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6.22
183.18
167.75
159.25
143.46
132.12
119.62
111.8
104.34
101.64
100.14
2) 그래프
3) 고찰
- 용접 열영향부의 미세조직 관찰 및 미소경도 측정 실험을 했다.
위 조직사진을 보게 되면 모재부보다 용접부와 열영향부의 조직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도 측정시에는 용접부 중앙에서부터 모재부까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면서 측정했다.
경도 그래프를 보면 용접부가 모재부보다 경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열영향
부에서 가장 높은 경도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5√2mm 이후 부분부터 경도가 일정해지는 것으로 모재부이다.
polishing에서부터 etching, 조직관찰, 경도측정에 까지 직접 실험을 하면서 최대한 정확
한 실험값을 구하기 위해 과정 하나하나 조원들과 신중히 했던 실험이다.
조직사진에서 보이듯이 polishing 하는 과정에서 용액을 너무 과도하게 뿌려 조직
이 살짝 밀렸다. 이후 부식이 잘돼서 조직관찰에는 큰 이상은 없었다.
경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도 시편의 상태에 따라 실험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더욱 신경써야 할 부분으로 기억할 것이다.
183.18
167.75
159.25
143.46
132.12
119.62
111.8
104.34
101.64
100.14
2) 그래프
3) 고찰
- 용접 열영향부의 미세조직 관찰 및 미소경도 측정 실험을 했다.
위 조직사진을 보게 되면 모재부보다 용접부와 열영향부의 조직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도 측정시에는 용접부 중앙에서부터 모재부까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면서 측정했다.
경도 그래프를 보면 용접부가 모재부보다 경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열영향
부에서 가장 높은 경도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5√2mm 이후 부분부터 경도가 일정해지는 것으로 모재부이다.
polishing에서부터 etching, 조직관찰, 경도측정에 까지 직접 실험을 하면서 최대한 정확
한 실험값을 구하기 위해 과정 하나하나 조원들과 신중히 했던 실험이다.
조직사진에서 보이듯이 polishing 하는 과정에서 용액을 너무 과도하게 뿌려 조직
이 살짝 밀렸다. 이후 부식이 잘돼서 조직관찰에는 큰 이상은 없었다.
경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도 시편의 상태에 따라 실험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더욱 신경써야 할 부분으로 기억할 것이다.
소개글