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실험목적
3. 관련이론
4.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결과분석
7. 오차원인
8. 결론
9. 출처
2. 실험목적
3. 관련이론
4.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결과분석
7. 오차원인
8. 결론
9. 출처
본문내용
6 inch 강구를 장착한다.
⑺ Type을 B로 맞추고, 주하 중을 100 ㎏f 로 맞춘다.
⑻ 두 번째 시편을 놓고 가하중(10 ㎏f)을 가한 후, 주하중(100 ㎏f)을 가한다.
⑼ 총 10회 측정한다.
⑽ 측정값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뺀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5. 실험 결과
1
2
3
4
5
6
7
8
9
10
평균값
HRC
62.01
62.9
64.9
62.7
62.8
62.8
62.7
62.8
62.6
61.9
62.66
HRB
94.1
94.5
95.2
94.8
93.2
93.1
94.5
93.7
93.8
94.1
94.09
※ 평균값은 최댓값, 최소값을 뺀 나머지의 평균값
6. 결과분석
실험을 통해 구한 평균값 62.66HRC, 94.09HRB를 경도환산표를 이용해 환산해 보았을 때 비커스 경도 약 760HV, 220~210HV가 추정된다.
HRC경도로 재질을 추정해보면 열처리를 한 STC1, STC2, STC3로 추정해볼수있다.
7. 오차원인
10번의 실험 시 모두 다 다른 실험값이 나왔는데 그 이유를 분석해보면, 로크웰 경도기가 설치된 책상이 오래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고, 실험실(밀폐 공간) 안에 있는 실험 인원들의 목소리,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해서 오차가 생겼을 수도 있다. 장치 조작의 미흡함도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초기하중 360을 맞출 때 손으로 직접 돌려가면서 맞추기 때문에 기계처럼 360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그 이유로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기계의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며, 시편에 잔류 응력이 남아 측정값의 오차가 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할 때 조원들이 장치를 돌리다가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조작한 것도 있었으며, 너무 많이 압력을 준 후에 다시 돌림으로써 오차가 났을 수도 있다.
8. 결론
로크웰 경도 실험을 통해 경도와 강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를 알게 되었고, 로크웰 경도 실험 방법과 경도기의 사용법을 알 수 있었다. 측정된 시편의 경도만으로 그 시편의 재질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쇼어 경도, 브리넬 경도, 비커스 경도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실험이었다.
9. 출처
재료과학과 공학 제 7판 William D. Callister Jr 지음 시그마프레스 출판 2007
금속재료 연윤모 지음 기전연구사 출판 2004
재료시험법 염영하 지음 동명사 2007
⑺ Type을 B로 맞추고, 주하 중을 100 ㎏f 로 맞춘다.
⑻ 두 번째 시편을 놓고 가하중(10 ㎏f)을 가한 후, 주하중(100 ㎏f)을 가한다.
⑼ 총 10회 측정한다.
⑽ 측정값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뺀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5. 실험 결과
1
2
3
4
5
6
7
8
9
10
평균값
HRC
62.01
62.9
64.9
62.7
62.8
62.8
62.7
62.8
62.6
61.9
62.66
HRB
94.1
94.5
95.2
94.8
93.2
93.1
94.5
93.7
93.8
94.1
94.09
※ 평균값은 최댓값, 최소값을 뺀 나머지의 평균값
6. 결과분석
실험을 통해 구한 평균값 62.66HRC, 94.09HRB를 경도환산표를 이용해 환산해 보았을 때 비커스 경도 약 760HV, 220~210HV가 추정된다.
HRC경도로 재질을 추정해보면 열처리를 한 STC1, STC2, STC3로 추정해볼수있다.
7. 오차원인
10번의 실험 시 모두 다 다른 실험값이 나왔는데 그 이유를 분석해보면, 로크웰 경도기가 설치된 책상이 오래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고, 실험실(밀폐 공간) 안에 있는 실험 인원들의 목소리,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해서 오차가 생겼을 수도 있다. 장치 조작의 미흡함도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초기하중 360을 맞출 때 손으로 직접 돌려가면서 맞추기 때문에 기계처럼 360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그 이유로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기계의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며, 시편에 잔류 응력이 남아 측정값의 오차가 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할 때 조원들이 장치를 돌리다가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조작한 것도 있었으며, 너무 많이 압력을 준 후에 다시 돌림으로써 오차가 났을 수도 있다.
8. 결론
로크웰 경도 실험을 통해 경도와 강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를 알게 되었고, 로크웰 경도 실험 방법과 경도기의 사용법을 알 수 있었다. 측정된 시편의 경도만으로 그 시편의 재질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쇼어 경도, 브리넬 경도, 비커스 경도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실험이었다.
9. 출처
재료과학과 공학 제 7판 William D. Callister Jr 지음 시그마프레스 출판 2007
금속재료 연윤모 지음 기전연구사 출판 2004
재료시험법 염영하 지음 동명사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