3.1절이나 광복절 같은 날에는 태극기 모양을 지참하신 고객에 한하여 가격할인 이벤트를 한다면 소비자들에게 애국적인 브랜드 이미지와 더불어 국내브랜드라는 인식을 강조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국내에는 간판 및 로고를 한국어로 표시를 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커피 외 브랜드와 접목(휴대폰 매장 내 카페)
현재 몇 곳에서 실행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커피숍만 사용 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as 센터처럼 고객들이 무언가를 맡기고 기다리는 곳에 제휴를 맺고 커피숍을 같이 운영을 하는 방법입니다. 인구 밀집이 높은 곳뿐만 아니라 새로운 적합한 장소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커피숍의 인식을 커피마시며 이야기 하고 앉아 있는 곳이 아닌 파티나 다른 용도로도 쓸수 있는 특별한 방을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변화와 차별화 강조
카페베네의 성장이 주춤하고 있다는 기사를 많이 보게 됩니다. 커피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던 카페베네는 포화된 커피시장에 살아남기 위하여 변화를 하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고객의 성향에 맞추어 인테리어나 직원 서비스 등과 같은 고유의 것들은 필요한 부분만 남겨 두고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하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3) 공통문제점
-서비스
위의 두 카페를 조사하여 본 결과 서비스에 대해 많은 기사들을 접하였습니다. 또한 직원 보다는 아르바이트생 위주의 운영에 따라 주인의식이 다소 떨어진 이유도 있었습니다. 커피 시장의 포화상태에 따라 차별화를 두고 직원서비스의 개선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 커피시장에서 선점을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직원 서비스 시스템과 개선에 많은 신경을 써야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4) 개선방안 제안
-본사 모니터 요원 배치.
본사 직원이 불시에 체인점을 방문하여 직원 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평가로 점수를 책정 한 후 지원에 차별을 둔다면 각 체인점 점주들은 직원 서비스에 각별히 신경을 쓸 것입니다.
-커피 브랜드 월간 잡지 만들기
전국에 배치된 수많은 브랜드의 지점들을 모은 잡지책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잡지에는 지역별 커피 브랜드의 소개와 그 지점만의 고유한 특징을 소개하여 매달 이달의 지점과 이달의 직원을 선정하고 인터뷰 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나갑니다. 이렇게 되면 직원들은 자연스럽게 서비스개선 향상에 동기 유발이 될 것입니다.
-c/s 전문 직원 지역마다 배치
각 지역마다 c/s 강사를 초빙하여 분기별로 직원들을 위한 c/s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참고자료>
커피빈:
커피빈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http://www.coffeebeankorea.com/
http://iuwe.co.kr/23 [커피전문점 가격비교]
세계의 커피시장 중앙선데이
http://cafe.naver.com/mphotonet/499
커피빈의 서비스전략 분석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No.2를 꿈꾼다
커피빈&티리프 - emars
http://cafe.naver.com/cbmacademy/64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1/10/2013111001778.html
커피빈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No.2 를 꿈꾼다
카페베네:
카페베네 공식 홈페이지: http://www.caffebene.co.kr/
이코노믹리뷰-http://www.econovill.com/archives/25998
아이비라인-http://www.coffeero.com/front/story/news_view.asp?idx=476&board_id=news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medialabs/special/coffee1/index.html
뉴스zum-http://news.zum.com/articles/6751218?c=03
일요시사-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171
동아경제-http://economy.donga.com/home/3/01/20131030/58558063/1
=0®dt=20130420172015
머니투데이-http://m.mt.co.kr/new/view.html?no=2013040416284252240
서울신문-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914013013
시사저널-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5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_mnb&logNo=130174998229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Ip4g&articleno=8712090&categoryId
http://blog.naver.com/sac0315?Redirect=Log&logNo=70165464849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ospi007&logNo=5017084014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s4578&logNo=150167583987

추천자료

  • 가격5,5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4.09.04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